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병별 > 고혈압
· ISBN : 9791159434372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4-04-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iv
1. 혈압에 관한 궁금증 18가지
Q 01 대체 혈압이란 뭔가요? 2
Q 02 최고혈압은 어떤 값인가요? 4
Q 03 최저혈압이란 어떤 값을 말하나요? 5
Q 04 최신 ‘고혈압 진단 기준’에 대해 알려주세요 6
Q 05 혈압의 기준치가 점점 엄격해지던데 왜 그런가요? 8
Q 06 고혈압을 방치하면 뇌와 심장 외에 어디에 영향이 나타나는지요? 10
Q 07 일본에는 고혈압 환자가 얼마나 있나요? 12
Q 08 일본인의 고혈압에는 특징이 있다던데 정말인가요? 13
Q 09 여성은 고혈압이 되기 어렵다는 이야기가 정말인가요? 14
Q 10 제가 ‘백의고혈압’이라고 합니다. 자세히 알려주세요 15
Q 11 요즘 혈압 서지라는 말이 자주 들리던데 그게 뭔가요? 16
Q 12 고혈압은 자각증상이 있나요? 17
Q 13 언제 혈압이 오르기 쉬운지요? 18
Q 14 혈압이 높아야 뇌의 활동이 좋아지지 않나요? 20
Q 15 혈액이 맑게 잘 흐르면 좋다고 하는데 혈압이 높아지지 않나요? 21
Q 16 고혈압인 사람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위험하다고 하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22
Q 17 혈압은 낮으면 낮을수록 좋은가요? 23
Q 18 고혈압이 가정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게 정말인가요? 24
2. 혈압 측정에 대한 궁금증 8가지
Q 19 왜 가정에서도 혈압을 측정해야 하나요? 26
Q 20 진료실혈압과 가정혈압은 왜 기준치가 다른가요? 28
Q 21 가정혈압 측정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30
Q 22 혈압은 아침저녁에만 재면 되나요? 32
Q 23 혈압계에는 맥박도 표시되던데 고혈압과 관계가 있나요? 33
Q 24 혈압계는 수은혈압계가 정확한가요? 34
Q 25 팔에 두르는 게 번거로운데 손목식 혈압계도 괜찮을까요? 35
Q 26 혈압 기록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36
3. 고혈압의 원인에 대한 궁금증 8가지
Q 27 고혈압의 원인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40
Q 28 고혈압에는 본태성 고혈압과 2차성 고혈압이 있다는데 어떻게 다른가요? 41
Q 29 2차성 고혈압은 비율이 적지 않나요? 42
Q 30 어떤 사람에게 2차성 고혈압이 의심되나요? 43
Q 31 2차성 고혈압의 원인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45
Q 32 2차성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약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47
Q 33 고혈압이 되기 쉬운 성격이나 체질이 있나요? 49
Q 34 고혈압에는 두 가지 유형의 발증구조가 있다던데 설명해주세요 50
4. 혈압 수치에 대한 궁금증 9가지
Q 35 심뇌혈관질환을 일으키는 위험도(고혈압 중증도)를 알려주세요 52
Q 36 최고혈압이 높은 것뿐이라면 괜찮은가요? 54
Q 37 최저혈압이 높은 것뿐이라면 괜찮겠지요? 55
Q 38 고혈압에는 혈압이 올라가는 유형에 차이가 있다고 하던데요 56
Q 39 아침 기상 후에만 혈압이 높아집니다. 문제가 될까요? 58
Q 40 야간고혈압은 어떤 유형이 위험한가요? 60
Q 41 왼팔과 오른팔에서 잰 혈압 수치가 많이 다른데 괜찮은가요? 62
Q 42 혈압은 서서 재면 좋다고 하던데 왜 그런가요? 64
