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60684414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1-01-30
책 소개
목차
【화보】
발간사
김성우
축사
선산김씨 대동종친회 회장 김광우
장손 김광조
서문
전 대경대학교 교수 권대웅<이 책의 출간에 즈음하여>
1장 海山 金正黙의 사회적 연망과 해외 망명 (권대웅)
1. 머리말
2. 가계와 사회적 연망
1) 가계와 가족
2) 혼맥과 학맥
3. 해외 망명과 독립운동
1) 연해주 망명과 미산부 한흥동 개척
2) 베이징 법정대학 수학과 남만주 펑톈 이주
4. 맺음말
2장 海山 金正黙의 중국 關內에서의 민족운동 (조규태)
1. 머리말
2.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변혁 활동
3. 투쟁적 독립운동노선의 堅持 활동
4. 만주지역 한인의 원호와 한중항일투쟁의 전개
5. 맺음말
3장 海山 金正黙의 만주지역 활동과 집안의 민족운동 (박환)
1. 머리말
2. 김정묵의 만주지역 활동
1) 김정묵의 중국군 입대
2) 봉소전쟁시 동삼성 군법처장으로, 재만동포 옹호에 앞장
3) 김정묵의 만주지역 첩보활동 지도와 황귀호
3. 김정묵 집안의 민족운동
1) 김정묵 형제들의 항일운동
2) 김정묵 아들들의 항일운동
4. 맺음말
4장 중국 군벌과 한국독립운동가들의 교류와 연계활동 - 해산 김정묵을 중심으로 (장세윤)
1. 머리말
2. 김정묵의 생애 개관
1) 국가보훈처 공훈록 내용
2) 김정묵의 ‘대독립당조직북경촉성회’ 참여 등 북경지역 활동
3. 중국 군벌과 재만 한인, 한국독립운동
1) 원세개
2) 장작림
3) 장학량
4) 풍옥상
5) 김창숙의 중국 유지 및 군벌과의 교류와 독립운동
6) 郭松齡과 孫德全 : 군법과장과 군법처장 재직 때 중국동북군계 지휘관
4. 일제의 만주침략과 한인 민족운동 세력의 한중 연대 도모
5. 중국 군벌(유지)과 김정묵의 활동
1) 동삼성 군법처장 활동
2) 1932~33년경 북경지역 활동
6. 맺음말
5장 민산 김교삼의 민족운동과 광복 후 정치활동 - ‘부자·부부·장서(丈壻) 독립운동가’였음에 주목하며 (김영범)
1. 머리말
2. 출생과 성장과 혼인관계
3. 독립운동 장으로의 진입과 초기 활동
1) 의열단의 조선혁명간부학교에 입학
2) 조선혁명간부학교 교관에 이어 민족혁명당 간부가 되다
3) 결혼과 그 상대:‘부부 독립운동가’와 ‘장서(丈壻) 독립운동가’의 탄생
4. 중국 항일전선에서의 활약
1) 조선의용대의 기관지 논설자, 지대 정치지도원
2) 화북 태항산과 연안에서의 활동
5. 1946년 이후의 재북 정치활동과 그 종막
1) 입북 환국과 ‘신조선 건설’의 포부
2) 북조선로동당에의 소극적 합류
3) 북한정권 참여
4) 정치행로의 종막
6. 맺음말
【부록 1】 김정묵 관련 자료
1. 장석영이 김정묵에게 준 시와 편지|「밀산추억기(蜜山追憶記)」|3. 김정묵이 『권업신문』
에 낸 광고|4. 김정묵이 한계 이승희에게 보낸 편지|5. 김정묵 편지에 대한 석주 이상룡
의 답서|6. 김정묵을 면담한 『동아일보』 기사|7. 김교삼(‘양민산’)과 장수연의 『조선의용
대통신』 기고 논설|8. 김성묵의 부인 이용술의 회고
【부록 2】 김정묵 연보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