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60160659
· 쪽수 : 960쪽
· 출판일 : 2020-04-06
책 소개
목차
이끄는 글들
왕생극락과 무생법인의 증득, 성불을 기약하다 7
법화를 들으면 왕생하여 등각보살과 나란히 한다 9
정토법문은 법화의 비밀정수이다 11
아미타경은 법화경을 간략히 설한 경이다 19
여래는 화엄에서 법화까지 정토를 중시하셨다 22
법화경 강해 24
묘법연화경
제1 서품 46
제2 방편품 103
제3 비유품 165
제4 신해품 247
제5 약초유품 291
제6 수기품 309
제7 화성유품 329
제8 오백제자수기품 392
제9 수학무학인기품 418
제10 법사품 431
제11 견보탑품 458
제12 제바달다품 488
제13 권지품 507
제14 안락행품 522
제15 종지용출품 562
제16 여래수량품 594
제17 분별공덕품 620
제18 수희공덕품 649
제19 법사공덕품 664
제20 상불경보살품 697
제21 여래신력품 713
제22 촉루품 725
제23 약왕보살본사품 730
제24 묘음보살품 759
제25 관세음보살보문품 781
제26 다라니품 804
제27 묘장엄왕본사품 818
제28 보현보살권발품 838
법화경과 왕생극락(감응록) 858
책속에서
▶ 1. 인광 대사님의 서문은 『인광대사문초印光大師文?』와 『인광대사문초 속편續編』에서 발췌ㆍ번역한 글이다. 정공 법사님의 해제는 『불설아미타경요해청화록강기佛說阿彌陀經要解菁華錄講記』, 『아미타경요해현의阿彌陀經要解玄義』, 『대세지염불원통장대의大勢至念佛圓通章大意』에서 발췌ㆍ번역한 글이다. 담허 대사님의 서문은 『영진회억록影塵回憶錄』에서, 내제乃濟의 서문은 『이병남李炳南 노거사 전집ㆍ설려술학어록雪廬述學語錄』에서 발췌ㆍ번역한 글이다.
2. 묘법연화경의 대의大義를 강설한 「법화경 강해」는 좌탈염불하며 왕생극락한 동현 송찬우 거사님의 유고遺稿임을 밝힌다.
3. 한글 한문 독송용 묘법연화경 경문은 단양 구인사에서 발행한 『묘법연화경』(전3권) 1999년 판본을 따랐다. 경문의 역주譯註 부분은 『묘법연화경 요해要解』(계환戒環 해解), 『묘법연화경 구해句解』(문달聞達 해), 『묘법연화경 언해본』, 『법화문구法華文句』와 『문구기文句記』 등의 주해註解, 『법화경 통의通義』(감산덕청?山德淸 술述), 『정正 법화경』, 『첨품添品 묘법연화경』, 불교대사전 등을 참고하였다.
▶ 진실로 이른바 석가모니부처님의 일대시교一代時敎는 모두 다 염불법문의 주석이다. 이 뿐만 아니라 대개 육근으로 마주할 수 있는 일체 경계, 이른바 산하대지 명암색공明暗色空을 보고 듣고 깨달아 알며, 소리를 듣고 향기를 맡으며 맛을 보는 등이 어찌 정토의 문자를 천양함이 아니런가. 추위와 더위가 서로 바뀌고, 늙고 병들어 꺾이며, 수해나 가뭄, 전쟁과 질병, 마구니의 무리와 사견邪見이 어느 하나라도 사람이 빨리 왕생을 구하도록 일깨우는 경책警策이 아니런가. 자세히 말하면 어찌 다할 수 있겠는가! - 『인광대사문초印光大師文?』
▶ 『화엄경』에서는 「십지보살은 처음부터 끝까지 염불을 여의지 않는다(十地菩薩始終不離念佛)」고 설한다. 처음은 초지初地이고 끝은 등각으로, 그것을 십일지十一地라 한다. 그들이 닦는 것은 염불, 정토에 태어나길 구하는 법문이다. 이 부분에서 우리들은 비로소 서방정토가 위없이 수승함을 진정으로 본다. 이것이 대경에 깊이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면 당신은 모른다. 대경에 깊이 들어가야 이렇게 위대하고 불가사의한 기상氣象을 본다. 서방정토로 향해감이 정말 뭉게뭉게 일어나고, 향해 감(嚮往)의 마음이 저절로 일어난다.
이런 법문은 정말 대단히 믿기 어려운 것으로 오늘날 대승에 깊이 들어가고 『법화』ㆍ『화엄』에 깊이 들어가는 사람은 많지 않다. 만약 깊이 들어가지 못하면 이런 사실을 볼 수 없고 염불법문의 위대함을! 염불법문의 수승함을! 염불법문의 불가사의함을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