Q 43 혈압을 24시간 측정하는 게 가능한가요? 66
5. 합병증에 대한 궁금증 8가지
Q 44 고혈압의 어떤 점이 그렇게 문제인가요? 68
Q 45 고혈압인 사람이 합병증이 의심되어 구급차를 불러야 할 증상이 있나요? 70
Q 46 어떤 증상이 나타나면 합병증을 의심하고 빨리 병원에 가야 할까요? 72
Q 47 고혈압의 합병증은 뇌졸증과 심근경색 정도겠지요? 74
Q 48 고혈압인 사람에게 많은 ‘해리성대동맥류’는 어떤 병인가요? 76
Q 49 고혈압을 내버려두면 어떤 문제가 나타나나요? 78
Q 50 고혈압뿐 아니라 ‘심비대증’이라고 진단받았습니다. 어떤 병인가요? 80
Q 51 합병증을 조사하는 검사에서는 어떤 걸 하는지요? 81
6. 치료에 대한 궁금증 11가지
Q 52 고혈압 치료에는 주로 무얼 하나요? 84
Q 53 120/80mmHg을 초과하는 ‘주의혈압’은 어떻게 혈압을 관리하나요? 86
Q 54 130/80mmHg을 초과하는 ‘고혈압전단계’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나요? 87
Q 55 140/90mmHg 이상의 ‘고혈압’에서는 어떤 치료가 시작되나요? 88
Q 56 고혈압으로 진단되면 즉시 약을 먹게 되나요? 89
Q 57 혈압을 조금 내린다고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90
Q 58 고혈압을 오랫동안 방치했는데 저는 이미 늦은 게 아닐까요? 91
Q 59 고혈압인 사람의 혈압 강하 목표치를 알려주세요 92
Q 60 주치의를 신뢰할 수 없어요. 어떤 의사에게 진료를 받아야 할까요? 94
Q 61 치료를 계속해도 혈압이 낮아지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95
Q 62 고혈압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을 때 어떻게 치료할까요? 97
7. 혈압약에 대한 궁금증 17가지
Q 63 혈압약은 평생 먹어야 한다던데 정말인가요? 100
Q 64 혈압약을 이용한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101
Q 65 혈압약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102
Q 66 칼슘 길항제라는 혈압약은 어떤 사람에게 효과적인가요? 103
Q 67 레닌 저해제, ACE 저해제, ARB는 어떤 약인가요? 104
Q 68 이뇨제의 작용에 대해 알려주세요 105
Q 69 베타 차단제는 어떤 약이고 어떤 사람에게 효과가 있나요? 106
Q 70 알파 차단제는 어떤 약이고 어떤 사람에게 효과가 있나요? 107
Q 71 고령이고 협심증이 있는데 어떤 약이 적당할까요? 108
Q 72 혈압뿐 아니라 혈당까지 높아서 합병증이 걱정입니다. 어떤 혈압약이 맞을까요? 109
Q 73 스트레스성 고혈압인 것 같습니다. 어떤 혈압약이 적당할까요? 110
Q 74 일본인의 혈압을 내리는 데는 이뇨제가 적합하다고 들었습니다. 자세히 알려주세요 111
Q 75 혈압은 약으로 어디까지 내리면 안심일까요? 112
Q 76 혈압약 먹는 걸 자주 잊어버립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113
Q 77 혈압약 먹는 걸 잊어버리면 다음에 두 배를 먹으면 되나요? 114
Q 78 혈압약 부작용 때문에 힘듭니다. 계속 먹어도 괜찮을까요? 115
Q 79 혈압약과 함께 먹으면 좋지 않은 음식이나 약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116
8. 생활습관에 대한 궁금증 18가지
Q 80 혈압을 낮추려면 이것저것 참아야 해서 힘들지 않나요? 118
Q 81 염분을 줄이거나 운동을 하면 혈압이 얼마나 떨어질까요? 119
Q 82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이 정말 효과가 있나요? 120
Q 83 체중은 얼마를 목표로 잡으면 좋을까요? 121
Q 84 일하면서 받는 스트레스가 혈압과 관계가 있을까요? 122
Q 85 화장실에서 주의할 점이 있나요? 123
