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제 사진엽서, 시와 이미지의 문화정치학

일제 사진엽서, 시와 이미지의 문화정치학

최현식 (지은이)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22-09-15
  |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38,000원 -5% 0원 2,000원 3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제 사진엽서, 시와 이미지의 문화정치학

책 정보

· 제목 : 일제 사진엽서, 시와 이미지의 문화정치학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55505540
· 쪽수 : 768쪽

책 소개

知의 회랑 29권. 사진과 그림 배경에 일본어나 일·선어 병용의 시가, 민요와 노래, 시, 짧은 감상문, 소개문, 대화 등을 더해 대량으로 발행·유통되었던 일제의 조선 대상 사진엽서들을 다룬 연구서.

목차

책머리에
프롤로그 일제 사진엽서ㆍ식민주의ㆍ문화정치학

제1장 천황 숭배ㆍ충량한 신민ㆍ내선일체
‘은뢰’ㆍ‘조선신궁’ㆍ발명된 신치(神治)|‘조선신궁’에서 《은뢰》로 1: 사실과 환영의 교착|조선신궁에서 《은뢰》로 2: 숭경과 송찬의 문법|조선신궁의 존재론 1: ‘어진영’의 부재, ‘신비’의 세속화|조선신궁의 존재론 2: ‘신비’의 제도화, 국가 ‘귀일’의 공간|‘은뢰’ 아래의 식민지 조선, 그 ‘신광’의 이면|‘은뢰’에 감싸인 식민지 조선인의 발명|조선신궁ㆍ총력전ㆍ황국신민의 길|《은뢰》의 문화정치학이 넘어서지 못한 것들

제2장 ‘일본어-조선어 대화’의 빛과 그늘
사진엽서 속 ‘일본어-조선어’ 대화의 성격|‘우리들’의 국가어에서 ‘그들’로의 제국어로|일본 여행객의 조선어에 담긴 식민주의|조선말의 모방, 식민지 일상의 기록

제3장 식민지 민족 정서의 제국화 또는 지방화
눈과 소리와 마음의 안과 밖|시와 노래, 낯섦과 친밀함의 식민주의적 재현|《조선정시》, 뒤쳐진 ‘생활’의 전시, 식민 정서의 낭만화|《국경정서》, 제국 여성의 애국심과 연정|정시와 신민요, 사상지도의 국민가요가 되다

제4장 잘 만들어진 ‘경성’의 이중 삽화
‘전통의 왕도 한양ㆍ식민지 근대ㆍ식민 수도 경성|《경성소패》의 유람지: 총칼의 한양, 꽃의 경성|‘화농된 전통’의 계산된 점유 또는 거리두기|‘비만한 근대’의 확장, ‘조선적인 것’의 축소|‘경성운동장’ㆍ제국의 ‘학교’ㆍ국민가요|근대 천황제의 보루, ‘경성’의 신사와 병영|염천과 혹한의 길바닥과 식민지의 ‘요보’들

제5장 잘 만들어진 평양의 ‘칼’과 ‘꽃’
‘평양’을 관통한 일본의 두 총탄|전장의 평양, 일본의 승전 및 한만(韓滿) 경영의 거점|평양 고적(古蹟) 관광과 일본 승전의 기억|평양기생ㆍ‘색향의 꽃’ㆍ‘단장화(斷腸花)’|식민통치의 주술과 부적, 평양의 신사와 병영

제6장 금강산의 여성화, 식민지 자연의 발명
식민지와 제국이 바라본 ‘금강산’들|금강산 탐승(探勝)과 조ㆍ일 관광객의 시선|명승 금강산, 관능과 비애의 이중 공간|사진엽서 《금강산백경》과 식민지 근대성|금강산의 병영화: ‘소국민’에서 ‘충량한 신민’으로

제7장 왕도 경주, 고토의 기억 또는 폐허미
식민지 경주, 고토의 회복과 폐허의 공간|경주 관광의 기원, 일제 ‘관광객의 시선’|《신라고적전설》(1): 설화의 역사화, 패망의 자연화|《신라고적전설》(2): 가야계 신라인과 ‘전선총후’의 접속|《신라고적전설》(3): 패망의 신라, 폐허의 경주|경주의 병영화: ‘신라정벌’의 소환, 불토(佛土)의 전장화

제8장 조선여성, 전근대적 일상과 성애의 육체성
비숍 여사가 바라본 조선여성의 초상|비숍의 글에 비춰본 사진엽서 ‘조선부인의 일상’|‘조선의 아침’, 아름다움과 조용함의 어두운 이면|조선부인의 가사노동, 강요된 근면의 폭력성|즐거운 시장 보기, 불공평한 소비의 현실|여아로 태어나 ‘조선부인’이 된다는 것|조선부인의 취미, 잘 만들어진 쾌락의 이면|‘조선부인’의 서글픈 앞 이야기 또는 끔찍한 악몽

제9장 기생의 미, 만들어진 슬픔과 웃음
식민지 조선의 ‘기생’이 뜻하는 것|식민지 기생, 전통의 예인 또는 근대의 매소부|‘기생’의 ‘아리랑’, ‘정한’과 ‘명랑’의 사이|기생의 연출된 삶과 보여지는 신체|기생, 내선융화로의 동원과 배제

