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심리치료
· ISBN : 9791159290107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6-12-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Part 1.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할까
‣ 서로 가고 싶은 학교
‣ 정신줄 차리기
‣ 살리는 치유
‣ 몸, 마음, 그리고 관계
Part 2. 마음을 살리는 몸 이야기
‣ 이제는 안다, 뇌신경계
‣ 감각 통합이란?
‣ 문제 행동 뒤 감각 문제
‣ 바른 자세를 통한 치유
‣ 중심 근육으로 삶의 균형을 잡다
‣ 인생의 무대 훈련
‣ 표정을 바꾸면 삶이 바뀐다
‣ 숨의 비밀
‣ 숨으로 치유하기
‣ 소리 에너지 살리기
‣ 고마운 약물 치료
Part 3. 아이들 마음 살리기
‣ 마음의 필터를 바꾸는 심리 치료
‣ 마음의 면역력 키우기
‣ 감정의 주인 되기
‣ 마음의 상처로부터 자유로워지기
‣ 고통과 함께 숨을 쉬다
‣ 지금 여기에 감사하는 마음의 힘
‣ 마음의 상 바꾸기
‣ 그 행동은 너에게 어울리지 않아
‣ 선생님의 칭찬 한마디
‣ 얘들아, 나처럼 행복해라
‣ 공부 못하는 아이들에게
Part 4. 우리 관계 살리기
‣ 보이지 않는 큰 힘
‣ 주고받기
‣ 여기 있어도 된다
‣ 네가 행복했으면 좋겠어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일상에서 “정신줄 놓지 마”, “정신 차려!” 하는 말을 자주 합니다. 모두 머리 위에 정신줄을 하나씩 가지고 있다고 떠올려 보세요. 정신을 못 차리면 이 줄이 싹 옆으로 비켜 나가고 끊어진다고 상상해 보세요. 정신과 의사가 내담자를 만나는 치료도, 선생님이 학생을 가르치는 교육도 모두 이렇게 정신을 차리도록 돕는 것입니다.
- <정신줄 차리기> 중에서
이런 알아차림의 기능을 ‘통찰insight’이라고 부릅니다. 병에 대해 인식하고 알아차리는 통찰은 ‘병식’이라고도 합니다. 병이 재발하지 않기 위해서는 이런 병식이 중요합니다. 병이 나은 후에 원인과 치료 방법을 깨닫고 기억해야 다시 재발하지 않겠지요. 내가 어디로 가야 하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방향 감각과 조절 감각 능력을 훈련하는 게 중요합니다. ‘여기가 어디인가, 나는 누구인가, 지금 여기 왜 있는가’를 알아차려야 합니다.
- <정신줄 차리기> 중에서
몸을 바로 세우면 마음도 바로 서게 됩니다. 몸이 무거울 때 마음도 무거워지고, 몸이 찌뿌둥하거나 균형이 맞지 않으면 마음도 따라갑니다. 그래서 몸을 펴는 것은 마음을 펴는 것과 같습니다. 바른 자세는 물리적으로 뇌와 척수가 원활하게 기능하게끔 해 주어서 뇌신경계를 위해서도 좋습니다. 바른 자세가 아닌 거북목인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목 디스크, 어깨 통증, 시력 약화는 물론, 턱관절 장애, 삼차 신경통, 섬유 근육통으로까지 이어집니다. 마음 상담을 하면서 턱관절 장애나 근골격계 통증 등 몸의 병으로 고생하는 분들을 많이 만나게 됩니다. 몸이 아프면 정신적으로도 피폐해지기 쉽습니다. 바른 자세를 하는 것은 만병을 예방하는 시작입니다.
- <바른 자세를 통한 치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