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근대 아시아 시장과 조선

근대 아시아 시장과 조선

(개항, 화상, 제국)

이시카와 료타 (지은이), 최민경, 권기수, 전성엽, 조영호 (옮긴이)
소명출판
5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5,900원 -10% 0원
2,550원
43,3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45,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근대 아시아 시장과 조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대 아시아 시장과 조선 (개항, 화상, 제국)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동양사일반
· ISBN : 9791159054433
· 쪽수 : 708쪽
· 출판일 : 2020-12-30

책 소개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해역인문학 번역총서 4권. 개항기 조선을 둘러싼 화상(중국인 상인)의 상업 네트워크에 주목함으로써 조선이 동아시아 국제시장 속에서 어떻게 자리매김했으며 일본과의 관계는 이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고찰하였다.

목차

발간사
한국어판 서문

서장 근대 아시아 시장 속에서의 조선 개항
화상을 통한 접근

1. 개항기 국제상업에 대한 시각
2. 화인의 광역활동과 조선
3. 조선에서의 화인활동과 청조
4. 이 책의 접근 방법과 구성

제1부 조선 개항과 화상 네트워크의 확장

제1장 개항장을 둘러싼 이동과 제도의 대립부산의 일본 거류지와 화인 거주문제

1. 부산 개항과 일본 거류지 설치
2. 덕흥호 사건과 청국 거류지 성립
3. 일본의 대응-각국 거류지 안을 중심으로

제2장 조선 거주 일본인 상인과 화상으로부터의 ‘자립해산물의 대중수출과 관련하여

1. 조선 개항 직후의 다와라모노 해산물(1867∼1880년대 전반)
2. 일본인 통어와 생산?유통구조의 변화(1880년대 중반∼)
3. 부산의 일본인 상인에 의한 직수출 활동
4. 청일전쟁 이후의 생산?유통구조

제3장 전통적 육로무역의 연속과 재편1880년대 홍삼 수출과 화상

1. 초상국 차관과 유증상 어음
2. 개항기의 홍삼 관리체제와 ‘국왕의 홍삼’
3. 육로 국경 무역의 변화와 상인의 대응

제4장 화상의 조선인 대상 거래와 분쟁 처리서울에서의 소송 사례로부터

1. 사료의 성격-주한사관보존당안에 대하여
2. 서울에서의 소송절차 개요
3. 화상과 조선인 상인 사이의 거래 형태
4. 분쟁의 계기와 처리

제2부 조선 화상의 무역과 다각적 네트워크-광동상호 동순태의 사례 분석

제5장 동순태의 설립과 네트워크 형성

1. 담걸생의 조선 도항과 동순태 설립
2. 담걸생의 인맥과 동순태의 거래 관계, 조직
3. 설립 당시 조선인 상인과의 관계

제6장 동순태의 상해무역과 결제시스템
청일전쟁 이전 시기를 중심으로

1. 동순태의 수입무역-발송계산서로부터
2. 동순태의 수출무역-매출계산서로부터
3. 동태호와 동순태 사이의 결제 및 대차관계
4. 화상 간 경쟁과 네트워크의 기능

제7장 동순태의 내지통상 활동과 배경

1. 내지로의 점원 파견과 수출품 매입
2. 수출품 매입과 경영상의 의의
3. 조선의 재래 상업체제와 내지통상

제8장 깊어지는 조일관계에 대한 대응청일전쟁 이후의 동순태

1. 청일전쟁에 대한 대응과 모색
2. 청일전쟁 후의 무역활동
3. 내지통상의 전개와 쌀 매입
4. 동순태의 상해 송금과 조일관계

보론 동순태 문서에 대하여

1. <동태래신>에 대하여
2. <동순태왕복문서>에 대하여
3. <진구각화창구단>, <갑오년각준래화치본단>, <을미래화치본>, <동순태보호기>에 대하여

제3부 제국으로의 포섭, 제국으로부터의 이탈-러일통화의 광역 유통과 화상

제9장 근대 아시아 시장 속의 조선 지방경제루블지폐의 광역 유통으로부터

1. 함경지방의 지리적 조건, 그리고 러시아와의 관계
2. 루블지폐의 유입과 원산 화상
3. 만주에서의 루블지폐 유통
4. 러청은행의 루블지폐 매입
5. 지방경제 속에서의 루블지폐
6. 조선의 식민지화와 루블지폐의 종언

