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82227967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25-06-30
책 소개
목차
서언 새로운 타자, 인공지능 – 생성과 해석의 새로운 조건들/ 박주택
제1부 챗GPT와 문학
・챗GPT 활용 ‘AI 작고 시인’ 창작시 연구 - AI 이육사・윤동주의 해방기념시 창작 가능성과 수업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박성준
・AI 디지털 시대와 디아스포라 한글문학의 방향/ 곽효환
・챗GPT를 이용한 SNS 시의 생성 가능성 연구-하상욱 시와 미디어에 반영된 MZ세대론을 중심으로/ 인수봉
제2부 인공지능 활용과 윤리
・인공지능을 활용한 문학 이미지 생성 방안 - 이상 문학을 중심으로/ 김민지
・인공생명과 인간의 윤리 - SF소설 『AI 몸피로봇, 로댕』, 『인간의 법정』,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중심으로/ 임미숙
・인공지능 창작 문예물의 저작권 문제에 관한 고찰 - 저자와 저작물의 법적 보호 가능성을 중심으로/ 오태호
・생성형 AI 시대 글쓰기 윤리 교육을 위한 자기평가 항목 연구/ 안서현・최민지
제3부 사례 연구와 소개
・인컨텍스트 러닝을 통한 챗GPT의 문학교육적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 윤곤강 『동물시집』의 교안 설계 과정을 중심으로/ 김태형
・챗GPT 번역 프롬프팅 연구 (1): 학습 설계와 역할 부여 - 1950년대 김수영 시에 나타난 ‘설움’을 중심으로/ 김웅기
・출판시장에서의 AI 수용 양상 연구/ 이구용
・생성 AI 기술의 문학교육적 활용 가능성 - 챗GPT를 중심으로/ 호창수
참고문헌
초출일람
책속에서
챗GPT 활용 ‘AI 작고 시인’ 창작시 연구_먼저 챗GPT 사전학습을 위해 『해방기념시집』에 드러난 ‘해방의 감격’과 ‘미래와 자유문학에 대한 기대감’을 수사학적 표현들로 치환한 특징을 분석한다. …이 같은 인공지능의 프로그램 특징을 활용하여 챗GPT를 통해 구현된 것이 ‘AI 이육사・윤동주’이다. 먼저 이육사와 윤동주의 시세계와 작품을 이미 학습한 상태의 모델들로 동일한 세션 내에서 『해방기념시집』의 작품과 특징을 학습시켜 새로운 모델링을 실행한다.
AI 디지털 시대와 디아스포라 한글문학의 방향_자유로운 인적・물적 이동에 이어 지식과 정보의 축적과 융합, 새로운 지식과 정보의 생성, 그리고 시공간을 동시적으로 연결하는 디지털혁명과 AI의 고도화는 디아스포라 문학에 새로운 전기를 가져올 것은 분명하다. AI 디지털 시대에 이동과 이주에서 오는 정체성과 다양성, 이방인・소수자・경계인으로서 겪는 타자성과 탈경계성, 이것이 빚어내는 혼종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스포라 문학의 활성화와 외연 확대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디아스포라 한글/한인 문학 또한 예외는 아니다.
챗GPT를 이용한 SNS 시의 생성 가능성 연구_그 결과 계속해서 학습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하상욱 시인’의 특징을 잡아냈으며 시인의 작품을 ‘공감’이라는 키워드로 해석해 출력하는 것에 성공했다. 또한 프롬프트 C를 통해 학습한 웹사이트를 참조할 것을 독려했다. 전반적으로 챗GPT는 사용자와의 연속되는 대화 행동을 규정한다. 여기서 어떤 학습을 먼저 하였는가에 따라서 후행 학습이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