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문학사와 동인지문학

한국문학사와 동인지문학

김웅기, 조창규, 박성준, 허의진, 안숭범, 박주택, 김태형, 고봉준, 장문석, 장은영 (지은이)
소명출판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문학사와 동인지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문학사와 동인지문학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59056949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2-12-25

책 소개

1920년대 동인지 시기부터 한국전쟁 전후까지의 동인지·잡지 연구를 종합 정리하였다. 동인지를 단순한 '문인 집단', '작품 모음집'으로 논의하는 데에서 벗어나 시대적·상업적·젠더적·융복합적·철학적·문학적·담론적·문화적인 측면에서 필자 각각의 개성적인 시선을 통해 동인지 문학에 가까이 다가갔다.

목차

책머리에 3

김웅기|조선의 헤테로토피아로서 ‘백조시대’ 연구『백조』 동인의 회고록과 상징주의시의 공간을 바탕으로 15
1. 들어가며-신경향파 문학의 타자 15
2. 이의제기의 공간-‘백조시대白潮時代’ 22
3. 근대 공간 체현과 실존의 문제 30
4. 폐쇄된 이상, 인간 회복의 공간 37
5. 조선 낭만주의의 정신적 본토 48
조창규|『조선문단』의 상업성 연구잡지 광고 측면과 지ㆍ분사 시스템 측면을 중심으로 55
1. 순문예지 조선문단의 상업성 이면 배경 55
2. 잡지 광고 측면-광고의 비중과 경향, 광고주들의 반향 58
3. 지ㆍ분사 시스템 측면-지ㆍ분사의 성격과 유형, 설립 주체, 배경 72
4. 상업적 노력으로 생존을 모색한 순문예지 84
박성준|『만국부인』의 실패 요인과 젠더 양상 89
1. 『만국부인萬國婦人』의 광의 범주 89
2. ‘신’여성에서 ‘만국’의 부인으로 93
3. 수록된 원고들의 젠더 인식 문제 102
4. 만국의 부인을 넘어서 114

허의진ㆍ안숭범|『영화조선』 창간호에 나타난 ‘조선영화’ 담론의 “혼성성” 117
1. 1930년대 조선영화계의 이상적 자아 117
2. 『영화조선』의 구성과 ‘조선영화’에 대한 자의식 122
3. 불완전한 대타적 욕망과 혼성성 133
4. 『영화조선』, 혼성성의 담론장 142
박주택|『삼사문학』의 아방가르드 구현 양상 연구 147
1. 『삼사문학三四文學』의 미적 방향과 아방가르드 147
2. 아방가르드 선언문에 나타난 예술관 150
3. 『삼사문학』과 초현실주의와의 관련성 160
4. 『삼사문학』과 아방가르드 구현의 실제 173
5. ‘미적 혁신’과 ‘미완의 운동’으로서 『삼사문학』 188
김태형|이시우 시론을 통한 『삼사문학』의 ‘오리지날리티’ 분석이시우, 한천, 신백수의 시를 중심으로 193
1. 『삼사문학』과 이시우 193
2. 절연-새로운 나래 201
3. 이시우 시론을 통한 『삼사문학』 주요 시인 분석 212
4. ‘오리지날리티’로서의 『삼사문학』 220
고봉준|일제 후반기의 담론 지형과 『문장』 225
1. 들어가며 225
2. 『문장』 이전의 ‘전통’ 담론 227
3. 『문장』의 위치 232
4. 비非표상으로서의 ‘조선적인 것’ 236
5. 환상의 붕괴, 그 이후의 전통주의 248

장문석|소설의 알바이트화, 장편소설이라는 (미완의) 기투1940년을 전후한 시기의 김남천과 『인문평론』이라는 아카데미, 그 실천의 임계 255
1. 1940년을 전후한 시기, 김남천이 장편소설에 이른 길 255
2. 비평의 알바이트화와 장편소설이라는 문제틀 -창작방법으로서의 발자크, 주인공에서 구성력으로 262
3. 중층적 장의 충돌로서의 현실, 그 연쇄 가능성 -『사랑의 수족관』의 가능성 독해 271
4. 장편소설의 조건과 아카데미즘의 (불)가능성 -아카데미 『인문평론』과 징후로서의 『낭비』 283
5. 이성의 임계, 근대의 임계, 혹은 장편소설의 임계 295
장은영|전시戰時의 문화 이념과 문화인한국전쟁기 잡지에 실린 논설을 중심으로 307
1. 문화국가라는 이상理想 307
2. 전시 이념으로서의 문화 312
3. 문화인의 자기 인식과 내적 균열 318
4. 문화정책과의 경합 328
5. 타협과 경합 사이에 선 문화인 338

