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58773656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3-11-30
책 소개
목차
축사 _ 이원택
추천사 _ 조태영
작가의 글
헌사
1. 북관 조선인들의 대탈출
1869년, 기사년이 조선족 역사의 시작이다 | 간도에도 치열한 교육주도권 쟁탈이 있었네
2. 1919년 용정 3·13만세시위와 북간도 무장독립투쟁
용정 3·13만세시위를 일으킨 조선인디아스포라와 순국열사들 | 실패한 거사 철혈광복단의 15만원탈취사건 | 신민단, 도독부, 간도국민회, 대한독립단의 봉오동전투 | 청산리전투를 알면 궁금증이 생긴다 | 홍범도의 연합부대는 왜 청산리로 갔을까? | 1920년 간도대토벌과 경신대학살 참상
3. 숨겨진 무명의 지도자들
안중근 의사의 배후 지도자, 항일투사 김치보 연보 | 캐나다장로회선교부 파송 북간도 선교 개척자 김계안 조사 | 북간도 독립운동가 구춘선, 황병길, 이동춘의 연보와 공통점 | 자이니치 시무(時務)의 역사학자 강덕상 스토리
4. 캐나다장로회 교회와 북간도 독립운동
북간도 독립운동을 추동한 캐나다장로회 교회들과 설립자들 | 불령선인(不逞鮮人)의 책원지 장암동교회 | 조선독립운동을 지원한 용정 제창병원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는 우리 역사를 지켜야 합니다. 우리가 우리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밝은 미래로 가는 길잡이로 배우고 익힐 때 우리 역사가 지켜집니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 조선의 멸망과 식민지 통치, 생명을 건 독립투쟁과 고통스러웠던 시대에 무관심합니다. 우리가 무관심하면 그 사이에 역사가 왜곡되며 사라지게 됩니다. 우리는 고구려의 역사가 중국의 역사로 편입되어 고구려의 유적들이 중국의 유적들로 등록된 것을 압니다. 아무리 있었던 역사도 지키지 못하면 사라집니다. 그러기에 우리 한국인들에게 고구려사 공부는 더욱 유별한 것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뜻으로 읽는 북간도 독립운동 이야기》는 고구려 역사와 마찬 가지로 파묻히고 숨겨지고 왜곡되기 쉬운 중국의 동북지역에서 일어난 역사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비록 북간도가 한반도에 속하지 않지만 우리 조상들이 개척하며 독립운동으로 피 흘린 땅입니다. 우리는 우리 영토 밖에서 일어난 우리의 독립운동을 방치하지 말고 지켜내야 합니다. 이 역사를 놓치게 되면 반복되는 역사 속에서 우리는 또 다시 어려운 일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 책을 읽으며 북간도에서 조국의 독립을 염원하며 산화했던 우리 조상들의 역사를 가슴에 새기며 수많은 선열들의 고귀한 희생과 헌신이 조국의 광복을 가져왔다는 사실을 깨달으며 우리 역사를 지켜가게 될 것입니다.
한 세기 전에 그것도 한반도가 아닌 북간도 용정 땅에서 일어난 역사를 기억하며 순국열사들의 이름을 부르는 것은 왜 그 때에 조선의 아들들이 두만강 넘어 땅에 있게 되었는가에 대한 준엄한 질문이며, 조선이라는 나라로부터 차별과 천대, 굶주림과 헐벗음 외에는 받은 것이 없는 천민들이 망국의 역사 앞에 보여준 희생과 헌신을 소중하게 기억하기 위함이며 조선의 민초들이 온갖 고난을 감수하며 독립에의 꿈을 꾼 역사적 사건을 길이 되새기면서 자주 독립과 평화의 문제에 대한 해법을 찾고 싶어서이다.
순국열사들의 이름을 부르며 묘역이 새롭게 정리되는 꿈을 꾼다. 그리고 허락이 되면 3·13순국열사들의 유족모임에 참여하여 그들의 이야기를 시름없이 듣고 싶다.
조선 망국이 낳은 중국의 조선족, 일본의 재일동포, 러시아 그리고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의 고려인과 남북한의 8천만이 만남과 소통의 해법을 독립운동에서 찾으며 미래의 대화합을 부단히 추구해가길 두 손모아 빈다.
북간도 조선인 디아스포라들의 화산처럼 뜨거운 신앙고백, 투철한 구국교육과 가슴 절절한 구국신앙과 그리고 사회주의 사조로 인한 각 분야의 내홍은 오늘 코로나 사태에 직면한 한국교회에 많은 것을 시사해준다. 20년대에 북간도 교회가 겪은 진보와 보수의 갈등은 해방이후 한국교회가 겪은 갈등의 예고편이었다.
실로 북간도 교회는 하나님께서 우리 민족에게 주신 모세의 광야교회였다. 광야교회는 우리가 길을 잃을 때 돌아가는 모형의 교회이며 한국교회의 DNA가 되어야 하는 십자가를 진 교회이다. 그러나 한국기독교사에는 북간도 교회의 자리가 없다. 민경배가 쓴 《한국기독교회사》에도, 김명구가 쓴 한국 기독교 역사 1 《복음주의자 시각으로 보는 한국의 기독교 역사, 1945년까지》에도 옥성득이 쓴 《다시 쓰는 초대 한국교회사》에도 북간도교회는 전혀 거론되지 않는다.
교회가 있었던 곳은 그들의 조국이 아니어서 그들을 추모하지 않고 그들의 조국은 그들을 잊어서 추모하지 않는다. 교회 또한 그들을 어둠 속에 묻었다.
북간도의 독립운동은 자랑하면서 독립운동의 모체였던 교회는 제거해버린 역사 왜곡과 침묵이 가슴 아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