Q 86 변비는 고혈압과 관계가 있을까요? 124
Q 87 염분을 줄이기 위해 아침밥을 안 먹는데 괜찮나요? 125
Q 88 날씨나 기온은 혈압에 얼마나 영향을 주나요? 126
Q 89 잠자기 전 술을 마십니다. 괜찮나요? 127
Q 90 화를 내는 게 혈압에 나쁠까요? 128
Q 91 아무래도 금연을 하는 게 좋을까요? 129
Q 92 목욕은 짧게 끝내는 게 좋은가요? 130
Q 93 목욕할 때 주의할 점이 있나요? 131
Q 94 최근 잠을 잘 못잡니다. 고혈압과 관계가 있을까요? 132
Q 95 잠은 몇 시간 자는 게 좋을까요? 133
Q 96 잠을 잘 자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34
Q 97 낮잠을 자면 혈압이 떨어진다고 하던데 정말인가요? 136
9. 식사에 대한 궁금증 34가지
Q 98 고혈압 대책 중 식사 개선은 무엇부터 해야 할까요? 138
Q 99 염분을 줄이는 게 의미가 없다는 이야기도 들었는데 정말인가요? 139
Q 100 염분을 과다 섭취하면 당뇨병에 걸리기도 쉬운가요? 140
Q 101 염분을 줄이려고 몇 번이나 노력해봤지만 오래가지 못합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141
Q 102 염분은 무엇부터 제한하는 게 좋을까요? 142
Q 103 조미료를 줄이려면 어떤 요령이 있을까요? 143
Q 104 간장이나 소금을 어느새 많이 넣게 돼요. 무슨 대책이 없을까요? 145
Q 105 염분을 줄일 수 있다는 ‘거품간장’은 어떻게 만드나요? 146
Q 106 식품의 염분 표시는 어떻게 보면 되나요? 148
Q 107 염분 섭취량을 간편하게 관리하는 방법은 없나요? 150
Q 108 저염 제품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150
Q 109 칼륨을 섭취하면 고혈압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는 게 정말인가요? 152
Q 110 현대인은 칼륨이 부족하다고 하는데 왜 그런가요? 153
Q 111 칼륨을 효율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식재료를 알려주세요 154
Q 112 비만이나 당뇨병에도 칼륨이 풍부한 과일을 먹는 게 좋을까요? 155
Q 113 칼륨을 효과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조리법이 있나요? 156
Q 114 흔히 먹는 것 중에 염분 배출을 촉진하는 식품이 있을까요? 157
Q 115 DASH 식단은 어떤 식사법인가요? 158
Q 116 지중해식 식단’이 고혈압에 좋다고 들었는데 어떤 식사법인가요? 160
Q 117 고혈압인 사람은 식후에 뭘 먹는 게 좋을까요? 162
Q 118 과자나 주스는 먹어도 괜찮나요? 163
Q 119 단 음식이 먹고 싶을 때는 뭘 먹는 게 좋을까요? 164
Q 120 당질을 섭취하는 게 문제인가요? 165
Q 121 우유가 고혈압에 좋다고 하던데 정말인가요? 166
Q 122 우유를 마시면 속이 안 좋은데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167
Q 123 식초를 매일 섭취하고 있지만 혈압이 떨어지지 않아요. 왜 그럴까요? 168
Q 124 고혈압인 사람은 주식으로 뭘 먹어야 할까요? 169
Q 125 고혈압이면 아침에 뭘 먹는 게 좋을까요? 170
Q 126 혈압을 내리는 데 좋은 반찬이 있나요? 171
Q 127 고기는 먹어도 되나요? 172
Q 128 간식을 먹고 싶을 때는 뭘 먹는 게 좋을까요? 173
Q 129 기름을 섭취할 때 주의할 점을 알려주세요 174
Q 130 체형 관리를 위해 프로틴을 섭취하는데 괜찮을까요? 175
Q 131 여름에는 열사병을 예방하려고 스포츠음료를 마십니다. 문제가 없나요? 176
10. 운동에 대한 궁금증 9가지
Q 132 고혈압을 낮추려면 하루에 얼마나 걸어야 하나요? 178
Q 133 슬로 조깅은 어떤가요? 180
Q 134 비가 와서 밖에 나가 걸을 수 없을 때는 어떤 운동이 좋을까요? 182