필자 소개(수록순) 342
초출일람 344

저자소개

박주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9년 충청남도 서산에서 출생하여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86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꿈의 이동건축」으로 등단한 이래 시집 『꿈의 이동건축』(문학세계사, 1991)·『방랑은 얼마나 아픈 휴식인가』(문학동네, 1996)·『사막의 별 아래에서』(세계사, 1999)·『카프카와 만나는잠의 노래』(문학과지성사, 2004)·『시간의 동공』(문학과지성사, 2009)·『또 하나의 지구가 필요할 때』(문학과지성사, 2013)와 시선집 『감촉』(뿔, 2011) 등을 출간하였다. 특히 『시간의 동공』은 일본 시쵸샤(思潮社) ‘한국 현대 시인 시리즈’의 첫 번째 시집으로 선정되어 일본 현지에서 번역·발간된 바 있다. 편운문학상(2000)·현대시작품상(2004)·경희문학상(2004)·소월문학상(2005)·이형기문학상(2010)·한국시인협회상(2015)·김동명문학상(2024) 등을 수상했다. 현재 계간 《시현실》 주간·정한모문학기념사업회 고문·윤곤강문학기념사업 상임회장·한국문학연구원장을 맡고 있으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김웅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평론가. 202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대구대학교 국어국문과를 졸업하고 《김수영의 변증법적 공간 연구》와 《윤곤강 시 연구》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 학위와 동 대학원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로 AI 분야에서는 《인공지능과 문학의 미래》(2024), 《인공지능 시대의 문학》(2025)을 공저했고, “AI 시대 논증적 글쓰기를 위한 프롬프팅 연구”, “챗GPT 번역 프롬프팅 연구”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AI를 활용한 현대시 향유 및 비평 작업을 위한 연구를 이어 나갈 예정이다. 경희대학교 프락시스 연구회 소속으로 《윤곤강 문학 연구》(2022), 《한국문학사와 동인지문학》(2022), 《모던 경성과 전후 서울》(2023), 《해방 이후 동인지문학》(2025) 등을 공저했다. 우리문학회 학술상, 백조학술논문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에 출강하고 있다.
펼치기
조창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문단』의 상업성 연구 「『조선문단』의 상업성 연구-잡지 광고 측면과 지ㆍ분사 시스템 측면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70, 우리문학회, 2021.
펼치기
박성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만국부인』의 실패 요인과 젠더 양상 「『萬國婦人』의 실패 요인과 젠더 양상」, 『한국문예창작』 20(1), 한국문예창작학회, 2021.
펼치기
허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조선』 창간호에 나타난 ‘조선영화’ 담론의 “혼성성” 「영화조선 창간호에 나타난 ‘조선영화’ 담론의 혼성성」, 『비교한국학』 28(3),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펼치기
안숭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조선』 창간호에 나타난 ‘조선영화’ 담론의 “혼성성” 「영화조선 창간호에 나타난 ‘조선영화’ 담론의 혼성성」, 『비교한국학』 28(3),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펼치기
김태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시우 시론을 통한 『삼사문학』의 ‘오리지날리티’ 분석 「이시우 시론을 통한 『三四文學』의 ‘오리지날리티’ 분석-이시우, 한천, 신백수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19(3), 한국문예창작학회, 2020.
펼치기
고봉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제 후반기의 담론 지형과 『문장』 「일제 후반기의 담론 지형과 ≪문장≫『국어국문학』 152, 국어국문학회, 2009.
펼치기
장문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설의 알바이트화, 장편소설이라는 (미완의) 기투 「소설의 알바이트화, 장편소설이라는 (미완의) 기투-1940년을 전후한 시기의 김남천과 『인문평론』이라는 아카데미, 그 실천의 임계」, 『민족문학사연구』 46, 민족문학사학회, 2011.
펼치기
장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시(戰時)의 문화 이념과 문화인 「전시(戰時)의 문화 이념과 문화 주체의 형성」, 『현대문학이론연구』 80, 현대문학이론연구학회, 2020.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