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강덕상, 김인덕, 장세윤, 야마다 쇼지, 강효숙, 다나카 마사타카, 서종진, 모리카와 후미토, 김종수 (지은이)
동북아역사재단
1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7,000원 -10% 350원 5,950원 >

책 이미지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61873178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13-12-31

책 소개

'동북아역사재단 기획연구' 57권. 한일 양국의 역사문제로 인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 학살사건을 재조명하는 동시에 과거사의 실상을 명확히 파악하고자 한다.

목차

책머리에 11


제1부| 한일관계와 관동대지진의 역사적 의의

● 한일관계에서 본 관동대지진 강덕상 19

● 일본 민중은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 학살사건의 역사적
의미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오늘날 일본의 정치적·사상적
상황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야마다 쇼지
Ⅰ. 머리말-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에 대한 필자의 문제의식에 대하여 45
Ⅱ. 관동대지진 전야에 발생한 조선 해방을 위한 일본인·조선인 연대지향의 맹아 46
Ⅲ. 식민지 해방 슬로건을 채택한 1923년 5월 도쿄의 메이데이에 대한
경시청의 대탄압 50
Ⅳ. 관동대지진시의 조선인 학살 52
1. 관헌이 유포한 조선인 폭동 유언(流言)과 조선인 학살의 용인 발언 52
2. 군대 출동과 계엄령 포고 56
3. 자경단이 만들어진 방법과 그 사상 57
Ⅴ. 조선인 학살의 국가책임을 은폐하는 일련의 공작 64
1. 조선인 폭동의 날조공작 64
2.학살된 조선인의 유체 은폐 68
3. 관동대지진의 역사서 편찬에 의한 경시청의 책임은폐 69
Ⅵ. 1990년대 중반 이후 일본의 아시아 침략과 식민지 지배에 대한 인식 변화 70
1. 요코하마시 교육위원회와 도쿄도 교육위원회의 관동대지진시
조선인 학살사건의 사실(史實) 왜곡정책 등장 70
2. 자유주의사관의 등장 71
3. 자민당 극우파 아베 신조[安倍晋三]의 등장과 아시아에 대한 일본의 침략과
식민지 지배 인식의 왜곡 동향 74
Ⅶ. 맺음말 80

제2부| 관동대지진에 대한 연구와 교육

● 관동대진재 당시 피학살 조선인과 가해자에 대한 일고찰 강효숙
Ⅰ. 머리말 85
Ⅱ. 피학살 조선인 수 91
Ⅲ. 일본 정부의 가해자에 대한 처리 112
Ⅳ. 맺음말 125

● 전후 일본의 역사교육과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 다나카 마사타카
Ⅰ. 머리말 129
Ⅱ. 역사교과서 분석 130
Ⅲ.전후 역사교육과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133
Ⅳ. 맺음말 136

● 일본 교과서의 관동대지진과 학살사건 기술 내용 분석 서종진
Ⅰ. 머리말 153
Ⅱ. 일본 보수세력의 교과서 공격 155
Ⅲ. 일본 언론의 관동대지진 관련 교과서·부교재 기술에 대한 보도 158
Ⅳ. 초중고 교과서의 관동대지진과 학살사건 기술 사례와 내용 분석 161
1. 사망자와 행방불명자 총수(總數) 166
2. ‘조선인’ 희생자 수 167
3. 학살의 주체 168
4. 유언비어 169
5. 도판 170
Ⅴ. 맺음말 172

● 한국 역사교육 속의 재일조선인과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 김인덕
Ⅰ. 머리말 179
Ⅱ. 한국의 재일조선인사 서술 경향 182
1. 최근의 재일조선인사 182
2. 재일조선인사 서술의 일반 186
3. 1923년 관동대지진 속 조선인 학살 서술 189
Ⅲ. 관동대지진 속 조선인 학살 서술안 192
1.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193
2. 유언비어 194
3. 일본 사회운동과 치안상황 195
4. 천황제 이데올로기와 조선인 학살 196
5. 일본 언론 198
6. 6천 명이 넘는 조선인의 죽엄 199
7. 일본 사회주의자 200
8. 조선인 학살과 그 뒤 201
9.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의 의미 202
Ⅳ. 맺음말 203

