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문화
· ISBN : 9791160405477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3-07-28
책 소개
목차
서문-진짜 ‘나’를 찾아 나선 또 다른 영웅들의 계보
1. 바리, ‘여성 잔혹사’를 전복하다: 〈바리데기〉
‘타자화된 별종’을 넘어 운명의 주체로
지배자들도 숨기지 못한 여성 영웅의 원형
바리의 모험과 영웅의 여정
2. ‘버림받은 딸’을 영웅으로 만드는 세 어머니: 《숙향전》
가부장제에 굴복한 친어머니
보호하고 기르는 수양어머니
이끌어주는 여신 어머니
3. 아버지라는 숙명적 비극
‘자식 사랑’으로 포장된 무능: 《심청전》
사악한 계모보다 무서운 무관심한 아버지: 《장화홍련전》 《콩쥐팥쥐전》
아버지에겐 자식보다 가문이 더 중요했다
4. 결혼, 여성을 구속하는 족쇄가 되다
가부장제가 말살한 여성의 인격: 《사씨남정기》
하늘의 선녀라도 시부모의 인정 없이는: 《숙영낭자전》
며느리 되기를 강요당한 여성들의 조선판 SNS: 부요
틀을 깬 미혼모, 여신이 되다: 〈당금애기〉
5. 사랑으로 낡은 세계에 균열을 내다
운명에 도전한 궁녀의 사랑: 《운영전》
계급을 뛰어넘은 사랑의 혁명: 《춘향전》
6. 당나귀 가죽을 벗는 여성들
다시 태어난 소녀의 인생 2회차 모험: 《금방울전》
명예남성이길 거부한 여성 영웅: 《박씨전》
7. ‘유리 천장’을 뚫기 위해 남자가 된 여성들
가부장제의 혼란이 낳은 여성 영웅: 《홍계월전》
나라를 구했지만 가정은 벗어나지 못한 불완전한 혁명: 《이학사전》
혈연을 뛰어넘은 대안가족을 상상하다: 《방한림전》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당대의 사람들에게 한계를 넘어서는 자유를 꿈꾸게 했을, 신분과 성별을 비롯해 자신을 제약하는 모든 것들에 맞서고 시련을 견디며 자신의 진짜 모습들을 찾아가는 여성 인물들의 전통은, 어쩌면 읽고 쓰는 사람들의 눈과 손을 통해 계속 이어져, 지금의 여성 작가들과 여성 독자들이 쓰고 읽으며 만나는 여성 인물들의 이야기로 이어졌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그것은 또 다른 영웅들의 계보일지도 모른다고, 이 책에 언급한 옛이야기들을 다시 읽어나가다가 때때로 생각했다.
한때는 버림받은 딸들이었고, 자라서도 수많은 시련을 겪으면서도 굴하지 않고, 작게는 가문 크게는 국가라는 이름의 가부장제가 지배하는 세계에서 때로는 나라를 구하고 때로는 스스로를 구하며, 때로는 다른 여성을 위험에서 구해내는 이들, 누군가를 사랑하는 자들이자 세계와 불화하는 자들이며 어머니이자 딸이고 자매들인 이들, 사회적 약자이자 타자이며 때로는 모험을 떠날 자유조차 주어지지 않았던 이들이 바로 옛이야기 속 여성 영웅들이었다. 우리는 이들의 모습에서 상처 입은 어린이나 버림받은 딸, 사회생활에서 눈에 보이지 않게 계속되는 차별을 겪으며 소외되었던 우리 자신의 모습들을 발견하는 한편, 이들의 영웅적인 여정에서 또 다른 용기를 얻는 것이다. … 위기에 빠진 나라를 구하거나 세상의 끝을 향해 모험을 떠나지 않아도, 이들의 도전과 반란은 타자화된 별종들의 이야기가 아닌, 그 자체로 또 다른 영웅의 이야기이자 우리들의 이야기가 된다.
만약 《장화홍련전》에서 아들인 장쇠에게 더 많은 재산을 주기 위해 위의 두 딸을 핍박하고 죽음으로 몰아간 사람이 계모 허씨가 아니라 배 좌수였다면 장화와 홍련은 원귀가 되어 돌아올 수조차 없었다. … 가족 안에서의 학대에 대해 피해자들이 합법적으로 원망하거나 복수할 수 있는 대상은 오직, 가족이지만 온전한 가족이 아니고 부모이지만 혈연이 아닌 돌출된 존재인 계모뿐이었다.
이와 같은 이야기들은 현실에서 차별이나 학대를 받는 피해자들에게 공감을 사고 위로가 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모든 죄를 계모에게 부당하게 뒤집어씌운 채, 현실에서 일어나는 차별과 학대를 못 본 척하기도 했다. 과거는 물론 현대에도, 《장화홍련전》이나 《콩쥐팥쥐전》을 읽는 현대의 독자들, 의붓어머니에게 주인공이 학대당하는 홈 드라마를 보는 시청자들은 주인공이 겪는 비극과 계모의 악행에만 집중할 뿐, 아버지의 묵인이나 무관심은 쉽게 지나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