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60681116
· 쪽수 : 535쪽
· 출판일 : 2017-08-29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제1장 상하이 한인거류민단의 거두
제1절 거류민단의 창설자
제2절 상하이 민단의 대표로서
제3절 선거제도의 도입
제4절 거류민의 권리 옹호를 위해
제5절 동포 자제의 교육에 심혈을 기울이다
제2장 러시아혁명과 중국혁명의 사이에서
제1절 러시아 혁명정부에 대한 외교
제2절 한인사회당의 당리·당략
제3절 포타포프, 천종밍과의 회담
제3장 미국 의원단의 방한 영접
제1절 중국에서의 환영
제2절 서울에서의 환영과 총독부의 대응
제4장 사회주의를 통한 모색
제1절 코민테른에 대한 관심
제2절 맑스 이론에 대한 관심
제5장 독립 전쟁과 식민지방어 전쟁
제1절 3·1운동과 간도(間島)·시베리아의 독립전쟁
제2절 “휘춘(琿春)사건”이라는 모략
제3절 일본군의 간도 침공과 칭샨리(靑山里) 전투
제4절 일본 군경에 의한 간도거주 한인 학살
제6장 상하이임시정부의 분열양상
제1절 이동휘 그룹의 대책
제2절 두 개의 고려공산당
제3절 안창호 그룹의 독립준비론
제4절 이승만의 상하이 내방과 내분 격화
제5절 분출한 이승만 규탄
제6절 여운형 그룹의 한중 연대론
제7장 극동민족대회
제1절 흑하(黑河)사건의 발생
제2절 워싱턴회의인가, 극동민족대회인가
제3절 레닌 접견, 대회의 경과와 후속 상황
제8장 국민대표대회
제1절 국민대표대회 개최를 향해
제2절 대회의 연기와 재조직
제3절 대회 개회와 토론 그리고 분열
주석
책속에서
“여운형처럼 한국 독립 운동사에서 많은 족적을 남긴 사람도 드물지 않을까 생각된다. 본서의 저자 강덕상 선생은 『여운형평전(呂運亨評傳) 1』(新幹社, 2002)의 서문에서 여운형이란 인물을 주목하는 이유로 “그 어려웠던 식민지 시기에 … 주변 여러 나라의 지도자들과 교류를 가지면서 서로 솔직한 의견 교환을 나눌 수 있었던 인물은 이 사람밖에 없었다. 환언하면 기라성 같은 독립운동가 군상들 중에서도 가장 빛나는 일등성(一等星)”이었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즉 여운형은 국권을 빼앗겨 망국 민족의 설움 속에서 살던 당시의 한민족에게 희망을 주는 인물이었다. 본서의 발간으로 여운형이 한국 독립운동사에서 재조명되는 계기가 되길 바라마지 않는다.”
-역자 서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