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토완역 시경집전 - 중

현토완역 시경집전 - 중

주희 (지은이), 박소동 (옮긴이)
  |  
전통문화연구회
2019-07-15
  |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30,000원 -0% 0원 1,500원 2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토완역 시경집전 - 중

책 정보

· 제목 : 현토완역 시경집전 - 중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91157942107
· 쪽수 : 408쪽

책 소개

전통문화연구회는 2008년 21세기판 동양고전번역의 표준을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총서를 기획하였다. 바로 '오서오경독본' 시리즈다. 전통문화연구회에서는 치밀한 준비와 연구를 거쳐 <논어집주>, <대학 중용집주>에 이어 <시경집전> 세 권을 세상에 내놓게 되었다.

목차

•刊行辭 / 9
•凡 例 / 12

詩經集傳 卷之八

豳 一之十五 / 17
七月(칠월) 18
鴟鴞(치효) 30
東山(동산) 34
破斧(파부) 40
伐柯(벌가) 43
九罭(구역) 45
狼跋(낭발) 47

詩經集傳 卷之九

小雅 二 〔大雅說附〕
鹿鳴之什 二之一 / 52
鹿鳴(녹명) 53
四牡(사모) 56
皇皇者華(황황자화) 60
常棣(상체) 64
伐木(벌목) 70
天保(천보) 74
采薇(채미) 79
出車(출거) 84
杕杜(체두) 89
南陔(남해) 92
白華之什 二之二 / 94
白華(백화) 94
華黍(화서) 94
魚麗(어리) 95
由庚(유경) 97
南有嘉魚(남유가어) 98
崇丘(숭구) 100
南山有臺(남산유대) 101
由儀(유의) 103
蓼蕭(육소) 104
湛露(잠로) 107

詩經集傳 卷之十

彤弓之什 二之三 / 110
彤弓(동궁) 110
菁菁者莪(청청자아) 113
六月(유월) 115
采芑(채기) 120
車攻(거공) 125
吉日(길일) 131
鴻鴈(홍안) 134
庭燎(정료) 137
沔水(면수) 138
鶴鳴(학명) 140

詩經集傳 卷之十一

祈父之什 二之四 / 144
祈父(기보) 144
白駒(백구) 146
黃鳥(황조) 149
我行其野(아행기야) 151
斯干(사간) 154
無羊(무양) 162
節南山(절남산) 165
正月(정월) 173
十月之交(시월지교) 185
雨無正(우무정) 193

詩經集傳 卷之十二

小旻之什 二之五 / 200
小旻(소민) 200
小宛(소완) 205
小弁(소반) 210
巧言(교언) 218
何人斯(하인사) 223
巷伯(항백) 230
谷風(곡풍) 234
蓼莪(육아) 236
大東(대동) 240
四月(사월) 246

詩經集傳 卷之十三

北山之什 二之六 / 251
北山(북산) 251
無將大車(무장대거) 254
小明(소명) 255
鼓鍾(고종) 259
楚茨(초자) 262
信南山(신남산) 269
甫田(보전) 273
大田(대전) 278
瞻彼洛矣(첨피락의) 283
裳裳者華(상상자화) 284

詩經集傳 卷之十四

桑扈之什 二之七 / 288
桑扈(상호) 288
鴛鴦(원앙) 290
頍弁(기변) 291
車舝(거할) 294
靑蠅(청승) 298
賓之初筵(빈지초연) 300
魚藻(어조) 307
采菽(채숙) 308
角弓(각궁) 312
菀柳(울류) 316

詩經集傳 卷之十五

都人士之什 二之八 / 319
都人士(도인사) 319
采綠(채록) 322
黍苗(서묘) 324
隰桑(습상) 326
白華(백화) 328
緜蠻(면만) 332
瓠葉(호엽) 334
漸漸之石(삼삼지석) 336
苕之華(초지화) 338
何草不黃(하초불황) 339

詩經集傳 卷之十六

大雅 三
文王之什 三之一 / 342
文王(문왕) 342
大明(대명) 350
緜(면) 357
棫樸(역복) 365
旱麓(한록) 369
思齊(사재) 372
皇矣(황의) 376
靈臺(영대) 387
下武(하무) 390
文王有聲(문왕유성) 393

