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ISBN : 9791158486778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목차
제1장 다중심사회의 현안과 공공・융합어문학의 실천
∙ 공동체의 지속과 변화에 관한 체험주의적 해석
∙ 인공지능 학습용 말뭉치의 어휘・화용적 특징에 대한 계량적 연구
∙ 조선 시대의 漢語系 외래어 및 華音 표기법과의 비교로 본 오늘날의 중국어계 외래어 및 중국어음 표기법
∙ 오스트리아 국립 도서관 『類合』의 판본 연구
제2장 한국어・한국문학 교육의 글로컬 현장과 그 미래
∙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정치적 공정성의 문제
- 여성 결혼이민자와 이주노동자 교재의 문법 항목을 중심으로 -
∙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을 중심으로 한 태국인 한국어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 언택트 시대 뉴미디어 지역어 가치 창출의 양면성 연구
- 중국 더우인 콘텐츠를 중심으로 -
제3장 지역어문학의 전통과 트랜스 로컬리티의 모색
∙ 과시와 치유의 노래, <면앙정가>
- 송순의 정치 역정을 통해 본 <면앙정가>의 세계 -
∙ 가정소설에 나타난 부정(不貞)의 전략적 의미
- <정을선전>을 중심으로 -
∙ 세계문학과 민족문학 사이
- 식민지 조선에서 번역 주체의 향방, 홍명희의 경우 -
∙ 다른 빛깔의 어둠들
- 동아시아의 루쉰론과 이명선『魯迅 雜感文 選集』-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간은 끊임없이 공간과 시간을 경험하면서 삶의 방식을 만들어가고, 그것이 일정 기간 동안 지속되고 축적되어 형성된 것이 민속이자 문화이다. 인간이 공간 속에서 생활하기 위해 시각적인 활동을 이용하고, 운동과 사건과 같은 다양한 움직임을 경험한다. 따라서 우리의 시각 능력과 공간 통과 능력이 공간관계 개념들과 그것들의 논리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학습을 위해 구축한 대화 말뭉치(코퍼스, Corpus)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그 어휘적 특징 및 화행적 특징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으로, 어휘적 분석은 말뭉치에 사용된 어휘를 분석하여 어휘의 밀집성과 다양성을 분석하는 것이고, 화행적 분석은 망뭉치 문장에서 직접 화행 과 간접 화행의 분포 비율을 비교하는 것이다.
우리 조상들은 중국과 교섭을 시작하며 한어와 접촉하고 漢子를 받아들였다. 이런 교섭의 초기에는 한자를 통하여 표시하는 한어의 독법이 중국 현지의 독법과 유사도가 높았을 것이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며 한어와 국어에서의 한자음은 각 언어의 질서에 따라 변화를 거치게 되어 점점 차이점이 생겨나고 많아지게 되었으며, 급기야는 따로 외국어로서 한어를 학습하지 않으면 현지의 음을 구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