Q 135 근육운동은 해도 괜찮을까요? 184
Q 136 운동은 하루에 어느 정도 하는 게 좋을까요? 185
Q 137 운동을 해서는 안 되는 사람이 있나요? 186
Q 138 자신에게 맞는 운동 강도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 187
Q 139 운동은 언제 하는 게 좋을까요? 188
Q 140 스트레칭도 하는 게 좋을까요? 189
11. 셀프케어에 대한 궁금증 10가지
Q 141 최근 고혈압 셀프케어에서 자주 언급되는 NO가 뭔가요? 192
Q 142 NO는 쉽게 늘릴 수 있는 건가요? 194
Q 143 NO가 늘어나는 호흡법이 있다던데 알려주세요 195
Q 144 NO를 늘리려면 어떤 운동이 좋을까요? 197
Q 145 무릎 꿇고 앉으면 NO가 늘어난다는 게 정말인가요? 199
Q 146 NO를 늘리는 데 도움이 되는 식재료는 무엇인지요? 200
Q 147 높은 혈압이 금세 낮아지는 특효 지압은 없나요? 202
Q 148 고혈압인 사람에게 추천하는 혈관 나이 되돌리기 체조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자세히 알려주세요 204
Q 149 장딴지 주무르기가 높은 혈압을 떨어뜨리는 데 효과적이라고 하던데 정말인가요? 207
Q 150 높은 혈압을 누워서 낮출 수 있는 체조는 없을까요? 209
저자 소개 211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렇지만 고혈압은 뚜렷한 자각증상이 나타나지 않다 보니 혈압이 높은데도 그냥 방치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실제로 고혈압을 제대로 치료하고 있는 일본인은 환자 수의 30퍼센트에도 미치지 못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어떤 병이든 마찬가지겠지만 고혈압도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를 게을리하지 않으면 무서운 심뇌혈관질환이나 까다로운 합병증이 발생할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P.v
최근의 고혈압 치료에서는 진료실혈압과 가정혈압에 차이가 날 때 가정혈압을 우선시합니다. 가정혈압이 더 중시되는 이유는 가정에서 측정해야만 드러나는 숨은 고혈압이 있다는 게 밝혀졌기 때문입니다.
진료실혈압만으로는 실태가 파악되지 않는 고혈압으로는 ‘백의고혈압(Q10 참조)과 가면 고혈압(숨은 고혈압)’이 있습니다.
백의고혈압인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심뇌혈관질환(뇌출혈이나 뇌경색, 협심증, 심근경색)에 걸리기 쉽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앞으로 고혈압이 될 리스크도 높기 때문에 가정혈압을 측정하여 결과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활습관 개선의 주요 내용은 우선 염분을 줄이는 것입니다. 염분 은 혈압을 상승시키는 큰 원인입니다. 일본인은 하루 평균 10g 이상의 식염을 섭취한다고 하는데 이것을 하루 6g으로 줄여야 합니다. 2분의 1 가까이 줄이다니 너무 엄격하다고 느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처음에는 8g으로 시작해 단계적으로 익숙해지도록 줄여가는 방식이라면 충분히 실현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운동 습관을 들이고, 고혈압의 원 인이 되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비만 치료 및 예방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생활습관 개선만으로 혈압을 조절할 수 있다면 약물요법은 필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