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0980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9-02-12
책 소개
목차
약어
서론 _앨런 P. 스탠리
1장 그리스도인은 최후의 심판이 아니라 상급 심판에서 각자의 행위에 따라 심판을 받을 것이다 _로버트 N. 윌킨
논평: 토머스 R . 슈라이너
: 제임스 D. G. 던
: 마이클 P. 바버
2장 행위와 상관없는 칭의와 행위에 의한 칭의: 최후의 심판에서 행위는 칭의를 확증할 것이다 _토머스 R. 슈라이너
논평: 로버트 N. 윌킨
: 제임스 D. G. 던
: 마이클 P. 바버
3장 바울이 이신칭의와 행위 심판을 동시에 믿을 수 있었다면, 그것이 왜 우리에게 문제가 되어야 할까? _제임스 D. G. 던
논평: 로버트 N. 윌킨
: 토머스 R . 슈라이너
: 마이클 P. 바버
4장 가톨릭교회의 관점: 우리는 은혜로 그리스도와 연합되었기 때문에 우리의 행위는 최후의 심판 때 공로로 인정받는다 _마이클 P. 바버
논평: 로버트 N. 윌킨
: 토머스 R . 슈라이너
: 제임스 D. G. 던
은혜로 얻는 구원과 행위에 따른 심판의 문제 _앨런 P. 스탠리
저자소개
책속에서
자기 자신이 믿음을 지키고 선을 행하면서 끝까지 인내하리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바울도 자신이 상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면(고전 9:27), 당연히 우리도 그렇게 생각해야 하지 않을까? 하지만 그러한 불확실성은 “상”에 국한된 것일 뿐, 영생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만일 우리가 영생에 대한 약속을 믿는다면(예. 요 3:16), 우리는 확신을 가질 수 있다. 그것은 이토록 단순하다. 우리는 이러한 확신을 얻기 위해 우리의 행위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 우리는 최후의 심판대 앞에 섰을 때 비로소 내가 구원을 받은 적이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까봐 내심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우리는 예수가 자신을 믿는 자는 “영생을 얻었고[현재 시제], 심판에 이르지 않고[미래 시제],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겼느니라[과거 시제]”(요 5:24)라고 말씀하신 약속을 믿는다. 우리는 이 보장된 구원으로 인해 기뻐한다. 최후의 심판을 두려워하며 살지 말자. 신자들은 결코 거기서 심판을 받지 않을 것이다.
_1장 그리스도인은 최후의 심판이 아니라 상급 심판에서 각자의 행위에 따라 심판을 받을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구원하시는 의가 바로 하나님과 우리의 올바른 관계의 토대이자 기초가 된다. 따라서 행위가 이 관계의 기초가 아니라면, 행위는 과연 무엇인가? 행위 없이는 구원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행위는 분명히 구원에 필수적이다. 하지만 행위는 필수불가결적인 기초는 될 수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완전함을 요구하시고, 모든 사람은 하나님의 요구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롬 3:23). 따라서 행위는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를 증명하는 필수적인 증거이자 열매라고 말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인다. 행위는, 비록 불완전하긴 하지만, 어떤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를 진정으로 신뢰하고 있는지를 증명해준다.
_2장 행위와 상관없는 칭의와 행위에 의한 칭의: 최후의 심판에서 행위는 칭의를 확증할 것이다
우리가 바울과 다른 저자들의 가르침에 나타난 이 두 가지 강조점을 단 하나의 일관된 교리 문답서 안에 집어넣을 수 있을는지 여부는 알 수 없지만, 어쨌든 우리는 둘 중 하나를 더 중시하거나, 둘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그중 하나의 중요성을 약화시키거나, 또는 어느 한 쪽에 주안점을 두고 다른 한 쪽을 무시해버리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된다. 과연 이 두 강조점의 차이는 우리가 하나의 일관된 명제로 집약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것인가? 오히려 우리가 이 두 강조점에 귀를 기울이고 우리의 상황과 믿음의 순종 여부에 따라 이 두 강조점에 반응하는 것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_3장 바울이 이신칭의와 행위 심판을 동시에 믿을 수 있었다면, 그것이 왜 우리에게 문제가 되어야 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