제10장 일본의 만주 통화정책 형성, 그리고 상해와의 관계러일전쟁 군표의 유통 실태

1. 러일전쟁 군표 제도의 개관
2. 만주에서의 군표 유포와 영구로의 집중
3. 군표를 통한 상해 송금과 금은 관계
4. 상해와의 외환 거래 시작
5. 군표를 둘러싼 광역적 투기와 조선
6. 군표정책의 마지막-중국 본토로의 유출허용과 금엔 연결 포기

제11장 식민지화 전후의 조선 화상과 상해 송금조선은행권 순환에 미친 영향

1. 러일전쟁 후의 화인 사회와 화상
2. 대중무역과 화상의 거래 및 결제 방법
3. 신해혁명에 대한 조선 화상의 대응
4. 조선의 유통과 금융에 미친 영향

제12장 1910년대 간도의 통화 유통시스템조선은행권의 만주 유포와 지방경제 논리

1. 제1차 세계대전 이전 간도에서의 통화 유통
2. 제1차 세계대전기의 조선은행권 유입과 지방경제

종장 조선 개항기의 역사적 위상
화상 네트워크가 만드는 ‘지역’

역주
참고문헌
초출일람
후기
역자 후기

저자소개

이시카와 료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4년 일본 시즈오카현(靜岡縣) 출생. 오사카(大坂)대학 문학부를 졸업 후, 동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박사과정을 졸업했다. 사가(佐賀)대학 교수를 거쳐 2021년 현재 리쓰메이칸대학 경영학부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전공은 근대 동아시아 경제.경영사이다. 저서로는 <朝鮮史硏究入門>(공저, 名古屋大學出版會), <帝國日本の移動と動員>(공저, 大坂大學出版會) 등이 있다.
펼치기
전성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최종학위: 문학박사. 일본 토오호쿠대학(東北大学)대학원 일본어학전공 졸업.   현 직: 1994년부터 인제대학교 국제어문학부 일어일문전공 교수. 학 회: 대한일어일문학회, 한국일본어학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편집위원, 학술이사 등 역임. 주요 논문/저서: 推測のモダリティ副詞「たぶん」「おそらく」「さぞ」「おおかた」についての一考察-文の事態内容に対する話し手の認識的判断と話し手情報の観点から『日語日文学』第88輯, 대한일어일문학회(2020) 「推定のモダリティ副詞と文の事態内容に対する話し手の認識的判断─「どうも」「どうやら」「よほど(よっぽど)」を話し手情報の観点から─」『日語日文学』第84輯, 대한일어일문학회(2019), 외 다수. 『대학생을 위한 일본어작문』인제대학교 출판부(2018) 『話し手の文法』도서출판J&C(2005) 『일본어문법Ⅰ』보고사(공저, 2002), 외 다수.
펼치기
권기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신라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대학 국제지역학부 교수. 저서로는 『한일양국어의 유의어 대조연구』, 『한일양국어의 수동표현의 대조연구』 등이 있고, 역서로는 『근대아시아시장과 조선』(공역), 『조공시스템과 근대 아시아』(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최민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부교수, 사회사, 역사사회학 전공. 1983년 출생.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졸업하고 동 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국제지역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이후 일본 히도쓰바시(一橋)대학 사회학연구과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저서로는 『재일한인의 해역인문학』(2024), 『바다를 건넌 물건들 Ⅱ』(공저, 2024), 『바다를 건넌 사람들 Ⅱ』(공저, 2021) 등이 있고, 역서로는 『해항의 정치사: 메이지에서 전후로』(2023), 『조선우선주식회사 25년사』(공역, 2023), 『근대 아시아시장과 조선: 개항, 화상, 제국』(공역, 2020) 등이 있다. 현재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2023년 4월부터 2025년 3월까지 부산교통방송(TBN) <달리는라디오> ‘배아봅시데이’ 코너에 출연하였다.
펼치기
조영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의대 일어일문학과 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