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58090982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5-02-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신약을 읽기 전에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
정경, 외경, 위경
성서의 권위
2. 언어와 지리
사울과 바울
말과 지혜의 아름다움으로 전하는 십자가
아시아와 소아시아
아라비아로 갔다가
말씨와 맘씨
3. 성서와 로마의 통치 체제
황제의 친구와 예수의 친구
황제의 것과 하나님의 것
로마의 평화와 예수의 평화
엄격한 분과 나귀 새끼를 탄 사람
라마에서 들려오는 소리
로마 시민의 살맛, 다른 이들의 죽을 맛
4. 종교와 문화
마태복음서와 유대교
1세기 유대교 갱신 운동
동방박사 이야기의 문화・종교적 정황
거짓 그리스도, 거짓 예언자
5. 예수
예수의 족보
‘예수’라는 이름
임마누엘
희망의 이름
사람의 아들
예수의 치유
6. 예수의 사람들
예수의 스승 혹은 체제 기만의 피해자
예수, 그다음 예수
품, 그리고 머묾
7. 교회
초대교회로 돌아가자?
목사가 할 일과 집사가 할 일?
‘너희 몸이 성전인 것’과 주초
두세 사람이라도
8. 믿음과 기도
나는 무슨 일이든지 할 수 있습니다?
믿는 자에게는 능치 못함이 없다?
여러분의 소원을 하나님께 아뢰십시오. 그러면,
과부, 성가신 기도의 성공자인가?
9. 이해와 오해
예수와 바알세불
네가 말한다
분노인가 사랑인가
‘아빠(Abba)’는 아빠인가?
경배와 의심
맺는말: 진리의 성령을 초대하며
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질학을 연구한 전도유망한 젊은 학자가 대학원 세미나에서 강의하면 모든 학생은 그 학자의 말을 경청하고, 이해하고, 받아 적으려고 노력할 것이다. 그러나 신학자들의 경우는 그것과는 사뭇 다르다. 수십 년간 신학을 연구한 노(老)학자가 대학 1학년생들에게 강의를 시작하면, 곧바로 손을 드는 학생들이 있다. 그들은 몇 개의 성서 구절을 그 자리에서 암송하고는 노교수의 견해가 ‘성서적으로 잘못되었다’고 지적하고 비판한다. 신학의 학문성이 통속적 고정관념에 의해 짓눌리는 사례들을 살펴보면, 학문의 울타리 밖으로 나오는 학문적 권위가 왜 기존의 ‘성서적 견해’를 확인해주는 선에서 자신의 사회적 발언을 멈추려 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바울은 토론하고 논증하고 설득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인”이었다. 그는 사람들의 영혼에 호소하였을 뿐 아니라 그들의 이성적 동의를 구하는 데 게으르지 않았다.
성서의 권위는 성서가 하나님의 영감으로 기록되었다는 고백이 내적인 자발성에서 비롯될 때, 또 성서의 문자가 하나님의 말씀으로 내 삶의 시비(是非)를 가려줄 때, 그 말씀에 따라 살면서 기쁨을 느끼게 될 때 일어나는 하나의 사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