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73960987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06-10
책 소개
목차
1부
윤곤강의 시 세계
1. 서론
2. 『大地』의 겨울과 생명 의식
3. 『輓歌』, 『動物詩集』, 『氷華』에서의 시 세계 변모
3.1. 『輓歌』의 ‘주체’와 죽음의식
3.2. 『動物詩集』의 공존하는 주체
3.3. 『氷華』의 불멸과 자유
4. 『피리』, 『살어리』의 시대정신
4.1. 『피리』 전통의 재창조
4.2. 『살어리』 개인 운명과 역사
5. 결론
윤곤강 시론의 근대시사적 의미
1. 서론
2. 프로문학과 쏘시알리스틕・리알리슴의 총체적 인식
3. 주지시의 마물적(魔物的) 존재: 에피고넨과 ‘모던이’의 감각
4. 포에지이 정신과 민족 공동체
5. 시와 진실, 근대시사의 대타적 자리
김기림 시의 근대와 근대 공간 체현
1. 서론
2. 『太陽의 風俗』: 속도와 근대 풍경
3. 『氣象圖』: 전파(電波)와 게시판(揭示板)
4. 『바다와 나비』: 텅 빈 공간의 공동체
5. 『새노래』: 틈과 사이, 견고한 바닥
6. 결론
≪三四文學≫의 아방가르드 구현 양상 연구
1. 서론
2. 아방가르드 선언문에 나타난 예술관
2.1. 다다이즘의 혁명성과 초현실주의의 자유 정신
2.2. 일본의 아방가르드 수용과 우리 근대문학
3. ≪三四文學≫과 초현실주의와의 관련성
3.1. ≪三四文學≫의 유파적 인식과 「絶緣하는 論理」
3.2. 「SURREALISME」의 미적 방향
4. ≪三四文學≫과 아방가르드 구현의 실제
4.1. 다다이즘의 미적 형식
4.2. 초현실주의 실천과 윤리
5. 결론
2부
김동명의 『나의 거문고』, 『芭蕉』, 『三八線』 시 세계 연구
1. 서론
2. 『나의 거문고』의 만물 조응과 낙원 상징
2.1. 보들레르와 자연 인식으로서의 낙토
2.2. 한용운과의 관련성
3. 『芭蕉』의 존재론적 조화와 모더니티
4. 『三八線』의 이데올로기로서의 현실인식
5. 결론
김수영 시의 소외 연구
1. 서론
2. 김수영 시의 소외의 원천과 양태
2.1. 문단과 시로부터의 소외
2.2. 생활과 현실의 무력감
2.3. 자기 소외와 고립
3. 소외의 극복: 조화와 통일
3.1. 현실 성찰에 대한 자각
3.2. 극복 의지와 삶의 원리
4. 결론
김종삼 시의 공간 연구 −화자의 내면과 공간 인식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1. 서론
2. 공간 인식의 유형
2.1. 죽음과 고통이 있는 참극의 공간
2.2. 신성한 공간, 진정성의 실천 공간
2.3. 중심에서 벗어난 공간, 고립의 공간
2.4. 살아 있는 인간애의 공간
3. 결론
박재삼 시의 존재론적 인식 연구 −후기시를 중심으로
1. 서론
2. 시적 주체와 자연의 상관성
2.1. 밝음과 성찰의 환원적 인식
2.2. 지각의 분열과 대상의 비동일성
2.3. 허무와 죽음의 변증적 인식
2.4. 부활과 영원의 순응적 윤리
3.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