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 조상은 하늘을 어떻게 이해했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59317231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22-09-28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59317231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22-09-28
책 소개
옛 조상들의 개인적인 탐구심에서 비롯된 천문학 연구가 결과적으로 '세계관의 변화'라는 엄청난 인식의 전환을 가져왔음을 각 시대별로 살펴본다.
목차
제1장 하늘과 땅에 대한 과학적 인식의 출발
1. 우주론의 탄생과 발전
1) 혼돈에서 신화로
2)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다
2. 우주론 논쟁과 지구운동설
1) 삿갓 모양의 하늘, 바둑판 모양의 땅
2) 우주론 논쟁 21
3) 혼설설의 계란형 우주 구조
4) 무한우주론의 등장
5) 고대인들의 지동설, 사유설
3. 한국의 고대 우주론
1) 천문 관측의 발달과 중국우주론의 영향
2) 혼천설의 장기 지속
4. 성리학적 우주론으로의 변화
1) 하늘은 고체가 아니다
2) 무형의 우주공간
3) 성리학 우주론의 전파
제2장 서양천문학의 전래와 영향
1. 서양 천문학의 전래
2. 서양 천문학과의 만남
3. 서양 천문학의 도입과 충격
1) 중국력에서 시헌력으로의 전환
2) 기삼백과 사분력
3) 역법 논쟁
4) 시헌력 수용의 정치적 배경
제3장 우주관의 대전환
1. 여러 겹의 하늘, 12중천설의 수용
2. 지원설의 수용과 세계관의 변화
1) 땅은 둥글다
2) 실옹과 허자의 지원설 문답
3. 지전설의 주창과 새로운 우주관으로의 전환
1) 김석문 -지구는 1년에 366회전한다
2) 이익 - 지구가 도는지 누가 알겠는가
3) 홍대용 -지전설에서부터 무한우주론까지
- 맺는말 : 전통시대 천문관의 변화
- 보론 : 천문학자 황윤석의 서양천문학 수용기
- 주
-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