附 錄
•《詩經集傳 中》 도판 목록 / 403

저자소개

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자의 이름은 주희(朱熹, 1130∼1200)이며, 자는 원회(元晦) 또는 중회(仲晦), 호는 회암(晦庵), 시호는 ‘문(文)’이어서 ‘주문공(朱文公)’이라 부른다. 원적은 흡주(翕州) 무원[婺源, 지금의 장시성(江西省) 우위안시]인데, 흡주가 남송 때 휘주(徽州)로 개칭되었고, 휘주(지금의 안후이성) 아래쪽에 신안강(新安江)이 흘러서 그의 본관을 ‘신안’이라고 한다. 주자는 공자와 맹자 이후로 중국 역대 최고 사상가 중 한 사람이다. 북송 5자[주돈이, 정호, 정이, 장재, 소옹(邵雍)]의 유가 학문을 집대성하면서, 주돈이의 ‘태극(太極)’을 정호의 ‘천리(天理)’와 같은 것으로 보고, 정이의 ‘성즉리(性卽理)’ 사상을 발전시켜 성리학을 완성했다. 또 중국 유가 경전을 정리해 ≪논어(論語)≫, ≪맹자(孟子)≫, ≪대학(大學)≫, ≪중용(中庸)≫을 4서로, ≪시경(詩經)≫, ≪상서(尙書)≫, ≪주역(周易)≫, ≪예기(禮記)≫, ≪춘추(春秋)≫를 5경으로 분류했다. 19세 때 진사에 급제한 이후, 고종(高宗), 효종(孝宗), 광종(光宗), 영종(寧宗) 등 네 임금이 차례로 바뀌는 동안 실제로 벼슬을 한 기간은 지방 관리로 8년 여, 황제에게 조언과 강의를 하는 벼슬인 궁중 시강으로 46일, 도합 9년이 채 되지 않는다. 그는 관직 생활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간을 무이산과 부근의 숭안, 건양 등지에서 보냈다. 주자는 강경한 성격과 단호한 태도로 인해 여러 사람들로부터 오해를 받았는데, 결국 당시 실세인 한탁주(韓侂冑)의 의도적인 배척과 호굉이 작성하고 심계조(沈繼祖)가 올린 탄핵문에 의해 1196년 시강과 사당 관리직에서 해임되었으며, 1198년에는 ‘위학(僞學)’으로 내몰려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 일절 금지되었다. 물론 ‘위학’ 규정에 따라 벼슬도 하지 못했다. 그는 향년 71세의 나이로 1200년 음력 3월 9일에 건양 고정(孤亭) 마을의 창주정사(滄州精舍)에서 숨을 거두었다. 사후인 1208년에 시호를 받았고, 정치적인 탄압 때문에 1221년이 되어서야 겨우 행장(行狀), 즉 전기가 나올 수 있었다. 그의 사위인 황간(黃榦, 1152∼1221)이 썼다. 1227년에는 ‘태사(太師)’라는 칭호를 받아 ‘신국공(信國公)’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이듬해 ‘휘국공(徽國公)’으로 개봉(改封)되었다. 그가 편찬한 책은 80여 종, 남아 있는 편지글은 2000여 편, 대화록은 140편에 달하며, 총 자수로는 2천만 자나 된다. 주요 저서로는 ≪사서장구집주(四書章句集注)≫, ≪초사집주(楚辭集注)≫, ≪시집전(詩集傳)≫,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 등이 있으며, 그의 제자들이 편찬한 ≪주자어류(朱子語類)≫, ≪문공가례(文公家禮)≫, ≪주회암집(朱晦庵集)≫ 등이 있다. 그리고 여조겸과 공동 편찬한 ≪근사록(近思錄)≫은 주돈이(周敦頤), 정호(程顥), 정이(程頤), 장재(張載)의 글과 말에서 622개 항목을 가려 뽑아 14개의 주제별로 분류 정리한 책으로, 이후 성리학자들이 가장 중시하는 문헌 중 하나가 되었다. 주자는 경학, 사학, 문학, 불학(佛學)뿐만 아니라 ‘이(理)’가 물질세계의 근원에 존재한다는 차원에서 심지어는 자연과학 서적까지도 고증을 거치고 훈고를 행해 올바른 주석을 달았다.
펼치기
박소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 구례 광의 출생 난포蘭圃 서한봉徐漢奉 선생 사사師事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 및 상임연구부 졸업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졸업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실장·편찬실장·교무처장 역임 한국고전번역원 한학교수 성균관대학교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 겸임교수 한국고전번역원 명예한학교수(현)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초빙교수(현) 국민훈장 동백장冬栢章 수훈受勳 [논문 및 역서] [논문論文] <고전국역사업의 회고回顧와 전망展望>, <예禮와 악무樂舞의 상호관련성>, <퇴계사서석의退溪四書釋義의 경학적특성經學的特性에 관한 연구>, <고전국역古典國譯의 실제實際>, <조선왕조의궤번역朝鮮王朝儀軌飜譯의 현황現況과 과제課題>, <한국고전번역의 역사歷史> [역서譯書]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 <친경·친잠의궤親耕親蠶儀軌>, <고종임인진연의궤高宗壬寅進宴儀軌> 공역共譯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5>, <송자대전宋子大全6, 10>, <홍재전서弘齋全書16>, <중종실록中宗實錄48>, <명종실록明宗實錄15>, <선조실록宣祖實錄13, 30, 38>,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5, 14>, <인조실록仁祖實錄6, 17>, <효종실록孝宗實錄1> 편서編書 <궁궐 밖의 역사> 외
펼치기

책속에서

關關雎鳩 구욱구욱 정겨운 물수리
在河之洲 하수 모래톱에 노닐고
窈窕淑女 얌전도 할사 숙녀는
君子好逑 군자의 좋은 짝이로세
-(<關雎(관저)> )


碩鼠碩鼠 큰 쥐야 큰 쥐야
無食我黍 내 기장 먹지 말지어다
三歲貫女 오래도록 너와 잘 지냈는데
莫我肯顧 날 돌보려 하지 않는다면
逝將去女 내 너를 버리고 떠나
適彼樂土 저기 살기 좋은 곳으로 가리라
樂土樂土 살기 좋은 곳 살기 좋은 곳
爰得我所 내가 살 곳이로다
-(<碩鼠(석서)> )


七月流火 칠월이라 대화심성 서쪽으로 내려가면
九月授衣 구월이라 겨울옷을 주느니라
一之日觱發 동짓달엔 바람 쌀쌀하고
二之日栗烈 섣달엔 날씨 차가우니
無衣無褐 비단옷 털옷 없으면
何以卒歲 어떻게 한 해를 마치리오
三之日于耜 정월엔 나가서 보습 고치고
四之日擧趾 이월엔 밭 갈러 가거든
同我婦子 우리 아내 자식 함께
饁彼南畝 남쪽 밭에 점심 내어오면
田畯至喜 권농관 와서 보고 기뻐하였느니라
-(七月(칠월)>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