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동양사일반
· ISBN : 9791158525064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4-11-25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들어가며
1. 저술 배경으로서 문명권 논의와 책의 구성
2. 카자흐스탄의 노마드적 정체성 확립
3. 초원길을 생각하며 신노마디즘으로 형제국가의 미래를
제1장 알타이 문화연대 형성, 한민족의 시원을 찾아서
제1절_ 알타이 지역을 기원으로 하는 형제국가
제2절_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계통적 친연성에서 온 연결고리 4가지
제3절_ 신이 내린 축복의 땅, 동카자흐스탄의 관광자원
제4절_ 미래 인류 문명사의 새출발을 위한 성지(聖地)로서의 알타이
제2장 새로운 카자흐스탄으로 아스타나는 이륙준비 완료
제1절_ 무(無)에서 유(有)로 거듭나다
제2절_ 미래도시, 유라시아 양식을 찾아서
제3절_ 아스타나 근교의 자연명소들
제4절_ 디지털 알타이 연대의 센터로서 초원길 부활
제3장 검은 황금의 땅, 카스피해 연안 개발
제1절_ 자원 부국 카자흐스탄의 고민
제2절_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자원 개발 협력
제3절_ 카스피해 주변 신비한 보물반도
제4장 시르다리야 강가에서 세 번 놀란 까닭은?
제1절_ 시르다리야 강가의 전설적 인물, 코르ㅤㅋㅡㅅ 아타
제2절_ 다민족 카자흐스탄의 자랑스러운 코리안 디아스포라
제3절_ 우주와 가장 가까운 곳 바이코누르 우주 발사기지
제4절_ 시르다리야강을 따라서 바이코누르 관련 볼거리
제5장 실크로드 오아시스의 길 카라반 쉼터 타라즈와 쉼켄트
제1절_ 타라즈가 고선지 장군의 탈라스?
제2절_ 낙타행렬의 실크로드가 철길·도로 및 디지털로 부활하다
제3절_ 역사를 품은 도시, 타라즈 일대 여행하기
제4절_ 잠시 쉬었다 가실래요? 쉼켄트에서
제5절_ 잃어버린 도시 오트라르성 유적과 투르키스탄을 찾아서
제6장 경제문화의 수도, 중앙아시아의 허브 알마티
제1절_ 유럽과 아시아, 그 경계의 작은 보석
제2절_ 테마로 알아보는 알마티 시내 관광루트
제3절_ 천혜의 자연환경 속 진정한 자유를 찾다
제4절_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근교지 여행을 떠나보자!
제7장 까레이스키의 성지 우슈토베에 오기까지: 고려인의 여정과 정착, 그리고 내일은?
제1절_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현주소는?
제2절_ 왜 극동에서 강제이주를 당해, 첫 정착지 우슈토베로 왔는가?
제3절_ 어떻게 고려인 청년이 신랑감 1호가 되었는가?
제4절_ 한국 고유의 전통문화에 새것 수용하면서 정체성 유지
제5절_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시대변화에 따른 적응과제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카자흐인들은 다민족, 다문화의 역사적 경험에 따라 나와 다른 것에 대한 관용과 이해, 포용, 학습의 성격이 강한 민족이다. 지식정보화사회에 있어서는 교육도 ‘가르침’보다는 지식과 정보를 어떻게 창조하고 실제 사용할 수 있는가 하는 ‘학습’이 더 중요하다. 또한 사물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보는 시각과 서로 다른 것을 존중하며 다양성을 포용하는 생활양식이 더 요구된다.
한국어와 카자흐어가 모두 알타이어족의 뿌리를 공유한다는 설이 존재한다. 언어학자들에 따르면 한국어와 카자흐어의 단어는 말(馬, 말), 약간(자큰), 부락(블락), 까탈스러운(카탈) 등 약 300여 개의 단어에서 유사성이 발견될 정도로 양국의 친연성이 깊다는 것이다.
카자흐스탄이 국가발전 핵심전략으로 ‘열린 카자흐스탄’을 만들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지금 세계는 단일 민족국가에서 벗어나 여러 국가의 힘을 아우르는 문화적 역량을 국가발전의 목표로 삼을 것을 요구하고 있지 않은가? 이제는 지각변동을 일으키며 새로운 모델을 창출하는 ‘열린 새로운 카자흐스탄’이 답이다. 변화에 열려있는 개방성과 내부의 문화적 다양성을 수용하는 포용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단 ‘알타이 공동의 집’을 통해 주변의 힘을 결집하기 위한 설득의 역량을 갖춘다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