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59318047
· 쪽수 : 164쪽
· 출판일 : 2021-12-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예기ㆍ악기
제1장 악본
1. 성ㆍ음ㆍ악의 정의
2. 마음과 목소리의 상관성
3. 예ㆍ악ㆍ형ㆍ정의 존재 이유
4. 음악은 정사와 통한다
5. 궁ㆍ상ㆍ각ㆍ치ㆍ우의 상징성
6. 난세의 음과 망국의 음
7. 군자라야 악을 알고, 악을 알면 예에 가깝다
8. 유음ㆍ유미 속에 담긴 선왕의 뜻
9. 천리를 잃고 욕망이 다하니 크게 어지러워진다
10. 예ㆍ악ㆍ형ㆍ정으로 왕도를 갖추다
제2장 악상
1. 소리와 마음의 상관성
2. 악에 표현된 만상의 상징성
3. 군자와 소인의 즐거움
4. 악의 효능
5. 악의 덕성(진정성)
6. 악은 덕성의 표상이다
7. 성인이 악을 좋아하는 이유
제3장 악언
1. 음악이 마음에 미치는 영향
2. 악의 근본은 사람의 성정
3. 어지러운 세상의 악
제4장 악화
1. 악을 깊이 파악해 속마음을 다스린다
2. 예를 깊이 파악해 겉모습을 다스린다
3. 악례의 효능
4. 악과 예의 기능과 특질
5. 악의 불멸성
6. 선왕이 악을 만든 이유
7. 악은 즐거움에서 비롯하나 성에 근본을 두고 정으로 발현된다
8. 악의 상징성
제5장 악시
1. 악 제작의 이유
2. 고대 아악의 전범, 육악
3. 하늘과 땅의 이치는 악 제작과 실행의 모델
4. 예악 제작의 목적
5. 악은 베풂이고 예는 보답이다
6. 천자가 제후에게 보답하는 예
제6장 악론
1. 악과 예의 기능
2. 대악과 대례
3. 악과 예의 본질은 사랑과 공경이다
4. 성과 명
5. 악과 하늘과 화합 / 예와 땅과 질서
6. 악과 예의 본질과 역할
제7장 악례
1. 완벽한 악과 예 제작의 어려움
2. 악례와 인의
3. 천지의 엄연한 구별에서 예(의 정당성)를 끌어내다
4. 천지의 따뜻한 조화로움에서 악(의 감화력)을 보다
5. 악례를 소홀히 할 수 없는 이유
6. 예악의 성대한 규모
제8장 악정
1. 악과 예의 불변의 이치
2. 악과 예의 본질과 원칙
3. 악의 효용
4. 악과 예에서 정말 중요한 것
제9장 빈모고
1. 공자의 질문
2. 빈모고의 질문 - 춤추는 자리에서 오래도록 서서 기다려야 하는 이유
3. 공자의 대답
제10장 사을
1. 자공의 질문 - 각자의 성격이나 기질에 적합한 노래가 있는가
2. 사을의 대답
제11장 위문후
1. 고악과 신악의 차이는 무엇인가
2. 고악의 모습
3. 신악의 모습
4. 악과 음의 차이
5. 덕음이 악이다
6. 익음 - 정음, 송음, 위음, 제음
7. 고악의 특질
8. 임금이 호오를 삼가야 하는 이유
9. 선왕의 작악
10. 종소리의 표상
11. 경소리의 표상
12. 명주실 소리의 표상
13. 대나무 소리의 표상
14. 북소리의 표상
15. 군자가 음악을 듣는 이유
해제 - 고대 동아시아 예악 사상의 총결, <예기ㆍ악기>
1. 예악 사상이란?
2. <예기ㆍ악기>는 어떤 책인가
3. 악과 음악
4. 악의 존재 이유
5. 악을 통한 교화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6. 악론의 특색
7. <예기ㆍ악기>의 현대적 의의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책속에서
악은 사람들의 공통적인 본성을 표현하고, 예는 사람들의 등급 차이를 드러낸다. '악에 의해' 공통의 본성이 표현되면 사람들은 서로 친근감을 느끼고, '예에 의해' 등급의 차이가 드러나면 사람들은 서로 공경한다. 그러나 사람들이 악을 지나치게 중시하면 방종으로 흐르고, 예를 지나치게 드러내면 서로 소원해진다. 그래서 예악은 사람들의 정감을 화합할 뿐 아니라 사람들의 태도와 행위를 단정하게 한다.
예의 제도를 확립하면 귀천의 등급이 분명해지고, 악의 흐름이 조화로우면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화목해진다. 좋고 싫음을 분명히 하면 좋은 사람과 싫은 사람이 뚜렷해지고, 형벌로 난폭함과 잔혹함을 금지하고 어질고 재능 있는 사람을 천거해 작위와 봉록으로 상을 주면 정사가 공정해진다. 어짊으로 백성을 사랑하고 보호하며 의로움으로 백성을 가르쳐 이끌면 백성을 다스리는 이치가 잘 행해진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