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91160073973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9-08-12
책 소개
목차
추천사_대한민국 부동산 투자의 미래를 꿰뚫는 책(추천인_단희쌤)
프롤로그_제2의 강남을 찾아 떠나는 가슴 뛰는 여행
1장_위기인가 기회인가, 대한민국 부동산의 미래
- 점점 더 빨라지는 인구감소
- 대한민국의 지방이 사라진다
• 인구 변화로 인한 부동산의 지역별 변화 양상
• 10년 후에도 부동산 투자는 계속될 수밖에 없는 이유
- 부동산 위기론 팩트 체크 ①: 금리는 답을 알고 있다
• 금리가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
◆ 이승훈의 미래 인사이트: 종부세 때문에 매물이 쏟아진다? 이론과 실전은 다르다
- 부동산 위기론 팩트 체크 ②: 공급과잉론의 실체
• 공급 과잉과 공급 부족은 끊임없이 번갈아가며 나타난다
- 집값을 잡을 ‘뻔’했던 뉴스테이
• 왜 매번 같은 과정을 반복할까
- 대출 규제: 강력하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 부자의 생각은 또 다르다
- 리디노미네이션의 출현과 부동산의 미래
• 화폐가치 하락의 진짜 뜻
2장_강남은 어떻게 지금의 ‘강남’이 되었는가
- 한눈에 보는 강남 불패의 역사
- 제2의 강남이 되기 위한 세 가지 조건
• 첫 번째, 강남과의 접근성
• 두 번째, 지역 내 일자리 창출
• 세 번째, 강남 사람의 인식
◆ 이승훈의 미래 인사이트: 가격은 절대적일까, 상대적일까?
3장_10년 후, 이곳은 제2의 강남이 된다
- 제2의 강남을 향해
◆ 이승훈의 미래 인사이트: 과천, 1% 부족한 제2의 강남
- 서울의 정점에 서다_용산구
• 대한민국 전통의 부촌, 동부이촌동
• 동부이촌동의 영광을 잇는다, 서부이촌동
• 최고의 자리에 우뚝 서 있는 뉴타운, 한남뉴타운
• 교통이라는 큰 무기가 있는 곳, 후암동
◆ 투자 시크릿: 용산은 강남을 뛰어넘을 수 있을까?
- 마천루가 즐비한 상업지의 천국_영등포구 여의도
• 여의도의 터줏대감, 공작아파트와 목화아파트
• 돋보기로 분석해본 완공 후의 여의도 목화아파트
• 초역세권과 상업지의 세례를 받다, 서울아파트
◆ 투자 시크릿: 여의도 투자의 핵심 가치, 한강변
- 청담동과 마주 앉은 강북의 부촌_성동구 성수동
• 가격이 하늘로 치솟은 성수동의 아파트
• 한남뉴타운 부럽지 않다, 성수뉴타운
• 뚝심 있게 꾸준히 개발될 곳, 산업개발진흥지구
◆ 투자 시크릿: 앞으로가 더욱 빛나게 될 성수동의 토지 투자
- ‘고시생’ 이미지는 잊어라_노량진 뉴타운
• 노량진뉴타운과 기존 아파트의 투자 수익률 비교
◆ 투자 시크릿: 노량진뉴타운, 탁월한 입지와 교통으로 날개를 달다
4장_제2의 강남이 될 잠재력을 가진 곳
- ‘입지’라는 잠재력을 품다_관악구
• 교통의 불모지에 황금노선이 생긴다, 관악구의 현재
• 현실로 다가올 관악구의 찬란한 미래
◆ 투자 시크릿: 시간이 증명해줄 관악구의 숨은 가치
- 준공업지역에서 도시계획의 중심에 자리 잡다_영등포구
• 대규모 개발이 예정된 영등포구의 뉴타운
◆ 투자 시크릿: 영등포구 투자의 우선순위
- 성수동과 강남, 잠실까지 마주한 다크호스_광진구 자양동
• 자양동의 굳건한 내재가치
• 자양동을 둘러싼 다이나믹한 조건
◆ 이승훈의 미래 인사이트: GTX가 개통하면 서울과 경기도의 가격 갭은 줄어들까?
◆ 투자 시크릿: 광진구 자양동, 모든 것을 다 갖춘 숨겨진 보석 같은 곳
- 서울의 끝에서 우뚝 솟아라_구로구
• 구로구의 메인은 신도림이다
• 뚜렷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대림역 부근
◆ 투자 시크릿: 구로구의 동쪽에서 투자의 길을 묻다
- 단순 베드타운에서 자생하는 도시로 변모하다_창동역과 노원역 인근
• 창동차량기지 일대의 미래
◆ 투자 시크릿: 창동차량기지 주변 아파트에 투자하려면
에필로그_정보의 홍수에서 고민하고 있는 당신에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투자처에 대한 분석과 투자 방법에 대한 노하우 등 투자를 전제로 한 내용에 절반 이상의 지면을 할애했다. 하지만 우리가 ‘왜’ 투자하는지에 대한 이유도 상세히 적었다. 그래서 이 책은 부동산 투자자라면 어디에 어떻게 투자해야 자산을 늘릴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비투자자라면 ‘왜’ 부동산 투자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합당한 근거를 제시할 것이다.
_ <프롤로그> 중에서
혹자는 이자가 상승하는 시기는 경기가 좋을 때이므로 오히려 부동산에 좋은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틀린 얘기는 아니다. 실제로 경기가 무척 좋아진 후에 금리 인상이 있는 경우에는 부동산 상승 여력이 떨어지지 않는다. 금리 인상이 부정적일지 긍정적일지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_ <1장 위기인가 기회인가, 대한민국 부동산의 미래> 중에서
꾸준한 공급이 불가능하다면 부동산은 앞으로도 계속 오른다. 여기서 중요한 키워드는 ‘공급’이 아니라 ‘꾸준한’이다. 그냥 두면 공급은 과잉과 부족을 계속 순환한다. 시장은 그렇게 형성될 수밖에 없다. 그러니 누군가가 조정을 해줘야 한다. 정부 말이다. 그런데 지금 현 정부는 그걸 안 하고 있거나 간과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정책이 다시 시작되기 전까지는 부동산은 널뛰기 모드 속 장기 우상향한다.
_ <1장 위기인가 기회인가, 대한민국 부동산의 미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