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6228356
· 쪽수 : 190쪽
· 출판일 : 2023-12-0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4
머리말 /8
일러두기 /16
1부 공부 못해도 성공한 사람들
사례1: 성공한 브라이언 트레이시 /23
사례2: 성공한 A씨에 대한 이야기 /31
참고: 지능지수와 성공지능의 차이는? /38
2부 성공과 실패 요인 분석에 따른 성공지능 만들기
1. ‘난 머리가 나빠서 안 돼’라는 말은 하지마라 /43
신경가소성을 알면 배움을 멈출 수 없는 세상이다 /44
2. 유전자 오작동(Kluge)을 막아야 인생이 풀린다 /47
유전자 오작동을 이겨내는 훈련을 해야 한다 /48
오작동을 이겨내는 13가지 훈련안 /49
3. ‘뇌자극 독서법’으로 두뇌를 좋게 만든다 /54
‘뇌의 복리’ 개념을 깨달아야 독서습관도 만들 수 있다 /57
독서습관은 한 살이라도 어릴 때 만들어야 한다 /59
올바른 독서는 부모와 교육자의 지도가 중요하다 /60
Tip1: 빌 게이츠 독서 이야기 /65
4. 성공하려면 메타인지력이 중요하다 /68
메타인지력을 높여야 실수와 실패가 줄어든다 /71
메타인지력을 높이는 방법은 독서와 실행·실천이다 /72
5. 성공하려면 두뇌를 과학적으로 최적화해야 한다 /75
두뇌 최적화의 첫 번째는 지식인출이다 /77
두뇌 최적화의 두 번째는 ‘시간 간격’이다 /80
성공지능의 최적화는 3단계의 과정을 거친다 /86
Tip2: 성공지능을 높이는 ‘뇌자극 질문법’ 소개 /88
Tip3: 우리나라에 ‘진짜 공부법’이 있었을까? ‘있었다’ /89
6. 초연결 시대 두뇌의 생산성과 창의성을 높여야 성공한다 /91
우선 45분 단절과 15분 연결의 생활습관을 만든다 /94
충분한 수면은 뇌를 효율적이고 창의적으로 만든다 /95
Tip4: (The One Thing) 초연결 시대에 성공하는 법이다 /99
3부. 학습성과를 높이는 방안들과 최선의 독서법 소개
1. 학습성과를 높이는 방안들? (하브루타 제안) /105
같은 시간을 공부해도 다른 결과를 내는 이유는 있다 /107
우선 학생이 공부를 싫어하는 ‘요인이 뭘까?’를 알아본다 /109
학습성과를 위해서 건강한 몸 상태를 유지한다 /111
TIP5: 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학습 조언 /114
2. 오늘날 독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121
선현들이 말하는 최선의 독서법은? /123
Tip6: 대한민국 독서 수준(국제 성인 역량 조사 결과) /127
부록
1. 유대인 자녀교육 일부 소개 /133
Tip7: 뇌과학적으로 ‘두뇌 좋은 아기를 낳고 기르는 법’ /143
2. 성공원칙 일부 소개 /155
3. 부자가 되려면 학교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하나? /167
4, 인지능력을 높이는 필수 과학개념 200가지 /177
저자소개
책속에서
과거에 ‘지능은 타고나고 고정되어 있다’고 믿었다. 사람의 지능은 유전자에 의해 거의 결정되며, 아무리 공부를 한다고 해도 성인이 된 후에는 더 발달하지 않는다고 믿었다. 하지만 최근 뇌 연구(신경가소성 Neuroplasticity)에 따르면, 뇌는 쓰면 쓸수록 좋아진다는 것이다. 인간의 뇌는 사용하기에 따라 없던 신경세포들을 새로 만들기 때문이다. ‘난 머리가 나빠서 안 돼’ 따위의 말은 할 수 없는 세상이 왔다. 훈련에 따라서 IQ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상상 훈련만으로 몸의 근육이 단단해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지식을 높이는 데 있어, 설명하고 싶은 것은 ‘뇌의 복리’라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뇌에 원래의 지식이 100 정도였다고 하자. 그리고 한 달에 한 권의 책을 읽으면 딱 1%의 지식증가가 이루어진다고 하자. 그렇게 1년에 12권씩 읽었다고 가정하면 10년 뒤 지식의 양은 얼마가 될까? 놀랍게도 330, 즉 3.3배가 된다. 겨우 한 달에 한 권 읽었을 뿐인데도! 중요한 건 머릿속에 새로 들어온 지식이 다음 지식을 자극시키고, 다시 그다음 지식을 자극시키는 과정이 엄청난 기하급수 속도로 진행됐다는 것이다. 자신도 모르게 복리로 불어난 지식 덕분에 지능도 획기적으로 좋아지는 것이다.
끝으로 재차 강조하지만, 그동안 공부가 하기 싫고, 공부해도 성적이 오르지 않았다면 먼저 자신의 생각부터 바꾸도록 해야 한다. ‘왜 공부해야 하는가?’가 아니라 ‘나는 무엇을 하고 싶은가?’ ‘나는 무엇을 원하는가?’ ‘나의 꿈은 무엇인가?’를 찾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래야 그에 맞는 계획과 전략을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