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물학
· ISBN : 9791159715327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4-01-25
책 소개
목차
서문 광합성을 주제로 글을 쓰는 이유
CHAPTER 1 광합성이란 무엇인가?
광합성의 발견
신비주의자, 성직자와 의사
대중에게 식량을, 혁명에는 기름을
CHAPTER 2 태양에서 비롯된 지구의 변화
시초
대산소 발생 사건
다시 일어서는 행성
생명에게 필요한 그 외 영양분
CHAPTER 3 광합성 생물들
새로운 친구, 광합성 세균
공생
생태계가 만들어지는 과정
그리 작지 않은 광합성 생물들
새로운 유형의 광합성이 중요한 이유
CHAPTER 4 살아 숨 쉬는 얇은 껍질로 덮인 지구
광합성으로 세상의 균형을 바로잡을 수 있을까?
CHAPTER 5 좋은 소식… 그리고 나쁜 소식
농업의 기적
야생 동물이 중요한 이유
빙하기의 반대
정치도 중요한 이유
CHAPTER 6 광합성이 세상을 구하는 법
결론: ‘우리에게 무슨 이익이 있는가’
더 큰 작물과 목초지 관리
새로운 혁신 산물
해안 사막의 녹지화와 그 외 바닷가 이야기들
우리는 광합성을 개선할 수 있을까?
CHAPTER 7 햇빛 수확하기
우리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주
감사의 말
리뷰
책속에서
겨울 동안 햇빛이 통하지 않는 바구니에 감자를 보관하면 노란색 싹이 나온다. 그런데 감자를 꺼내 빛을 쏘여주면 노랗던 싹이 하루 만에 초록색 싹으로 변한다. 분명히 농부들은 이런 변화를 보았겠지만 ‘햇빛의 중요성’은 알지 못하였다. 태양을 향해 고개를 돌리는 해바라기를 보면서도 ‘햇빛의 중요성’을 간과하였던 것이다.
(광합성이란 무엇인가?)
달에서 반사된 빛의 적외선을 관측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탄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면 기온은 대략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렇게 대기 가스에서 지표면으로 열이 전달되는 현상을 ‘온실 효과’라고 명명하였다. 아레니우스는 직접 산출한 결과를 사용하여 광합성이 과도하게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지구를 식게 만들고 그 결과 빙하기가 시작된 원리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었다. 게다가 인간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가 지표면을 뜨겁게 만들 것이라는 필연적 결론에 도달하였다.
(광합성이란 무엇인가?)
탄소 저장에 바다가 다시 한 번 주목받는 이유는 바닷물이 이산화탄소의 93%를 저장하기 때문이다. 바다에서 탄소는 세 가지 주된 형태로 존재한다. 바닷물에 녹아 있는 탄산가스, 탄산수 거품을 만드는 탄산수소 이온, 용해된 암석에서 나오며 바닷물을 짜게 만드는 용존 탄산염이다. 광합성을 하는 생명체는 생물량을 구성하며 바다에서 자라는 동안 자신의 세포와 조직 속에 탄소를 축적한다. 그 결과 바닷물에서 탄소가 격감하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태양에서 비롯된 지구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