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55802021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3-07-05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제1장 대승불교의 흥기
1. 대승불교의 근본정신과 보살의 이념
1) 대승불교의 근본정신
2) 보살의 출현
2. 대승과 부파불교
1) 부파불교와 대승의 관계
2) 부파불교의 사상
3) 부파와 대승
3. 대승불교의 기원
1) 대승불교의 기원에 대한 최근 학계의 연구
2) 법신의 관념
제2장 대승불교의 특징과 양상
1. 대승경전의 출현과 전개
1) 경전신앙의 등장
2) 인도 대승경전의 역사적 전개
2. 신앙의 대중화, 의례와 문화의 확산
1) 지혜의 길과 신앙의 길
2) 불상과 종교 의례의 등장
3. 보살사상과 보살행
1) 보살 관념의 형성
2) 보살의 자격과 보살행의 실천
4. 대승불교의 부처님
1) 초기‧부파불교의 불신관
2) 초기대승의 불신관
3) 유식사상에서 불신설의 형성과 그 의미
4) 동아시아 대승불교의 불신관
5. 대승불교의 보살계사상
1) 인도의 보살계
2) 동아시아의 보살계
제3장 대승의 주요 사상
1. 공사상과 중관사상
1) 공사상의 기원과 전개
2) 부파불교의 유자성론과 『반야경』의 공사상
3) 반야계 대승경전의 공사상
4) 용수의 중관사상
5) 인도에서 중관학파의 전개
2. 유가행유식사상
1) 유가행유식사상의 배경
2) 유가행파의 논사와 논서
3) 유가행파의 사상
4) 불교인식논리학
5) 동아시아의 유식학
3. 여래장사상
1) 여래장사상의 기원과 의미
2) 여래장계 경전
3) 『보성론』의 여래장사상
4) 『대승기신론』과 동아시아 여래장사상
4. 밀교사상
1) 밀교의 정의와 분류
2) 분류법에 따른 특징과 대표 경전
4) 밀교의 역할과 전개
제4장 동아시아 대승불교
1. 동아시아 대승불교의 전개
1) 동아시아불교에서 중국불교의 위치
2) 한국불교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
3) 일본불교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
2. 천태사상
1) 『법화경』의 성립과 특징
2) 천태교학의 성립과 전개
3) 천태의 실상론
4) 천태종의 수행
5) 한국과 일본의 천태사상
3. 화엄사상
1) 화엄사상이란?
2) 불교와 화엄사상의 목표‧방법‧내용
3) ‘나’는 여래출현
4) 법계연기를 통한 ‘나’의 이해
5) ‘나’의 관찰 방법
6) 지금, 여기에서 불행佛行할 뿐
7) 『화엄경』의 이해
8) 화엄종
4. 정토사상
1) 정토신앙의 성립과 전개
2) 정토계 경전과 정토교학의 주요 사상
3) 동아시아 정토사상과 염불수행
5. 대승불교와 선사상
1) 인도의 선
2) 중국의 선
3) 조사선과 대승불교
4) 동아시아 선의 흐름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대승불교는 불교 내에서 패러다임의 변화라고 할 정도로 전통적인 부파불교의 사상과 구별되는 커다란 내적 발전과 사상적 차이를 보여준다.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초기불교나 부파불교의 이상은 아라한인 데 비해, 대승불교의 목표는 부처님의 완전한 깨달음성불成佛과 일체중생의 구제라는 점이다. 초기대승문헌에는 삼승三乘의 구분이 자주 나타난다. 여기서 일체중생의 구제를 목표로 하는 보살승을 자신만을 위한 열반의 증득을 목표로 하는 다른 이승二乘과 차별화 함으로써 대승의 자기정체성을 보여준다. _「대승불교의 근본정신」중에서
반야부 경전은 『도행반야경』으로 시작되었고, 7세기 현장역의 600부 『대반야바라밀다경』이 대표적이다. 이는 16부 경전을 집성한 것으로 제1부 『십만송반야』, 제2부 『이만오천송반야』, 제4부 『팔천송반야』 등과 같이 독립 경전으로서의 명칭을 갖는 것도 많으며, 상호 간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다. 이외에도 『금강반야바라밀경』, 『반야심경』 등이 있는데, 특히 600부 『반야경』의 제577권에 해당하는 『금강경』은 대한불교 조계종의 소의경전이다. 이로써 조계종은 반야공사상을 계승한 대승불교 종단임을 알 수 있다. _「초기 대승경전」 중에서
부처님은 비구들에게 이렇게 자귀의, 법귀의를 강조하면서 육신의 안과 밖을 부지런히 관찰하여 탐심과 근심을 없애야 한다고 설하였다. 이는 부처님께서 아난존자에게 전하신 유언의 내용과도 동일하며, 『대반열반경』아함부의 “스스로를 등불로 삼고, 스스로를 귀의처로 하라. 법을 등불로 삼고, 법을 귀의처로 하라”는 ‘자등명 자귀의, 법등명 법귀의’이다. 이와 같이 부처님은 출가자에게는 ‘법’, 즉 지혜를 강조하였다. _「지혜의 길과 신앙의 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