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일본소설 > 1950년대 이후 일본소설
· ISBN : 9791160071900
· 쪽수 : 444쪽
· 출판일 : 2017-10-31
책 소개
목차
1~12
에필로그
작가의 말
리뷰
책속에서
나는 ‘보통반’ 시절 열다섯 때부터의 인생을 돌아보았다. 사회적으로는 ‘엘리트’의 중심을 걸었고 늘 조명이 쏟아졌다. 재미있었다. 그러나 사회의 전성기는 짧다. 한순간에 불과하다. 그 열다섯 살부터 계속해 온 노력과 단련은 사회에서 이런 최후를 맞이하기 위한 것이었단 말인가. 이렇게 끝이 날 줄 알았다면 남부 고등학교고 도쿄대 법학부고 일류 은행이고 다 필요 없었던 것 아닐까? 사람은 장래를 모르니까 노력을 할 수 있는 거다. 일류 대학을 가든지 어떤 코스를 걷든지 인간이 가는 길은 큰 차이가 없다. ‘남는 꽃도 지는 꽃’이다. 전적 이후, 허무한 마음으로 늘 그런 생각에 빠져 지냈다.
‘생전 장례식’ 이후 나는 소속감을 잃어버리고 나 자신의 존재를 긍정할 길도 잃어버리고 말았다. 긍정할 수 없는 자신의 어디에서 자부심을 찾으라는 말인가. ‘심심하다’든가 ‘할 일이 없다’라는 말로 얼버무려 왔지만 소속이 없다는 허전함은 정체성마저 흔들리게 하는 무서운 것이었다. 취미로 도자기를 굽는다든가, 수제 메밀국수를 만드는 일 따위로 충족될 수 있는 차원의 것이 아니었다. 아니, 유유자적한 삶을 즐길 수 있는 사람, 즉 놀 줄 아는 사람이라면 문제는 다르다. 소속감보다는 여유 있는 시간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다는 데서 행복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아무 문제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아니다. 일을 찾자. 어떤 일이라도 상관없다. 아침에 일어나서 주 3일이라도 일을 할 수 있다면 다른 것은 아무것도 필요 없다.
흔히 ‘분수에 맞게 살라’고들 한다. 맞는 말이다. 그러나 그 분수라는 것이 사람마다 다르다.
내 분수는 정년퇴직 후에도 사회로 나가 경쟁하고 대결하고 간담을 졸이며 지속적인 경주를 하는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정년퇴직까지 한 사람이 그렇게 사는 것을 보고 인간적으로 참 안됐다고 말한다. 불쌍한 일 중독자라고도 하고, 삶의 진정한 기쁨을 모르는 사람이라고도 한다. 다 쓸데없는 참견이다. 취미를 가져야 한다느니 하며 스스로 뭘 찾아서 배우고, 독서니 친구 만들기니 정성을 바치는 쪽이 내가 볼 때는 더 불쌍한 인생이다. 분수에 맞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