제3부| 관동대지진과 남겨진 과제들

● 관동대지진시 한인 학살에 대한 《독립신문》의 보도와 최근
연구동향 장세윤
Ⅰ. 머리말-진상규명을 위한 현황 파악의 필요성 207
Ⅱ. 《독립신문》의 관동대지진시 한인 학살 관련 보도 212
1. 《독립신문》 개관 212
2. 한인 학살 관련 보도내용의 개략적 검토 214
Ⅲ. 《동아일보》·《조선일보》의 보도 개관 225
Ⅳ. 한국 학계의 관동대지진시 한인 학살문제 연구와 서술 229
1. 한국 학계의 연구동향 229
2. 최근 고등학교 교과서의 관동대지진시 한인 학살 서술 231
Ⅴ. 북한 학계의 관동대지진 관련 서술 234
Ⅵ. 일본과 미국 학계의 동향 236
1. 일본 학계의 동향 236
2. 미국 학계의 동향 239
Ⅶ. 2013년 관련 학술회의 동향 241
Ⅷ. 맺음말-당면과제와 전망 243

● 1923~2013년 관동대지진 90년, 우리들은 국가·민족을
극복했는가? 모리카와 후미토
일변연(日弁連) 권고의 의의와 일본 정부의 민중분단정책의 책임
Ⅰ. 문제의식-배외주의는 다시 힘을 갖는 것인가 249
Ⅱ. 1920년대 관동대지진시 일본, 아시아의 계급을 둘러싼 상황 250
Ⅲ. 관동대지진시 학살의 국가책임-일본변호사연합회 권고의 의의 252
Ⅳ. 국가책임의 본질-내셔널리즘에 의한 계급대립의 ‘회수’ 253
Ⅴ. ‘일본인으로서 책임’이라는 것은 255
Ⅵ. 우리들은 국가·민족을 극복할 수 있을까? 255
Ⅶ. 2013년 정세-세계적인 공황정세의 계속과 세계의 민중투쟁 257
Ⅷ. 민중·노동자 계급 공통의 적으로서 신자유주의-민영화·외주화·비정규화 258
Ⅸ. 국가의 책임을 철저하게 추급하는 일이 민중(계급)의 국제연대 260

●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을 규명하는 한국에서의
시민운동 김종수
Ⅰ. 간토 조선인 학살사건 규명활동의 출발 263
1. 계절학교에서 만난 증언자 야키가야 다에코 264
2. 신주쿠 고려박물관에서 열린 간토 패널 전시회 265
3. 간토 조선인 학살사건이 한국 국회로 266
Ⅱ. 도쿄에서 간토 조선인 학살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연대조직 출범 268
Ⅲ.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한일재일 시민연대 사업 278
1. 사진자료 전시회와 학술 심포지엄 278
2. 학살현장을 찾아가는 스터디투어 285
3. 국가 차원의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입법화 운동 294
4. 희생자의 명예회복을 위한 추도사업 300
5. 학살 희생자 유족찾기 사업 301
Ⅳ. 한국에서의 진상규명을 위한 시민운동의 평가와 과제 304
1. 진상규명을 위한 시민운동의 평가 304
2. 진상규명을 위한 시민운동의 향후 사업과 과제 305

