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힌두교사 깊이 읽기, 종교학이 아닌 역사학으로

힌두교사 깊이 읽기, 종교학이 아닌 역사학으로

이광수 (지은이)
푸른역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0원
22,5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3개 1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힌두교사 깊이 읽기, 종교학이 아닌 역사학으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힌두교사 깊이 읽기, 종교학이 아닌 역사학으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91156121992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1-07-09

책 소개

힌두교라는 종교가 무엇인지를 총체적으로 알려주는 개설서. 세계의 유력 종교 가운데 힌두교만큼 알려지지 않거나 잘못 알려진 종교가 또 있을까 할 정도로 힌두교에 대한 관심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 책은 힌두교에 대한 저자의 30여 년 연구의 집대성이다.

목차

책머리에
인도 지도
인도 종교사 연표

1부 총론

1. 힌두교란 무엇인가
1―1. ’힌두교’ 명명의 문제
1―2. 힌두교 범주의 문제
2. 종교학과 종교사
2―1. 종교학 방법론
2―2. 역사학으로서의 종교사의 필요성
3. 힌두교에 대한 편견과 왜곡
3―1. 힌두교에 대한 유럽 낭만주의의 편견
3―2. 유럽 공리주의자의 힌두교 왜곡

2부 힌두교 형성사

1. 힌두교의 두 가지 원천
1―1. 역사적 배경(기원전 2500~기원전 500)
1―2. 하랍빠 시대의 종교
1―3. 베다 시대의 종교
1―4. 하랍빠 시대와 베다 시대 종교의 사회사적 의미
2. 베다후後 시기의 힌두교의 체계화와 불교의 발생
2―1. 역사적 배경(기원전 500~기원전 400)
2―2. 힌두교의 기본체계 형성
2―3. 불교의 발생
2―4. 베다후 시기 힌두교와 불교의 사회사적 의미
3. 서사시 시기의 종교의 대중화
3―1. 역사적 배경(기원전 400~500)
3―2. 서사시 시기의 힌두교 구조
3―3. 비슈누교의 발전
3―4. 쉬바교의 발전
3―5. 대승불교의 성립
3―6. 서사시 시기 대중화 종교의 사회사적 의미
4. 초기 중세의 종교
4―1. 역사적 배경(500~1200)
4―2. 뿌라나와 힌두교
4―3. 딴뜨라와 밀교
4―4. 초기 중세 시대 대중화 종교의 사회사적 의미
5. 후기 중세의 힌두교
5―1. 역사적 배경(1200~1700)
5―2. 박띠운동
5―3. 이슬람과의 만남과 시크교의 성립
5―4. 후기 중세 시대 박띠운동의 사회사적 의미
6. 근대 힌두교
6―1. 역사적 배경(18세기~현재)
6―2. 근대 종교·사회 개혁운동
6―3. 신新힌두교
6―4. 힌두 민족주의와 종교 공동체 폭력 정치
6―5. 근대 시기 힌두교 변화의 사회사적 의미

3부 힌두교의 성격과 의의

1. 여러 전통의 통합
1―1. 힌두교의 세 가지 전통
1―2. 흡수 통합의 성격
2. 구동 장치로서 바르나(카스트)
2―1. 다양성을 통일성으로 작동하는 세계
2―2. 의례 중심의 성격
2―3. 실천의 종교
3. 관용과 박해 그리고 개종
3―1. 관용의 범주
3―2. 개종과 카스트 체계
3―3. 불관용적인 성격
4. 범신론의 여러 층위
4―1. 단일신론적 성격
4―2. 일원론 위의 범신론과 다신교
5. 윤회의 시간과 역사로서의 신화
5―1. 베다 부회의 의미
5―2. 신화로서의 역사
5―3. 고대 인도인의 역사 인식

저자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광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학자(인도사). 시민운동가. 부산외국어대학교 인도지역통상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고대 종교사를 주전공으로 하고 인도 근현대사, 사진사, 정치, 외교, 사회, 종교, 법, 의식주 문화 등 인도의 여러 분야를 35년간 가르쳤다. 지은 책으로 《인도 100문 100답》(1·2), 《힌두교사 깊이 읽기, 종교학이 아닌 역사학으로》, 《인도사에서 종교와 역사 만들기》, 《인도에서 온 허왕후, 그 만들어진 신화》, 《인도는 무엇으로 사는가》, 《역사는 핵무기보다 무섭다》, 《슬픈 붓다》, 《카스트》, 《현대 인도 저항 운동사》, 《인도 수구 세력 난동사》 등이 있고, 《고대 인도의 정치 이론》, 《침묵의 이면에 감추어진 역사》, 《성스러운 암소 신화》, 《민족주의 사상과 식민지 세계》 등의 옮긴 책이 있다. 논문으로는 〈고대 힌두교에서 지존위 쉬바와 우빠니샤드 이데올로기〉, 〈1947년 인도아대륙 분단과 ‘파키스탄 난민’의 정체성 변화: 델리를 중심으로〉, 〈분쟁과 건설에 대한 한 여성 포토저널리스트의 시선: 호마이 비야라왈라의 분단-국민국가 건설 시기 사진 재현의 의미〉 등 30여 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힌두교란 무엇인가? 문자 그대로 하면, ‘힌두’의 종교다. …… 그렇다면 ‘힌두’란 무엇인가? ‘힌두’는 지금의 인더스Indus(산스끄리뜨어로는 신두Sindhu)강 유역을 가리키는 말이다. 712년 무함마드 이븐 카심Muhammad Ibn Qasim이 신드Sindh 지역을 정복한 후 아랍 사람들은 이 지역, 즉 인더스강 동쪽 지역에 사는 사람들을 ‘힌두’, 그들의 종교를 ‘힌두교’라고 불렀다.


결국 하랍빠 시대(기원전 3300~기원전 1300년경)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이슬람이나 기독교 같은 외래종교를 제외한 인도 아대륙의 모든 종교를 힌두교로 규정하는 게 가장 타당할 것이다. 물론 그 안에는 현대의 종교 분류에서 별개 종교로 간주하는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이 들어 있다. 지금은 다른 종교로 분류되지만, 종교사의 관점에서 볼 때는 이들 종교도 하나의 종교 전통으로 이해하는 편이 더 적절하다. 그런 차원에서 이 책에서는 이들 종교를 힌두교와 함께 다루기로 한다.


힌두교는 때에 따라서는 현실세계를 초월하고 세상을 버리고 떠나는 것을 설파하는 종교로, 때에 따라서는 고도의 깨달음과 지혜의 세계를 갖추고 있는 형이상학의 종교로, 때에 따라서는 미신과 야만 그리고 해괴한 의례로 가득찬 미신의 종교로, 때에 따라서는 다신과 이질적 요소들이 무질서하게 섞여 있는 미개한 종교로 그려져 왔다. 신에 관해서만 보아도, 3억 3천의 신을 가진 다신교이면서 그 신들이 브라흐마Brahma, 비슈누, 쉬바의 세 신으로 통합되고 이 세 신은 결국 하나라는 삼위일체 신학 속에서 다른 모든 신이 하나의 거대한 신이 된다. 힌두교가 때로는 다신교로 때로는 유일신교로 때로는 단일신교로 혹은 그보다 더 다양한 신학적 우주론으로 이해되는 건 이런 이유에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