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91159257964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3-07-14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 역자 서문
이 책을 활용하는 법 / 자주 쓰이는 용어들
일러두기 / 주별 저널 쓰기
감사의 말 /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리뷰
책속에서
의도 (Intention) - 본인의 욕구와 결심을 설정하는 것을 “의도”라고 표현합니다. 내용에 따라 ‘목표’ ‘목적’과 혼동되는 느낌을 주는데요, 목표(목적)가 주로 외부로 표출되는 반면 의도는 내재하는 경향이 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관심 (Attention) - 일반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거나 ‘집중’한다는 뜻으로 사용되지만, 명상을 유도하는 저널치료에서는 “마음과 몸, 감정을 훈련하는 데 집중”하는 것, 즉 이런 일에 “관심”을 기울인다는 뜻으로 해석합니다.
행동 (Action) - 규칙적인 글쓰기와 그에 따른 “행동 변화”를 이릅니다.
(...) 터치 백(Touchback) - 원래는 풋볼에서 자신이 속한 팀의 펀트, 킥오프, 포워드 패스 등으로 인해 골라인 너머로 공이 날아간 후 상대편의 엔드 존에 선수가 공을 다운시킨 상황을 말합니다. 일상에서는 성공, 득점, 희망 등을 의미합니다. 이 책에서는 ‘빛줄기들’ ‘한 줄기 빛’ 등으로 표현했습니다.
접지 (Grounding) - 트라우마나 불안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간단한 기법입니다. 먼저 심호흡을 한 다음 순서대로 “5-4-3-2-1” 원칙에 따라 숫자를 차례대로 말할 수도 있고, “눈에 보이는 것 다섯 가지, 만질 수 있는 네 가지, 들리는 소리 세 가지, 냄새 두 가지, 느낄 수 있는 맛 한 가지”와 같은 식으로 연습할 수도 있습니다._<자주 쓰이는 용어들> 중에서
느낀 점 쓰기. 이것은 저널치료에서 가장 핵심적인 도구입니다. 글을 쓴 후 자신이 쓴 글을 다시 읽어보는 거예요. 그러고 나서 한 문장에서 두 문장 정도로 피드백을 쓰는 겁니다. “이 글을 읽으며 나는 [ ]을(를) 알아차렸다.” “나는 [ ]에 놀랐다.” 혹은 “나는 [ ]이 궁금하다.” 식으로요. “느낀 점 쓰기”(reflection write)는 우리에게 통찰을 줍니다. 이 기법은 명료한 상태를 향해 가는 고속 엘리베이터와 같습니다.
오늘의 글감. 1일 차에 쓴 글을 읽어보세요. 그런 다음 당신에게 어떤 작용이 일어났는지 써보세요. 무엇이 당신을 놀라게 하나요? 당신은 무엇을 알아차렸나요?_<1주 2일 차>
한 주를 돌아보며. 이번 주 글감에 따라 쓴 글들이나 그 글을 읽고 적은 느낀 점을 다시 읽어보세요. 두 가지 글을 모두 읽어보아도 좋습니다. 이번 주 당신의 글쓰기는 어땠나요?
1(낮음)에서 7(높음)까지의 척도로 한 주를 평가해보세요.
불안의 정도는 어땠나요? ① ② ③ ④ ⑤ ⑥ ⑦
글쓰기 과정은 만족스러웠나요?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변화를 느꼈나요?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오늘의 글감. 한 주를 평가하면서 관찰한 것들에 대해 써보세요. 떠오르는 생각들은 모두 적어보세요._<1주 7일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