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공지능과 문학의 미래

인공지능과 문학의 미래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VISION of Literature)

박주택 (지은이),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엮은이)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0원
22,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공지능과 문학의 미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공지능과 문학의 미래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VISION of Literature)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82227554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4-01-01

책 소개

아포리아 학술총서 2권. 연구 동향의 실제를 기반으로 종래 문학연구에 인공지능이라는 관점이 더해졌을 때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한계를 고찰한다.

목차

서언 인공지능을 활용한 문학연구의 가능성과 실제/ 박주택

제1부 인공지능의 문학

‘AI 이육사’의 수사법 구현 양상-「절정(絶頂)」의 재창작과 ��강철로 된 무지개��를 중심으로/ 박성준
인컨텍스트 러닝을 통한 챗GPT의 시적 표현 해석 가능성-윤곤강 『동물시집』에 나타난 우화시를 중심으로/ 김태형
챗GPT 담화를 통한 시어 고찰의 실제와 활용방안-김수영의 시어‘설움’의 의미 해석을 중심으로/ 김웅기

제2부 챗GPT 활용의 양상들

인공지능 문학 번역의 유용성과 한계/ 이구용
인공지능의 감성분석 기법을 활용한 문학사 연구의 가능성과 한계-해방기 문단과 시대의 감정/ 최민지
인공지능 언어모델의 문학적 공감 연구-챗GPT 추천시 제공 가능성을 중심으로/ 이수빈

제3부 사례 연구와 소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수업 모형/ 남신혜
챗GPT를 활용한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쓰기 사례/ 이지영
‘NFT문화콘텐츠’와 파생실재(hyperreel) 공동체의 향유-뱅크시의 문화적 실천과 〈훈민정음〉사례를 중심으로/ 이지혜・안숭범

참고문헌
초출일람

저자소개

박주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9년 충청남도 서산에서 출생하여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86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꿈의 이동건축」으로 등단한 이래 시집 『꿈의 이동건축』(문학세계사, 1991)·『방랑은 얼마나 아픈 휴식인가』(문학동네, 1996)·『사막의 별 아래에서』(세계사, 1999)·『카프카와 만나는잠의 노래』(문학과지성사, 2004)·『시간의 동공』(문학과지성사, 2009)·『또 하나의 지구가 필요할 때』(문학과지성사, 2013)와 시선집 『감촉』(뿔, 2011) 등을 출간하였다. 특히 『시간의 동공』은 일본 시쵸샤(思潮社) ‘한국 현대 시인 시리즈’의 첫 번째 시집으로 선정되어 일본 현지에서 번역·발간된 바 있다. 편운문학상(2000)·현대시작품상(2004)·경희문학상(2004)·소월문학상(2005)·이형기문학상(2010)·한국시인협회상(2015)·김동명문학상(2024) 등을 수상했다. 현재 계간 《시현실》 주간·정한모문학기념사업회 고문·윤곤강문학기념사업 상임회장·한국문학연구원장을 맡고 있으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는 세계인의 일상을 바꾸고 있는 K-콘텐츠의 문화 혼종성을 파악하고 그 의미와 가치를 인문적으로 성찰합니다. K-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정책과 제도, 산업과 기술, 미디어와 플랫폼, 대중의 수용 문화 면에서 초국가적 맥락을 확인해야 합니다.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는 한류와 K-컬처, K-콘텐츠 연구를 포괄하면서 동시대 스토리콘텐츠에 대한 현장 지향적 학술장을 순발력 있게 주도해 나갈 것입니다. https://kcsc.khu.ac.kr
펼치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