제10장 조선남성의 일상과 노동, 그리고 유희
조선남성이라는 벌거벗은 신체와 기호|식민지의 노동, ‘도야지’라는 낙인|‘장사꾼’ 이야기, 조선남성의 비극적 숙명|조선남성의 취미, 삶의 흥취와 인격 발현의 사이|타인의 삶을 비추는 점쟁이의 숙명, 예능인의 비애

제11장 팔굉일우ㆍ총력전ㆍ군국예술로의 길
12살 조선 소년이 군가 《전우》를 노래한 까닭|국경수비: 표면의 수비와 보호, 이면의 감시와 처벌|일상으로서의 프로파간다ㆍ전선총후ㆍ군국예술|전선과 군국예술의 일상화: 황군의 윤리|‘총후 여성’의 윤리: 후방의 전장화, 내선일체의 군국예술|고대 영웅의 창안 또는 만들어진 우국 정신|‘국민정신총동원’: 일상의 전장화, 전투의 일상화

에필로그 ‘일본적인 것’에 투사된 ‘조선적인 것’의 명암
주ㆍ참고문헌ㆍ찾아보기
총서 ‘知의회랑’을 기획하며

저자소개

최현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청남도 당진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한국문학(현대시)을 전공했다.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있다. 학부 시절 정지용과 김수영 시에 크게 매혹되었다. 대학원 시절 서정주 문학을 조우한 뒤 지금까지도 시인이 밟아간 근대성과 반근대성의 문제를 추적하고 있다. 요즘에는 일제시대 사진엽서, 만주 관련 문학, 해방 후 북한문학을 새로 읽는 재미에도 빠져들고 있다. 연구서로 『일제 사진엽서, 시와 이미지의 문화정치학』, 『서정주 시의 근대와 반근대』, 『한국 근대시의 풍경과 내면』, 『신화의 저편—한국현대시와 내셔널리즘』, 『최남선ㆍ근대시가ㆍ네이션』 등을, 평론집으로 『말 속의 침묵』, 『시를 넘어가는 시의 즐거움』, 『시는 매일매일』, 『감응의 시학』 등을 출간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ㆍ일제가 서구에서 학습, 모방한 식민지 조선에 대한 일방적 점유와 정확히 계산된 거리화는 그림과 삽화 중심의 만화나 사실의 보고와 재현 중심의 사진에 부여된 과제만은 아니었다. 그것은 친밀한 서신 교환에서 사회의 제반 영역에 대한 알림판으로 영역을 넓혀간 근대적 우편제도의 총아 그림엽서[絵葉書]나 사진엽서의 책무이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사진과 회화의 이미지를 통칭하여 ‘그림’엽서로 불렀는데, 그 영향 아래 있던 식민지 조선에서도 이 말을 똑같이 사용했다. 한편 사진엽서는 시각적 이미지의 힘과 영향을 가장 분명하게 행사하는 사진의 권능을 강조하기 위해 비교적 근래에 선택된 용어이다. “대상을 그대로 재현하는 기계적 특성을 가진 사진은 근대정신을 확고히 지지해 주는 문명의 총아”였으며, “사진이라는 근대적 재현 체계의 힘은 과학이라는 시대정신과 합류해 계몽의 현신으로” 제 위치를 확고히 했다는 한 연구자의 설명이 ‘사진’엽서라는 명명의 저간을 확인해준다.
― ‘프롤로그 일제 사진엽서ㆍ식민주의ㆍ문화정치학’ 중에서


ㆍ일상 전면화의 대화엽서들은 식민지의 일상에 대한 객관적이며 치밀한 관찰의 결과로 주어진 것이 아니다. 지배와 통치가 결정된 점령지 문화의 야만성과 불쾌함을 일찌감치 풍자하고 비웃었던 《조선만화》를 더욱 치밀하게 변형시킨 이미지와 문자의 문화정치학적 산물인 것이다. 요컨대 ‘삽화’ 해설에 붙여진 그들끼리의 ‘일본어’는 그림엽서에서 ‘조선어-일본어’ 동시의 대화체로 변주됨으로써 제국주의의 식민지에 대한 계몽과 비판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된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다시 강조하자면, 일제가 생산한 대화엽서의 궁극적 목표는 여행객의 편의를 제공하고 일본인의 ‘조선어 학습’에 대한 효율성의 제고에 있지 않았다.
비록 식민지 언어에 대한 모방과 재현의 성격을 가졌지만 그것은 다음의 두 가지 사항을 최종적으로 목표했다. 첫째, 조선어의 지위를 일본어, 곧 ‘고쿠고’에 대한 방언으로 격하시키기이다. 둘째, ‘고쿠고’를 상용어와 생활어로 정착시킴으로써 조선어를 말살하고 해체하기이다. 일제의 주: 일본어, 종: 조선어라는 언어 편제가 식민지와 그 민족어의 전통성과 고유성, 현실적 발화의 힘과 발전의 가능성을 되도록 부정하기 위해 기획된 파시즘적 언어정책의 일환이었음이 여기서도 확인된다.
― ‘제2장 ‘일본어-조선어 대화’의 빛과 그늘’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