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내 나라 내 땅

내 나라 내 땅

이기순 (지은이)
해드림출판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6,200원 -10% 2,300원
0원
1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내 나라 내 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내 나라 내 땅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56341833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7-03-20

책 소개

국토기행과 주인의식이라는 산맥 아래, 아름다운 우리나라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며 때마다 소회를 적은 국토기행 에세이다. 그동안 여러 잡지와 지면을 통해 발표했던 글들을 분류하여 출간한 것이다.

목차

권두시-아, 백두산 /04

1.
01 신남마을의 해신당과 남근신앙.........12
02 아라리의 향수 정선 아우라지............18
03 전통 다도(茶道)의 본향 화개.............24
04 만남과 이별의 장 화개장터...............31
05 아기 사슴의 눈물 소록도...................35
06 어머니의 노래 칠갑산.......................44
07 태백산과 단군신화............................50
08 민족의 성산(聖山) 마리산.................59
09 한강의 발원지 검룡소.......................65
10 원시 생태계의 보고(寶庫) 우포늪......73

2.
11 산골마을 백전리 물레방아.............84
12 안성 남사당 꼭두쇠 바우덕이.........91
13 수도승의 선원 희양산 봉암사.........99
14 서해의 끝섬 백령도........................106
15 울고 넘는 박달재...........................113
16 대관령 역마(驛馬)가 되어..............119
17 새재 옛길을 따라...........................125
18 죽령(竹嶺) 가는 길.........................132
19 안면도의 끝자락 영목항.................140
20 야생화의 하늘꽃밭 곰배령.............145

3.
21 산간오지의 대명사 진동계곡...........156
22 금강송 수난의 현장 고선계곡..........163
23 동화마을로 부활한 모운동..............170
24 역사의 뒤안길 우이령.....................177
25 숨어서 피는 미천골의 단풍.............183
26 하늘이 숨겨둔 비경 덕풍계곡..........190
27 황홀경의 신비 고씨동굴..................197
28 연산군과 광해군의 묘에서..............202
29 조선 왕조의 뿌리 준경묘(濬慶墓)....210
30 사대부의 숨결 깃든 닭실마을..........217

4.
31 송시열의 은거지 화양구곡.............226
32 월악산과 마의태자.........................234
33 국치의 현장 남한산성....................244
34 단종의 유배지 영월........................254
35 두륜산과 서산대사.........................264
36 독립기념관 유감(遺憾)...................273
37 「토지」의 무대 평사리.....................277
38 묏버들의 여심(女心) 홍랑(洪?).......284
39 지리산 변강쇠공원.........................292
40 흥부마을........................................298

저자소개

이기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호 낭산(浪山). 시인, 기행작가. 충북 괴산 출생으로 청주고와 동국대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 오산고(五山高)에서 35년을 근무했다. ‘현대시학’으로 등단하여 한국작가회의 회원, 풀무문학 고문 및 각종 답사에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Daum 카페에 여행 동호회 ‘낯선 곳으로 떠나는 사람들’을 운영하며 내 나라 내 땅의 구석구석을 누비면서 진솔한 ‘우리 것’을 찾아다니고 있다. [저서] 「강물처럼」(시집. 2011) 「문화유산 탐방기」(1994) 「독서 평가록」 (1994) 「문학의 고향을 찾아서」(2008) 「한국문학순례 대표36」(2014) 「내 나라 내 땅」(2017) 「낭산 이야기」 (2020) [편저] 「한국 개화기 소설」(1996) 「한국의 영원한 고전」(1998) 등.
펼치기

책속에서

신남마을의 해신당과 남근 신앙

마을 북쪽 끝머리, 나지막한 산줄기가 끝나는 바위벼랑을 오르면 짙푸른 해송이 바닷바람을 막아섰고, 그 솔숲에 퇴색한 당집 건물이 바다를 등지고 앉아 있다. 이름하여 해신당(海神堂). 바다를 생명의 밭으로 살아가는 갯사람들에게 바다의 신은 고기잡이의 흉풍을 좌우하는 절대의 존재였다. 자연 현상의 섭리에 순응하며 소박한 삶을 운명으로 이어가던 소박한 심성들이 빚어낸 것이 내륙에서는 서낭당〔城隍堂〕이요, 바닷가 사람들에겐 해신당이었다.

따라서 어느 마을에나 동구 밖이나 고갯마루, 바다를 내다보는 언덕배기에 당집이 흔히 있었다. 내 기억으로도 삼척 지방에만도 해신당은 여러 곳이 있었다. 추암이나 용화에도 있었지만, 특히나 이곳 신남이 유명했던 것은 당집에 모신 해신의 유래에서 기인한 탓이리라.

옛적 아주 오랜 옛적, 마을에 사랑하던 남녀가 있었다고 했다. 총각이 처녀를 배에 태우고 해초가 많은 바위섬에 건네다 주고는, 저녁에 데리러 오겠다는 약속을 하고 나왔단다.
그런데, 저녁 무렵이 되자 풍랑이 사나워져 배를 띄워 들어갈 수가 없었다. 몰려오는 파도에 휘몰리던 처녀는 결국 애원을 남긴 채 파도에 묻혀 버렸고, 총각은 처녀의 모습을 그리워하며 시름을 앓았다.
이후로 마을엔 고기잡이가 되지 않았음은 물론이요, 사람들이 바다에 빠져 죽는 변고가 자주 일어나곤 했다. 하루는 총각의 꿈속에 처녀가 나타나 혼인을 이루지 못한 한을 풀어 달라 했다. 그래, 처녀의 원혼을 달래주기 위해 당집을 짓고, 남근(男根)을 깎아 걸어두었더니 후환이 사라졌다는 이야기가 전해 온다.

해신당엔 녹색저고리에 다홍치마를 곱게 차려입은 낭자의 화상(畵像)을 모셔두고, 양편엔 향나무로 깎아 만든 남근을 아홉 개씩 엮어 삼색 천으로 둘러 벽면에 걸쳐두었다. 마을 사람들의 솜씨로 대충 깎기는 했지만, 남근의 모습은 손아귀에 거머쥐기 어려울 정도로 굵고 탱탱하다.
이후로 마을에서는 해마다 정월대보름과 음력 시월, 성기(性器)가 가장 크다는 말(馬)의 날인 첫 오일(午日)을 택해 목봉(木棒) 남근을 바치는 당제를 오늘날까지 지내오는 것이다. 해신제에 제관으로 참여했던 이들이 그 해엔 풍어로 큰 소득을 올린다니, 해신의 신통력이 있기는 있는 모양이다.
시남마을부터가 옛 모습이 아니게 관광객으로 넘치고, 해신당이 위치한 산자락은 이제 잘 단장된 공원으로 탈바꿈되어 있다. 해신당으로 올라가는 초입부터 키를 넘는 남근 조각상들이 우람하게 버티고 있어 달라진 풍경에 눈이 휘둥그레진다.
계단을 따라가며 크고 작은 울퉁불퉁한 남근상들이 좌우에 즐비하다. 삼척시 당국에서 국내외 유명 조각가들을 불러 ‘남근 깎기 대회’를 열어 100여 개의 작품을 선정하여, 여기에 세워두고 남근조각공원으로 꾸몄다니, 아마도 남근공원으로는 세계적으로 가장 잘 꾸며진 곳이 아닌가 여겨진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