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91159057571
· 쪽수 : 538쪽
· 출판일 : 2023-10-3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한국어판 서문
서장/ 근대 해항사란 무엇인가
제1장/ 일본 해항 행정의 시작유신 관료와 구조약·식산흥업
1. 구조약과 개항 행정
2. 식산흥업과 해항 건설-노비루·우지나·모지
3. 해항 건설을 둘러싼 경쟁-제1차 요코하마 축항
정리
제2장/ 국제 교통망 확충과 일본의 해항지방 장관·의회 정치인과 해항론
1. 해항론의 전개-해항 배치와 지역 사회
2. 오사카 축항의 시작-내무성과 지역 사회
3. 무역항 제도의 변화-대장성과 지역 사회
정리
제3장/ 조약 개정과 해항 행정대장성 관료의 이상
1. 해항 행정을 둘러싼 세 관청의 대립
2. 해항 행정 재편-제2차 요코하마 축항과 제1차 고베 축항
정리
제4장/ 긴축 재정과 해항 건설지역 기업인의 활동
1. 내무성의 해항 건설
2. 시영 축항의 축소-오사카 축항 중단 문제
3. 민영항의 적극적 전개-기타규슈 지역 항만 정비
정리
제5장/ 정당 내각기의 해항 행정내무성 관료의 리더십
1. 지방항 건설의 전개-후시키·사카이·쓰루가
2. 항만협회 설립과 활동
정리
제6장/ 전시 체제와 해항 행정체신 관료의 도전
1. 1930년대의 해항 문제-동해 노선과 산업 진흥
2. 전시 체제에서 전후로
정리
종장/ 국민 국가 시대의 해항
주석
부록
관련 연표
도표 일람
참고문헌
저자 후기
역자 후기
찾아보기
책속에서
기모쓰키 가네유키의 해항론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1890년대 크게 주목받은 것은 요코하마나 고베 등 이미 대규모 해항이 존재하던 태평양 연안이 아니라 동해 연안, 즉, 쓰가루해협부터 호쿠리쿠北陸 지방에 이르는 지역이었다. 이 지역은 홋카이도를 중심으로 하는 해운망이 이미 발달한 상태였으며 따라서 해항 건설을 통해 지역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움직임도 일찍이 나타났다.
사기업이 주도한 해항 정비가 가능했던 것은 요코하마나 오사카와 같은 종합 무역항이 아니라 석탄 적출積出을 담당한 중소 해항이었다. 석탄의 경우 대량의 화물을 적출하기 위한 설비가 필요했고 따라서 광산과 해항을 함께 경영하는 것이 가능했다. 예를 들어 후쿠오카현 미이케항三池港은 미이케탄광三池炭鑛의 적출항으로 새롭게 정비한 해항이었는데, 이는 모두 미쓰이광산三井鑛山이 진행했다. 1902년 시작한 미이케 축항 공사는 미이케의 석탄을 적출하기 위하여 2,000톤급 선박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남북 각각 3,000척의 방파제와 계선 안벽, 탄적기炭積機, 저탄장 등을 정비하는 내용이었다.
만주사변 발발 후 해항 행정은 토목 정책뿐만 아니라 교통 정책의 하나로도 다뤄지기 시작한다. 동해 노선 구축을 원하는 육군과 동해 연안 주요항쓰루가ㆍ후시키ㆍ니가타의 압력을 배경으로 체신성은 해항 행정에 더욱 관심을 가졌다. 한편 내무성 토목국도 산업 진흥이라는 명목으로 건설에 초점을 맞춰 해항 행정에 계속 관여했다. 체신성이 해항 행정에 대하여 본격적인 관심을 보이지 않는 가운데 1930년대 중반 해항 행정을 둘러싼 상황은 변화하기 시작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