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정치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미국 하와이대 정치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충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영국 케임브리지대 퀸스칼리지 방문학자 역임
현대사상연구회 회장,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회장,
한국정치학회 회장 역임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처장, 국제협력처장,
세종국가경영연구소 초대소장, 한국학진흥사업단 단장 역임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사회과학부 교수
주요 저서
《한국현대정치사》(공저), 《미래한국의 정치적 리더십》(공저), 《남북한의 최고지도자》(공저), 《장면ㆍ윤보선ㆍ박정희》(공저), 《유교리더십과 한국정치》(공저), 《한국정치사상의 비교연구》(공저), 《세종의 국가경영》(공저), 《세종리더십의 형성과 전개》(공저), 《세종과 재상, 그들의 리더십》(공저), 《청소년을 위한 세종리더십 이야기》(공저), 《비폭력과 한국정치》(공역), 《리더십강의》(공역), 《영혼의 리더십: 간디의 생애와 유산》(공역), 《다사리공동체를 향하여: 민세 안재홍 평전》, 《다사리 국가론》, 《정치리더십과 한국민주주의》, 《비살생 정치학》(단독 번역) 등
펼치기
이민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의 역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충북대, 청주대, 교원대, 단국대, 경희대 등에서 한국사, 한국근현대사, 근대동양외교사 등을 강의하였으며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연구위원, 한국보훈교육연구원 연구부장, 원광대 초빙교수, 국제한국사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저서로는 『한국의 황제』(2001), 『명성황후시해와 아관파천』(2002), 『Q&A한국사5: 근현대』(2008), 『조완구-대종교와 대한민국임시정부』(2012), 『대한민국의 태동』(2015), 『이상설-신학문과 독립운동의 선구자』(2017), 『고종평전』(2021) 등이 있다.
공저로는 『명성황후시해사건』(1992), 『조선 후기 외교의 주인공들』(2008), 『전란기의 대마도』(2013), 『고종시대의 정치리더십연구』(2017), 『조선의 청백리』(2021), 『여섯 가지 주제로 만나는 정동』(2022) 등이 있다.
번역서로 『국역 윤치호영문일기』 2, 3(2015, 2016), 『나의 친구 윤봉길』(원저: 金光, 『尹奉吉傳』, 上海: 法租界 韓光社, 1933)(2017) 등이 있다.
현재 동아역사연구소 소장으로서 한국의 근현대사와 인물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펼치기
김종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부교수
저서로 『개화당의 기원과 비밀외교』, 『흥선대원군 평전』 등이 있고, 논문으로 「조일수호조규 체결 전후 오경석의 막후활동: 개화당 기원의 재검토」, 「國=家와 國/家: 왕권을 둘러싼 정치투쟁과 대한제국」, 「‘개화’의 수용과 근대 정치변동(1876~1895)」 등이 있다.
펼치기
이희주 (엮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로 동양정치사상과 한국정치사상 관련분야를 연구했으며, 동경대학교 객원연구원,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고문과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0년 현재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부와 대학원 문화예술학과 및 동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와 논문으로는 <고종시대 정치리더십 연구>(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 공저), <고려시대 공공성> 1, 2(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 공저), <한국정치사상사>(백산서당, 2010, 공저), 「고려 태조 왕건의 리더십과 국가: ‘군주의 권력’과 ‘국가권력’의 상관성을 중심으로」(2015), 「유길준의 ‘국권수호’에 대한 인식- 권력주의와 규범주의를 중심으로」(2014), 「고려시대 무신정권과 공공성: 전통사회 공공성 개념 추출의 시론적 연구」(2013), 「태조 왕건의 역할과 공공성」(2013), 「조선시대 양녕대군과 에도시대 아코우사건을 둘러싼 이념논쟁 -‘공사(公私)관념의 형태’와 ‘은(恩)과 의(義)의 상관성과 대립성’을 중심으로」(2011), 「논어 ? 맹자에 나타난 무(武)의 정신: 방(放).정(征).벌(伐)의 개념을 중심으로」(2011), 「조선초기의 공론정치: 공론의 존재양식과 공론정치의 특수성을 중심으로」(2010)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희주 (엮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로 동양정치사상과 한국정치사상 관련분야를 연구했으며, 동경대학교 객원연구원,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고문과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0년 현재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부와 대학원 문화예술학과 및 동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와 논문으로는 <고종시대 정치리더십 연구>(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 공저), <고려시대 공공성> 1, 2(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 공저), <한국정치사상사>(백산서당, 2010, 공저), 「고려 태조 왕건의 리더십과 국가: ‘군주의 권력’과 ‘국가권력’의 상관성을 중심으로」(2015), 「유길준의 ‘국권수호’에 대한 인식- 권력주의와 규범주의를 중심으로」(2014), 「고려시대 무신정권과 공공성: 전통사회 공공성 개념 추출의 시론적 연구」(2013), 「태조 왕건의 역할과 공공성」(2013), 「조선시대 양녕대군과 에도시대 아코우사건을 둘러싼 이념논쟁 -‘공사(公私)관념의 형태’와 ‘은(恩)과 의(義)의 상관성과 대립성’을 중심으로」(2011), 「논어 ? 맹자에 나타난 무(武)의 정신: 방(放).정(征).벌(伐)의 개념을 중심으로」(2011), 「조선초기의 공론정치: 공론의 존재양식과 공론정치의 특수성을 중심으로」(2010)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