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종과 대한제국

고종과 대한제국

(왕국과 민국 사이)

이민원 (지은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0원
3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종과 대한제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종과 대한제국 (왕국과 민국 사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60686197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2-10-20

책 소개

대한제국기에는 개인의 주권확립까지 이루지는 못했지만, 고종과 관료들의 국가주권 확립과 서구 문명 도입을 위한 노력은 일방적 비판과 매도 보다는 오히려 높이 평가할 만하다.

목차

화보 / 5
책머리에 / 33

머리말 43

제1장 | 청일전쟁과 조선왕국의 종언

1. 19세기 말의 조선과 청일전쟁
청일전쟁의 기원과 거문도사건 51
이홍장의 중재와 감국대신 원세개 55
시베리아횡단철도와 일본의 군비 강화 58
동학도의 봉기와 일본군 파병 61
일본의 경복궁 기습과 청일전쟁 도발 65

2. 러·일 갈등과 조선 궁정의 비극
시모노세키 조약과 삼국간섭의 파장 68
경회루의 마지막 연회와 건청궁의 비극 72
조선왕후시해 전말과 일본 내각의 동정 77
히로시마 재판소 판결과 북화첩보(北華捷報)의 보도 83

3. 단발령과 떨어진 조선의 혼 - 상투와 사무라이
조선 정국의 혼란과 단발령 88
상투의 유래와 조선인의 관념 91
단발령에 개입된 일본의 정략 95
사무라이의 상술과 조선인의 자존심 99
조선 조야의 반응과 의병의 봉기 103

제2장 | 대한제국의 탄생과 황제시대의 정책

1. 고종의 러시아공사관 피난과 경운궁 환궁
고종의 러시아공사관 피난 109
러시아 황제 대관식과 모스크바의 조선 사절 118
서울의 로스케와 고종의 경운궁 환궁 127
독립신문·독립문·독립협회 131
정동클럽과 손탁호텔 138

2. 광무황제의 즉위와 대한제국
화이관의 변화와 동북아의 새 질서 146
칭제건원 논리와 반대논리 154
광무황제 즉위와 대한제국 선포 161
열강의 반응과 대한제국 승인 167
대한제국과 대청제국의 평등조약 173

3. 대한제국의 체제정비와 황제의 정책 방향
대한국국제와 황제체제의 정비 177
정부의 산업화 정책과 광무개혁 180
대한제국기의 장충사업 1: 서울의 장충단 189
대한제국기의 장충사업 2: 청주의 모충단 195
대한제국의 하와이 이민사업 208
정부의 문물정비사업과 『증보문헌비고』 편찬 219
일본 신도(神道)의 침투와 단군의 부활 223

제3장 | 러일전쟁과 대한제국의 비극

1. 러일전쟁과 일본의 대한제국 외교권 탈취
의화단봉기와 러·일의 만주 출병 233
러·일의 개전과 영·미의 일본 지원 238
경운궁의 대화재와 수옥헌의 고종 248
일본의 외교권 탈취: 자결하는 충신과 애국 언론 260

2. 대한제국의 국제사회에 대한 호소
민영환·한규설과 이승만: 루스벨트 면담과 지원 요청 266
광무황제의 헤이그특사 파견과 그 논리 274
특사의 파견에 협력한 내외의 인사들 283
대한제국의 호소에 대한 국제 언론의 반응 288

3. 일본의 대한제국 병탄과정과 열강
국제관계의 역학과 약소국의 운명 297
가쓰라-태프트 메모와 미국의 필리핀에 대한 이해 300
영일동맹과 영국의 인도에 대한 이해 306
러·일의 타협과 러시아의 외몽고에 대한 이해 310

제4장 | 대한제국의 운명과 부활하는 한국의 혼

1. 대한제국의 국권 상실과 끝나지 않은 사명
광무황제의 퇴위와 일본의 국권 탈취 317
끝나지 않은 사명: 해외의 독립운동 조직과 특사의 운명 321
한국혼의 부활과 민족주의역사학의 대두 326

2. 황제의 운명: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덕수궁: 황제의 궁(경운궁)에서 태황제의 궁으로 337
고종의 운명: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342
순종시대의 황궁: 창덕궁 352

맺음말 364

연표 / 371
참고문헌 / 381
찾아보기 / 401

저자소개

이민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의 역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충북대, 청주대, 교원대, 단국대, 경희대 등에서 한국사, 한국근현대사, 근대동양외교사 등을 강의하였으며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연구위원, 한국보훈교육연구원 연구부장, 원광대 초빙교수, 국제한국사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저서로는 『한국의 황제』(2001), 『명성황후시해와 아관파천』(2002), 『Q&A한국사5: 근현대』(2008), 『조완구-대종교와 대한민국임시정부』(2012), 『대한민국의 태동』(2015), 『이상설-신학문과 독립운동의 선구자』(2017), 『고종평전』(2021) 등이 있다. 공저로는 『명성황후시해사건』(1992), 『조선 후기 외교의 주인공들』(2008), 『전란기의 대마도』(2013), 『고종시대의 정치리더십연구』(2017), 『조선의 청백리』(2021), 『여섯 가지 주제로 만나는 정동』(2022) 등이 있다. 번역서로 『국역 윤치호영문일기』 2, 3(2015, 2016), 『나의 친구 윤봉길』(원저: 金光, 『尹奉吉傳』, 上海: 法租界 韓光社, 1933)(2017) 등이 있다. 현재 동아역사연구소 소장으로서 한국의 근현대사와 인물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