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말의 자리

말의 자리

손희하, 위평량, 이기갑, 임환모, 이미란, 황금연, 한정훈, 전동진, 김경표 (지은이)
파종모종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말의 자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말의 자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에세이
· ISBN : 9791197368707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1-12-22

책 소개

광주일상어 인문교양 에세이 1권. 광주·전남의 탁월한 지역말 연구자들이 오랜 탐구의 결실을 모아 펴낸 책이다. 우리가 발 딛고 사는 ‘여기 이곳’ 광주의 일상어를 요모조모 뜯어보고, 말 뿌리를 찬찬히 거슬러 찾아보고, 생생한 현장의 용례를 끌어다 보여주고, 낱낱의 말속에 담긴 아름다운 감성을 자분자분 풀어놓았다.

목차

탯속에서 배운 말, 방언
광주와 전라도는 어딜 가도 우리 마실 맹키다 외
7년의 추억
유년시절의 언어와 상소리의 미학
말의 기억
삶과 말의 동행
진짜 죽인다는 말이 아닌 '디진다, 디져' 외
무등에서 극락까지 시를 따라 흐르다
광주어 용어 풀이

저자소개

이기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1977)하고, 동 대학에서 문학 석사학위(1979) 및 박사학위(1986)를 받았다. 목포대학교 국문과 교수(1981~2020), UC Santa Barbara 방문교수(1991~1993), Indiana University 방문교수(2001~2003)를 역임하고, 현재 목포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 『전라남도의 언어지리(1986), 『방언학의 자료와 이론』(공저, 1990), 『호남의 언어와 문화』(공저, 1998), 『전남방언사전』(공편, 1998), 『국어방언문법』(2003), 『언어유형론』 1~3(공저, 2008), 『전라도의 말과 문화』(2013), 『전라도말 산책』(2015), 『국어담화문법』(2015), 『국어방언의 담화표지』(2018), 『서남방언의 문법』(2022) 등이 있고, 구술발화 자료집(표준어 대역과 주석 포함)으로 『전남 곡성 지역의 언어와 생활』(2007), 『전남 진도 지역의 언어와 생활』(2009), 『전남 영광 지역의 언어와 생활』(2011), 『전남 영암 지역의 언어와 생활』(2016), 『전남 보성 지역의 언어와 생활』(2016), 『전남 광양 지역의 언어와 생활』(2017), 『전남 신안(압해도) 지역의 언어와 생활』(2019)이 있다.
펼치기
임환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1930년대 한국문학비평연구 : 김남천의 리얼리즘과 최재서의 모더니즘을 중심으로」로 문학박사학위를 받고,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남대학교 도서관장과 현대문학이론과비평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문학적 이념과 비평적 지성』(1993), 『송기숙의 소설세계』(편저, 2001), 『한국 현대시의 형상성과 풍경의 깊이』(2007), 『한국 현대소설의 서사성과 근대성』(2008), 『1960년대 한국문학』(편저, 2015), 『손광은의 시와 시세계』(편저, 2015), 『한국문학사』(공저, 2017), 『한국문학의 이해와 감상』(공저, 2017), 『발터 벤야민과 한국문학』(공저, 2018)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손희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교수 현재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국어학회 평의원, 한국지명학회·국어사학회 고문 등을 맡고 있으며, 동경대학 외국인연구원, 푸단대학 객원교수, 한국지명학장, 문화관광부 국립국어원 국어정책진흥본부장·언어정책부장, 국어심의회 어문규범분과 위원장, 국토교통부 역명심의 위원장, 한글날국경일제정 범국민추진위원회 지도위원, 한글문화세계화운동본부 이사·광주본부장, 한글날큰잔치조직위원회 부위원장, 문화방송 우리말위원회 위원, 교육부 국정도서(국어) 심의위원, 전남대학교국어문화원장 등을 역임했다.
펼치기
이미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교수 1983년 광주일보와 1985년 서울신문의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다. 1997년 광주문학상, 2009년 광주일보문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문예창작론과 작가론을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이미란의 다른 책 >
김경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연구원 ・저서 및 논문: 『지역어문학 기반 국어학 연구의 도전과 성과』(공저, 2019) 『전남 신안군 해녀의 언어 연구』(2020) 『말의 자리』(공저, 2021) 「전남 신안군 해녀의 언어 연구」(2021) 「완도군 서부지역 자생해녀의 언어 연구」(2022) 「대방언권, 중방언권, 소방언권 사전 현황 및 기술 내용 분석」(2022)
펼치기
위평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자는 30여 년이 넘는 시간 우리의 전통문화와 토속어를 연구하여 왔고 방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오랜 시간 방언 조사를 하면서 많은 사람을 만나고 이제는 스스로 관상쟁이가 되었다고 말한다. 순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저서로는『문학 교과서』,『고전 교과서』(공저, 해냄출판사)와 『전라도 말의 뿌리』(북트리),『팔도 말모이』(21세기사)가 있고, 논문으로는‘전남, 경남 접경지역의 언어 연구(박사학위 논문)’,‘『토지』의 방언적 성격’외 10여 편이 있다.
펼치기
한정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EU센터 소장 한국정치학회 연구이사
펼치기
황금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전남대학교 국어국문과를 졸업하고 동대학교에서 문학석사·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전남대 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이다.
펼치기
전동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전남대학교 강사 1970년 화순 운주사 가는 길목에 있는 구름달마을에서 태어나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을졸업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1970년대 중반 시골에서 중학교를 마치고 광주로 유학(?)을 와서 형과 자취 생활을 했을 때의 경험이다. ‘촌놈’이라는 말을 들르면서도 시간만 나면 충장로 거리를 활보하는 것이 큰 재미였다. 돈이 없으니 궁전제과나 뉴욕제과에는 들어갈 엄두를 내지 못하고 오직 눈요기 삼아 충장로 일대를 활보했을 뿐이다. 그런데 어느 날 단짝인 친구와 화신백화점 앞에서 충격적인 사건을 목격했다. 그날도 역시 아주 많은 사람들이 충장로를 거닐고 있었다. 머리칼이 희끗희끗하고 젊잖아 보이는 어느 노신사가 갑자기 반대편에 오고 있는 다른 노신사에게 사자후처럼 내뱉은 말은 지금도 충격적이다.
“아 이 씨팔놈아! 오랜만이다.”
“시팔놈, 안 죽고 살았네!”
내가 아무리 천둥벌거숭이 촌사람일지라도 1974년 그 당시까지도 이런 욕설을 해본 일이 없었다. 두 노신사가 어떤 사이인지, 어떤 사연을 가지고 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너무도 반가워하는 모습은 역역했다. 그렇다고 그 많은 사람들이 있는 공공장소에서 그렇게 큰 소리로 그런 욕설을 서슴없이 내뱉다니 이해할 수 없었다. 이 사건은 나에게 오래도록 숙제로 남아서 나의 뇌리를 떠나지 않았다. 상당한 시간이 흘러 대학원에 진학하고 문학을 공부하면서 프로이드와 라캉을 읽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 해답을 찾을 수 있었다. 절친한 벗을 너무도 우연스러운 장소에서 갑자기 맞닥트릴 때의 그 기쁨을, 초자아의 검열을 거치지 않고 무의식적 욕망이 상징계의 질서를 찢고, 분출했을 것이라는 추론이 그것이다.
임환모, <유년시절의 언어와 상소리의 미학> 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