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2588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3-06-30
책 소개
목차
서문
약어
서론
제1부 해석
명제 1 성경을 일관되게 읽는 것은 성경을 고대 문서로 읽는 것을 의미한다
명제 2 우리는 성경이 무엇인가에 대한 우리의 기대를 조정함으로써 정복의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
명제 3 성경은 우리에게 선함을 정의하거나 선함을 생산하는 방법을 알려주지 않고, 그 대신에 하나님이 생산하시는 선함에 대해 알려준다
제2부 가나안 족속은 죄를 지은 자들로 묘사되지 않는다
명제 4 성경은 하나님으로 말미암은 고통이 자동적으로 희생자의 악행에 기인하는 것일 수 없음을 분명하고 일관되게 가르친다
명제 5 신의 응보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본문 지표 중 어느 것도 가나안 사람들의 경우에 나타나지 않는다
추기 민수기 31장의 미디안 사람들
명제 6 창세기 15:16은 가나안 사람들이 죄를 범하고 있었음을 알리지 않는다
명제 7 이스라엘 사람들과 가나안 사람들은 모두 다른 사람의 정당한 재산을 훔치는 자들로 묘사되지 않는다
제3부 가나안 사람들은 하나님의 율법을 어기는 죄를 범한 것으로 묘사되지 않는다
명제 8 그 땅의 백성은 언약 규정을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고발당하지 않으며, 이스라엘도 그들을 언약 안으로 끌어들일 것으로 기대되지 않는다
추기 구약에서의 귀신들과 우상숭배
명제 9 레위기 18-20장에 포함된 것과 같은 고대 법전은 지켜야 할 규칙들의 목록이 아니므로 가나안 사람들은 그것을 위반하는 죄를 범할 수 없다
명제 10 거룩은 하나님이 부여하신 지위다. 그것은 도덕적 행위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며 거룩을 갖지 못한다고 해서 심판받지 않는다
명제 11 이스라엘은 언약 아래 있고 가나안 사람들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정복 시대에 가나안 사람들이 그 땅에서 추방되는 것은 포로기 때 이스라엘 사람들이 그 땅에서 추방되는 것과 비교함으로써 평가될 수 없다
제4부 정복 이야기의 언어와 이미지에는 문학적・신학적 의미가 있다
명제 12 레위기와 신명기에 있는 가나안 사람들에 대한 묘사는 고발이 아니라 일반적인 고대 근동 문학 장치의 정교한 차용이다
추기 무적의 야만인들과 르바임
명제 13 가증스러운 것으로 묘사되는 행동들은 이스라엘 언약에 따른 이상적인 행동과 대조를 이루기 위해 의도된 것이지, 그것들을 행한 사람들을 범죄자로 고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제 14 정복 기사의 이미지는 창조를 재현한다
제5부 “헤렘”이라는 히브리어 단어가 일반적으로 잘못 번역되기 때문에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이 하고 있는 일이 종종 잘못 이해된다
명제 15 “헤렘”은 “완전히 파괴하다”를 의미하지 않는다
추기 정복 기사에서의 과장법
명제 16 공동체의 “헤렘”은 특정 민족의 사람들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정체성을 파괴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추기 신명기 7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
명제 17 이스라엘의 정복 전쟁은 모든 고대 전쟁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명제 18 라합과 기브온 사람들은 “헤렘”의 예외가 아니며 아말렉 족속에 대한 “헤렘” 사용은 “헤렘”이 형벌임을 나타내지 않는다
추기 “헤렘”과 불결의 제거
명제 19 정복 사건에서 “헤렘”의 논리는 이스라엘의 봉신 조약의 맥락에서 작동한다
제6부 이러한 이해를 적용하는 방법
명제 20 정복 기사를 포함하여 구약성경은 신약성경을 해석하기 위한 모형을 제공하고 이어 신약성경은 오늘날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목적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명제 21 신약에서 “헤렘”의 적용은 우리가 이전의 신분을 벗는 것과 그리스도의 주권에 복종하는 것에서 발견된다. 따라서 “헤렘”은 사람들을 죽이는 것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결론
책속에서
정복은 전쟁이다. 하지만 만약 우리가 그 사건을 이해하고 싶다면 우리는—전쟁은 무엇인가, 전쟁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전쟁은 선한가 아니면 악한가, 전쟁은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가 등등—전쟁에 대한 우리의 현대적 이해를 사용하여 그렇게 할 수 없다. 대신에 우리는 전쟁에 관한 고대의 이해에 비추어 정복 기사를 살펴보아야 한다.
명제 1_성경을 일관되게 읽는 것은 성경을 고대 문서로 읽는 것을 의미한다 중에서
정복과 관련하여 오늘날 제기되는 비난은 야웨께서 야만적이고 부도덕한 방식으로 가나안 사람들의 권리를 침해하고 계신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의는 문맥상 본문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본문에는 인권이나 신적 도덕성[divine morality]과 같은 것이 없다). 문맥상 본문은 야웨는 누구든 자신이 원하는 자에게 땅을 분배하실 수 있기 때문에 그분이 원하는 자에게 땅을 분배하신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문맥상 이것은 신에 대한 정의의 일부이며(삿 11:24에서 그모스도 그것을 할 수 있음) 특별히 중요하지 않다. 본문은 야웨께서 이스라엘에게 땅을 확실히 주셨다는 점을 강조하지만 야웨께서 땅을 이스라엘에게 주실 수 있었다는(즉, 야웨께서 그것을 행하실 법적인 권리를 가지고 계신다는) 개념에 특별한 중요성을 두지 않는다.
명제 7_이스라엘 사람들과 가나안 사람들은 모두 다른 사람의 정당한 재산을 훔치는 자들로 묘사되지 않는다 중에서
거룩은 신과의 동일시를 의미하고 도덕이나 청결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과 동일시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에 이스라엘 사람이나 가나안 사람을 막론하고 어느 누구도 거룩하지 않은 죄를 범할 수 없다. 거룩은 지위다. 그 땅의 정복은 분명히 이스라엘의 거룩한 지위와 관련이 있지만 가나안 사람들 편에서 거룩이 없는 것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명제 10_거룩은 하나님이 부여하신 지위다. 그것은 도덕적 행위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며 거룩을 갖지 못한다고 해서 심판받지 않는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