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 부자의 세상을 읽는 지혜

조선 부자의 세상을 읽는 지혜

(그들은 어떻게 부자가 되었나?)

이준구, 강호성 (엮은이)
스타북스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800원 -10% 540원 9,180원 >

책 이미지

조선 부자의 세상을 읽는 지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 부자의 세상을 읽는 지혜 (그들은 어떻게 부자가 되었나?)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57956241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1-12-05

책 소개

조선의 여러 부자들을 소개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깊이 있게 담아낸 우리나라 부자의 역사서. 우리에게 익히 이름을 알린 부자부터 세상에 잘 알려지지 않은 부자들까지. 그들을 통해 돈의 가치와 개념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홍순언 - 하룻밤의 은혜로 거부가 된 역관
객기 때문에 떨어진 신용 | 종계변무를 해결하다 | 어배御杯 들고 취한 척 넘어지다 | 명明에 청병 때도 대접 받다

임치종 - 재물을 다스리는 데 뛰어난 거상
마음 통하면 거금쯤 쉽게 던지다 | 말조심의 소중함을 느끼다 | 암행어사도 감복한 사연

임상옥 - 인삼으로 한 시대를 평정한 무역왕
5년 동안 쌓은 집이 무너지다 | 임상옥의 창고는 부엉이 창고 | 없는 게 없는 박물군자 | 상을 당해도 떠나야 하는 장사꾼의 운명 | 순간적인 기지로 인삼 교역권을 얻다 | 인삼과 인삼 교역권이 만든 임상옥 | 인삼을 태워 버린 배짱 | 허풍쟁이에게 투자할 줄 아는 안목 | 산삼 감정에도 신인神人 | 목숨과 바꾼 5만 냥 | 말년이 외로웠던 거상

백선행 - 꾸밈없는 과부의 끊임없는 선행
죽어도 강도에겐 돈 못 준다 | 본격적인 선행 | 탁월한 기억력의 소유자

최봉준 - 소를 몰고 온 천만장자
개인 소유 선박을 갖은 해상왕 | 귀향한 천만장자의 둥지 | 러시아로 떠난 고아 소년 | 두만강을 건너고 죽을 고비를 겪다 | 생명의 은인 야린스키와의 인연 | 항상 고국을 향했던 마음 | 소 무역의 국제적 거부 | 사람보다 소가 먼저 보험 들다

최송설당 - 전 재산을 학교 설립에 쓴 여장부
가문의 역적 누명을 벗기다 | 최송설당을 기리는 장례식 | 가진 돈 모두를 학교 설립에 기부

이승훈 - 독립운동가로 다시 태어난 무역상인
4년 동안 가래침 요강을 부신 보람 | 남에게 절대 기대지 않는 완강한 철학 | 보부상으로 자리매김하다 | 바른 말로 유기공장을 세우다 | 전쟁통에도 신의를 잃지 않다 | 바른 소리의 사나이 | 두 번의 고배를 마신 이승훈 | 천하 거부의 계속되는 실패 | 썩어 가는 쇠가죽 처분 | 안창호의 연설에 감복하다 | 조국 성장에 앞장 선 남강

안순환 - 거친 인생에서 꽃피운 명월관 설립자
개과천선한 패륜아 | 울분 많은 어린 시절 | 백성을 대신한 원각사 인수 | 불우한 기억이 명월관 탄생

김기덕 - 배짱으로 밀어붙인 천만장자
외국어 공부가 성공의 발판이 되다 | 도깨비 놀음에 홀린 김기덕 | 괘종시계 하나로 재기에 성공하다 | 보잘 것 없는 쌍둥이 섬으로 일확천금 | 거금은 사회 공동의 재산이다

최남 - 두 발 앞선 신기술의 귀재
청년이여, 큰 희망을 품어라 | 눈칫밥 속 배움의 길 | 황금정에서의 첫 장사 | 3·1운동으로 번창한 덕원상회 | 일본을 견제한 한국판 백화점 설립 | 늘 새로운 것을 시도했던 개척자

최창학 - 망치 하나로 거부가 된 황금왕
구성광산에서 노다지를 캐다 | 망치 차고 산 속에 뛰어든 지 5년 | 뒤바뀔 뻔한 최창학의 운명 | 노다지 굴에 쳐들어온 무장 독립단 | 사회사업에도 명성을 떨치다 | 비행기 한 대 값을 바친 황금왕 | 김구 선생에게 헌납한 경교장

