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91156121992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1-07-09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인도 지도
인도 종교사 연표
1부 총론
1. 힌두교란 무엇인가
1―1. ’힌두교’ 명명의 문제
1―2. 힌두교 범주의 문제
2. 종교학과 종교사
2―1. 종교학 방법론
2―2. 역사학으로서의 종교사의 필요성
3. 힌두교에 대한 편견과 왜곡
3―1. 힌두교에 대한 유럽 낭만주의의 편견
3―2. 유럽 공리주의자의 힌두교 왜곡
2부 힌두교 형성사
1. 힌두교의 두 가지 원천
1―1. 역사적 배경(기원전 2500~기원전 500)
1―2. 하랍빠 시대의 종교
1―3. 베다 시대의 종교
1―4. 하랍빠 시대와 베다 시대 종교의 사회사적 의미
2. 베다후後 시기의 힌두교의 체계화와 불교의 발생
2―1. 역사적 배경(기원전 500~기원전 400)
2―2. 힌두교의 기본체계 형성
2―3. 불교의 발생
2―4. 베다후 시기 힌두교와 불교의 사회사적 의미
3. 서사시 시기의 종교의 대중화
3―1. 역사적 배경(기원전 400~500)
3―2. 서사시 시기의 힌두교 구조
3―3. 비슈누교의 발전
3―4. 쉬바교의 발전
3―5. 대승불교의 성립
3―6. 서사시 시기 대중화 종교의 사회사적 의미
4. 초기 중세의 종교
4―1. 역사적 배경(500~1200)
4―2. 뿌라나와 힌두교
4―3. 딴뜨라와 밀교
4―4. 초기 중세 시대 대중화 종교의 사회사적 의미
5. 후기 중세의 힌두교
5―1. 역사적 배경(1200~1700)
5―2. 박띠운동
5―3. 이슬람과의 만남과 시크교의 성립
5―4. 후기 중세 시대 박띠운동의 사회사적 의미
6. 근대 힌두교
6―1. 역사적 배경(18세기~현재)
6―2. 근대 종교·사회 개혁운동
6―3. 신新힌두교
6―4. 힌두 민족주의와 종교 공동체 폭력 정치
6―5. 근대 시기 힌두교 변화의 사회사적 의미
3부 힌두교의 성격과 의의
1. 여러 전통의 통합
1―1. 힌두교의 세 가지 전통
1―2. 흡수 통합의 성격
2. 구동 장치로서 바르나(카스트)
2―1. 다양성을 통일성으로 작동하는 세계
2―2. 의례 중심의 성격
2―3. 실천의 종교
3. 관용과 박해 그리고 개종
3―1. 관용의 범주
3―2. 개종과 카스트 체계
3―3. 불관용적인 성격
4. 범신론의 여러 층위
4―1. 단일신론적 성격
4―2. 일원론 위의 범신론과 다신교
5. 윤회의 시간과 역사로서의 신화
5―1. 베다 부회의 의미
5―2. 신화로서의 역사
5―3. 고대 인도인의 역사 인식
저자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힌두교란 무엇인가? 문자 그대로 하면, ‘힌두’의 종교다. …… 그렇다면 ‘힌두’란 무엇인가? ‘힌두’는 지금의 인더스Indus(산스끄리뜨어로는 신두Sindhu)강 유역을 가리키는 말이다. 712년 무함마드 이븐 카심Muhammad Ibn Qasim이 신드Sindh 지역을 정복한 후 아랍 사람들은 이 지역, 즉 인더스강 동쪽 지역에 사는 사람들을 ‘힌두’, 그들의 종교를 ‘힌두교’라고 불렀다.
결국 하랍빠 시대(기원전 3300~기원전 1300년경)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이슬람이나 기독교 같은 외래종교를 제외한 인도 아대륙의 모든 종교를 힌두교로 규정하는 게 가장 타당할 것이다. 물론 그 안에는 현대의 종교 분류에서 별개 종교로 간주하는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이 들어 있다. 지금은 다른 종교로 분류되지만, 종교사의 관점에서 볼 때는 이들 종교도 하나의 종교 전통으로 이해하는 편이 더 적절하다. 그런 차원에서 이 책에서는 이들 종교를 힌두교와 함께 다루기로 한다.
힌두교는 때에 따라서는 현실세계를 초월하고 세상을 버리고 떠나는 것을 설파하는 종교로, 때에 따라서는 고도의 깨달음과 지혜의 세계를 갖추고 있는 형이상학의 종교로, 때에 따라서는 미신과 야만 그리고 해괴한 의례로 가득찬 미신의 종교로, 때에 따라서는 다신과 이질적 요소들이 무질서하게 섞여 있는 미개한 종교로 그려져 왔다. 신에 관해서만 보아도, 3억 3천의 신을 가진 다신교이면서 그 신들이 브라흐마Brahma, 비슈누, 쉬바의 세 신으로 통합되고 이 세 신은 결국 하나라는 삼위일체 신학 속에서 다른 모든 신이 하나의 거대한 신이 된다. 힌두교가 때로는 다신교로 때로는 유일신교로 때로는 단일신교로 혹은 그보다 더 다양한 신학적 우주론으로 이해되는 건 이런 이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