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60684810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1-05-31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서론 일본의 한국 식민지 통치와 한국인의 대응
1. 일본의 대한제국(한국) 강점과 식민지 지배, 한국인들의 저항
2. 일본의 ‘조선’ 식민지 지배에 대한 평가와 그 의미
3. 독립운동 연구의 의의 및 한국독립운동의 성격
4.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의 특징과 의의
5.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의 시사점과 교훈
6. 한민족 독립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7. 한국독립운동의 세계사적 성격과 의의
제1부 중국 동북지역 독립군 기지 개척과 독립군의 형성
제1장 1910년대 남만주 독립군 기지 건설과 신흥무관학교
1. 안동 유림과 신흥무관학교
2. 신민회의 독립군기지 건설과 안동 유림의 남만주 이주
3. 남만주 신흥강습소의 건립과 안동 유림
4. 신흥무관학교에 대한 졸업생·교관·김구·일제의 인식
5. 신흥무관학교와 김대락·이상룡·김동삼의 활동
6. 남만주 독립군 기지 건설과 신흥무관학교의 의미
제2장 1910년대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 세력의 공화주의·공화제 수용 양상
1. ‘공화’의 개념과 공화주의 수용
2. 신민회의 설립과 명망가들의 남만주 이주
3. 1910년대 주요 선언서류의 검토
4. 중국 동북지역 주요 독립운동 단체의 공화주의·공화제 수용 양상
5.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세력의 공화주의 수용과 독립전쟁 전개
제3장 중국 동북지역에서 한인 독립운동 조직·항일 유격대의 형성과 유형
1. 중국 동북 항일무장투쟁의 두 흐름-독립군과 항일유격대
2. ‘독립군’의 개념
3. 한국의 일반적 ‘독립군’ 개념과 용례
4. 1910~20년대 초 중국 동북지역 독립군의 형성
5. 중국 동북지역에서 당·정·군 체제 성립과 ‘당군’으로서의 독립군
6. 독립군의 1930년대 초 한·중 연대 실현과 공동 투쟁
7. 중국공산당 만주조직 산하 항일무장투쟁 세력의 형성과 발전
8. 1910~30년대 독립군·항일유격대의 형성과 유형
제2부 1920년대 초 독립전쟁과 1930년 전후 민족운동 세력의 동향
제1장 「홍범도일지」 재검토를 통해 본 봉오동전투·청산리독립전쟁
1. 만주 독립전쟁과 「홍범도일지」의 중요성
2. 홍범도의 군자금 모집과 독립군 부대의 형성
3. 독립군의 봉오동전투 개관
4. 「홍범도 일지」를 통해 본 봉오동전투
5. 청산리독립전쟁의 개요
6. 「홍범도 일지」를 통해 본 청산리독립전쟁
7. 청산리독립전쟁 전과의 검토
8. 1922년 1월 ‘극동민족대회’에서 보고된 만주 독립군의 활약상
9. 일본군의 패배와 북간도(중국 연변) 일대 초토화 작전
10. 봉오동전투·청산리독립전쟁의 의미와 시사점
제2장 대한민국임시정부대한민국임시정부 직할 참의부 자료의 검토
1. 자료 수집 경위
2. 중국 당안관 자료의 수집과 활용의 문제점
3. 대한민국임시정부대한민국임시정부와 참의부의 관계
4. 자료의 구성과 내용
5. 자료의 성격과 가치, 추후의 과제
제3장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중국 동북(만주)지역 확산과 한인 학생·민족운동 세력의 호응
1. 광주학생독립운동 연구의 필요성
2. 광주학생독립운동의 명칭과 연구현황 개관
3.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전개와 전국적 확대
4. 광주학생독립운동에 대한 일제 당국의 인식과 문제점
5.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중국 연변지역(간도) 확산과 한인 학생·단체들의 호응
6.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중국 동북지역 확산과 민족운동 단체들의 호응
7.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중국 동북지역 확산과 그 의의
제4장 만보산사건 전후 시기 한인 민족운동 세력의 동향과 향후 민족운동
1. 문제의 제기
2. 1920년대 후반~30년대 초 중국군벌 정권과 일제의 한인정책
3. 1920년대 후반~30년대 전반 재만한인의 존재 형태
4. 만보산사건 직후 중국(정부)의 대응
5. 만보산사건 직후 한인 사회와 민족운동 세력의 동향
6. 만보산사건의 영향과 의미
제3부 일본의 중국 동북지방 침략과 한·중 연대 공동항전
제1장 일본의 ‘9·18사변(만주사변)’ 도발과 한·중 연대 공동항전(1931~1945)
1. 광복75주년과 대일항전 승전75주년의 시사점
2. 최근 중국 수뇌부의 항일전쟁 인식
3. 일본의 ‘9·18사변’ 도발과 동북의용군의 봉기
4. 조선혁명군의 한·중 연대 공동항전
5. 동북항일연군의 성립과 중국 동북지역 한인들의 활동
6. 김구·윤윤기의 동북항일연군 인식 ·
7. 1930년대 중국 동북지방 한중 연대 공동항전의 의의
제2장 해방 전후시기 만주지역 조선의용군과 동북항일연군의 동향
1. 연구 목적과 의의
2. 조선의용대·화북조선독립동맹·조선의용군의 성립과 활동
3. 동북항일연군의 성립과 한인들의 활동
4. ‘동북항일연군 교도려’의 성립과 활동
5. 해방 직전시기 동북항일연군의 중국공산당 중앙 인식과 종전 대책
6. 동북항일연군·조선의용군의 만주(연변) 진출과 연변 사회
7. 주보중의 ‘연변 조선민족보고’와 한인들의 정착
8. ‘동북항일연군 연변분견대’와 조선의용군 제5지대의 활동
9. 조선의용군과 동북항일연군의 상호인식
10. 1940년대 후반 조선의용군의 확대와 국공내전 참전, 북한 입국
11. 조선의용군·동북항일연군의 위상과 영향
참고문헌
본서 관련 저자 논저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