경주 최부자 - 12대를 거쳐 300년을 이어온 부의 비밀
최부잣집의 육훈六訓 | 최부잣집의 육연六然

저자소개

이준구 (엮은이)    정보 더보기
교육학 박사. 연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교육학과를 거쳐 일본 쓰쿠바대학에서 수학하고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동 대학에서 객원 교수를 역임했다. 홍익대학교 학보사 주간과 전국대학신문협의회 회장, 대한교육연합회(현 대한교육총연합) 수석부회장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홍익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조선조 말기의 근대화에 있어서』 『전환기의 한국 사회에 관한 연구』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1956년 〈조선일보〉에 「우리아기」로 문단에 데뷔해 한국문인협회 이사 역임, 한국아동문학 부회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국제펜클럽 회원, 한국문인협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인간학회 회장으로 있다. 주요 저서로는 『윤리와 사상』 『사회사상사』 『현대논리학』 『한일 양국의 근대화와 교육』 『코스모스 피는 길』 『독서와 논술』 『철학아 놀자 1, 2』 및 공저로 『조선 부자의 세상을 읽는 지혜』와 조선을 움직인 위대한 인물들 시리즈 『조선의 선비』 『조선의 정승』 『조선의 부자』 『조선의 화가』 등이 있다.
펼치기
강호성 (엮은이)    정보 더보기
광양에서 태어나 조선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했다. 배낭여행을 통해 일본 문화에 호기심을 갖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다시 외국어대학에서 일본어를 전공하고 어학연수로 일본에 건너가 도쿄에 있는 문화대학에서 1년간 수학했다. 일본에 있는 동안 한일 비교 문화에 대한 글을 잡지사에 기고했고, 귀국 후 엔터스코리아에서 번역 일을 하다 잡지사로 직장을 옮겨 근무하면서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입상했다. 이후 KBS 구성 작가를 시작으로 현재는 독서와 여행을 통해 영감을 축적하고 출판 기획과 함께 글쓰기에 전념하고 있다. 공저로 『조선 부자의 세상을 읽는 지혜』와 조선을 움직인 위대한 인물들 시리즈 『조선의 선비』 『조선의 정승』 『조선의 부자』 『조선의 화가』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처음에는 상상을 초월한 임상옥의 미친 짓에 기가 질렸고, 두 번째로는 천하의 활인초(사람의 목숨을 살리는 풀)를 태워 버리는 것에 대한 분노를 느꼈다. 그런 다음에야 장삿속이 드러났다.
‘임상옥의 인삼을 못 사면 올 일 년 동안 중국엔 인삼이 없다.’
중국 상인들은 임상옥에게 뛰어들었다.
“임 대인, 왜 이러시오? 이 천하 명약이 재가 되면….”
“천하 명약이라도 명약을 몰라보는 사람에게는 안 팔겠소.”
“우리가 인삼을 몰라봤다니요. 어서 불을 끄도록 이르시오!”
“당신들에게는 안 팔겠소.”
“값은 얼마든지 내리다! 어서 불이나 끄시오.”
이렇게 해서 임상옥과 북경 장사꾼들의 싸움은 쉽게 승부가 나고 말았다.
- ‘임상옥, 인삼으로 한 시대를 평정한 무역왕’ 중에서


백 과부는 남편의 장례를 치른 이튿날부터 억척스럽게 일을 했다. 대개 청상이 되면 시름을 잊기 위해 일을 했고 잡념과 설움을 떨쳐 버리려고 땀을 흘렸다. 그래야 기나긴 독수공방을 견딜 수 있었다.
그는 평양 변두리인 제 집 앞뒤 마당에 봉숭아 씨를 뿌려 모종을 하고 꽃이 핀 뒤 씨를 받아 닷새 만에 열리는 장에다 내다 팔았다. 질동이를 머리에 이고 음식점을 돌며 뜨물 찌꺼기를 거두어 돼지를 길렀고 남는 음식 찌꺼기는 다른 집에 팔아 돈을 모았다. 틈나는 대로 삯바느질, 콩나물 기르기 등 품삯을 준다면 아무리 궂은일이라도 마다 않고 일을 했다. 백 과부는 돈 되는 것은 무엇이나 내다 팔았고 장날이 돌아올 적에는 무명베 한 필을 짤 만큼의 목화를 사 왔다.
그날 밤에 씨아로 목화씨를 발라내어선 기름을 짜서 팔았다. 이튿날 새벽부터 이 무명을 물레로 실을 뽑아, 이틀 뒤면 베 한 필 길이로 날아 겻불을 피우고 베를 매었다. 그날 밤부터 베틀에 얹어 하루 밤낮을 뚝딱거려 쉬지 않고 베를 짜면 한 필의 무명이 되었다. 다음 장날 이 무명을 내다 팔고 또 목화를 사오고 나머지 돈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았다. 한 푼 두 푼 엽전이 모이면 항아리에 담아 부엌에 묻었고 이것이 모여 목돈이 되고 이 돈꿰미가 남몰래 늘어 가는 것을 낙으로 삼았다. 이러구러 지내는 동안 백 과부의 나이 서른 살이 넘었고, 근검절약 10여 년 모은 돈으로 그녀는 평양 근교의 땅을 사 모으기 시작했다. 흉년이 들거나 멀리 외지로 떠나는 사람들의 토지는 헐값으로 살 수 있었기에 그의 재산은 몇 해 만에 거부 소리를 들을 만큼 불어났다. 백 과부는 실상 알부자가 되었건만 그가 먹고 입는 자봉(自奉)은 예대로 형편없었다.
- ‘백선행, 꾸밈없는 과부의 끊임없는 선행’ 중에서


최남은 실망하지 않았다. 남이 보기에는 계속 ‘괴짜짓’만 하면서도 대금을 노리는 아이디어를 짜냈다.
이번에 시도한 것은 ‘10전 균일시(十錢均一市)’라는 새로운 상술이었다. 10전 균일시는 그때 미국에서 막 탄생해서 인기를 끌고 있던 ‘10cent store’의 방법을 재빨리 수입해서 시도한 것이다. 즉 온갖 ‘10전짜리 상품’만 늘어놓고 파는 것으로 그야말로 싼 상품을 많이 팔아서 큰 이익을 보려는 생각이었다.
조선 사람이야 항상 가난하다. 더구나 식민지 수탈정책에 따라 생계가 점점 쪼들리고 일용품을 생산하던 공장들이 점차 군수품으로 전환해 가는 시기였다. 싸야 한다, 값이 싸야 잘 팔린다.
그러나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수준은 최남의 생각에 미치지 못했다. 소비자들은 관습적이고 보수적인 데가 있어서 습관화된 일상성을 깨기가 쉽지 않다.
- ‘최남, 두 발 앞선 신기술의 귀재’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57956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