찾아보기 307

저자소개

강덕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2년생. 재일 사학자. 한국 근대사, 독립운동사 전공. 와세다(早?田)대학교 문학부 사학과 졸업. 메이지(明治)대학교 대학원 문학연구과 박사과정 수료. 히토츠바시(一橋)대학교 교수 및 시가(滋賀)현립대학교 교수 역임. 시가현립대학교 명예교수. 재일한인역사자료관 관장 및 비영리법인 문화센터아리랑 센터장을 역임. 저서: 『現代史資料6 ?東大震災と朝鮮人』, みすず書房, 1963(공저); 『現代史資料25 朝鮮1 三·一運動1』, みすず書房, 1966; 『現代史資料26 朝鮮2 三·一運動2』, みすず書房, 1967; 『現代史資料27 朝鮮3 朝鮮?立運動1』, みすず書房, 1970; 『?東大震災と朝鮮人』, 中公新書, 1975; 『朝鮮人?徒出陣-もう一つのわたづみの?』, 岩波書店, 1997; 『朝鮮?立運動の群像-啓蒙運動から三·一運動へ』, ?木書店, 1998; 『呂運享評? 1 朝鮮三·一運動』, 新幹社, 2002; 『?東大震災·虐殺の記憶』, ?丘文化社, 2003; 『呂運享評? 2 上海臨時政府』, 新幹社, 2005; 『錦?の中の朝鮮と中?-幕末·明治の日本人のまなざし』, 岩波書店, 2007. 그 외 다수.
펼치기
김인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2년 전라남도 광주 출생. 성균관대학교 문학박사. 순천에 있는 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연구소 소장, 간호학과 교수로 역사와 철학을 학생들과 함께 공부하면서 재일조선인 역사를 연구한다. 저서는 『한국현대사와 박물관』(국학자료원, 2018), 『오사카 재일조선인의 역사와 일상』(선인출판사, 2020), 『갈등과 화합의 재일코리안 단체의 역사』(선인출판사, 2021) 등이 있다. 논문은 「재일조선인사 연구의 선구자 박경식」(『근현대 지식인과 한일 역사화해』, 2021), 「역사 속 재일조선인 의료와 복지의 한계」(『한일민족문제연구』 40, 2021), 「역사박물관 전시 보기를 전제로 살펴본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한국근대사 전시 개편」(『현대사와 박물관』 4,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장세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만주(중국동북)지역 독립운동사 연구로 문학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독립기념관 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연구교수, 동북아역사재단 수석연구위원·한일관계연구소장 등을 지냈으며, 동북아역 사재단 명예연구위원이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중국 동북지역 민족운동과 한국현대사』(명지사, 2005), 『일제강점기』(공저, 눈빛, 2010), 『개화기와 대한제국』(공저, 눈빛, 2012), 『3·1운동과 대한민국임정부의 재조명』 2(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일제강점기 학살당한 한국인들』(동북아역사재단, 2021),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사』(선인, 2021), One Hundred Years after Japan’s Forced Annexation of Korea : History and Tasks(공저, PeterLang, 2015), 『關東大震災と朝鮮人虐殺』(공저, 論創社, 2016)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일제의 경성제국대학 설립과 운영」(『한국독립운동사연구』 6, 1992), 「경성제국대학의 한국 인 졸업생과 고등문관시험」(『향토서울』 69, 2007) 등이 있다.
펼치기
야마다 쇼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0년 사이타마현에서 태어나 1953년 릿쿄대학 문학부 사학과를 졸업했다. 1962년에서 1995년까지 릿쿄대학 일반교육부에서 근무했으며 2017년 현재는 릿교대학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근대 민중의 기록 6: 만주이민》(편저), 《꿋꿋하게 살아온 증거》, 《이웃나라의 고발: 강제연행의 기업 책임》 등이 있다.
펼치기
다나카 마사타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근대사 전공, 센슈대학 교수
펼치기
서종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북아역사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 소장. 와세다대학 정치학 박사. 주요 논저로 『関東大震災と朝鮮人虐殺』(姜徳相・山田昭次 ほか, 論創社, 2016), 『세계의 역사교육 어디로 가고 있는가』(편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근현대 지식인과 한일 역사화해』(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일본 제국주의의 ‘내지연장주의’와 조선총독부의 ‘문화정치’」(『한국정치외교사논총』 41-2, 2020.2) 등이 있다.
펼치기
모리카와 후미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법학부 전공, 피플스법률사무소 변호사
펼치기
김종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학(종교교육) 전공, 1923 간토한일 재일시민연대 상임대표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1879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