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2496
· 쪽수 : 688쪽
· 출판일 : 2023-02-15
책 소개
목차
그림 목록
표 목록
글 상자 목록
약어표
서론
1부 여행의 출발
1장 성경 해석 원칙과 방법
2장 포괄적 창조 교리와 과학 연구에 대한 함의
3장 기원 문제를 추구함에 있어 지식과 신앙
4장 과학과 신학의 렌즈를 통해서 본 창조세계
2부 우주의 기원
5장 우주의 기원: 창세기 1:1-2:4
6장 전자기 복사와 우주의 크기
7장 팽창하는 우주
8장 빅뱅 모형과 현대 우주론
9장 별들의 생애와 죽음 그리고 미세조정
10장 우주의 기원에 관한 성경 및 신학의 관점
3부 지구의 기원과 지질학적 역사
11장 지구와 태양계의 기원
12장 지질학의 역사적 뿌리: 격변설과 동일과정설
13장 창세기의 홍수
14장 암석의 순환과 지질 과정의 시간 척도
15장 오래된 암석들: 지질학적 시간 측정
16장 판구조론: 지구의 작동 방식에 관한 이론
17장 암석과 화석에서 지구의 역사 읽기
18장 지구의 역사에 관한 성경 및 신학의 관점
4부 지구상의 생명의 기원
19장 자연 발생에서 무생물로부터의 발생으로
20장 원시 화학: 원시 수프가 나타날 준비
21장 생물학적 정보: 단백질과 핵산
22장 생명의 기원에 관한 대안적인 시나리오들
23장 생명의 기원에 관한 성경 및 신학의 관점
5부 종과 생물 다양성의 기원
24장 진화 이론의 발전
25장 현대의 종합적 진화 이론
26장 진화에 관한 증거 탐구: 계통 발생과 화석
27장 확장된 종합적 진화 이론의 발전
28장 생물 다양성의 기원에 관한 성경 및 신학의 관점
6부 인간의 기원
29장 인간의 기원: 창세기 2-3장
30장 인간의 기원: 자연 인류학으로부터의 증거
31장 인간의 기원: 게놈의 증거
32장 하나님의 형상에 관한 성경 및 신학의 관점
결론적 후기
33장 새 창조, 창조세계를 돌봄 그리고 과학 교육에 관한 성경 및 신학의 관점
용어해설
이미지 출처
성구 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본서는 여섯 개 부와 마무리하는 후기로 나뉜다. 각각의 부에는 자신의 전문 분야에 상응하는 주 저자가 있다. 우리는 본서가 각 저자의 독특한 음성을 왜곡함이 없이 가급적 통일적으로 읽히게 만들려고 노력했다. 본서는 전체적으로 독자에게 기원의 과학에 대한 상세한 그림과 더불어 이 과학 분야들과 그것들이 하나님의 창조 행위 및 구속 행위에 어떻게 들어맞는지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_서론
물리학자인 로버트 보이드는 기적들과 과학 탐구에 대해 우리가 인식하는 문제들은 대개 관점의 문제라고 주장한다. “내가 보기에는 성경이 결코 기적을 ‘자연에 대한 위반’으로 여기지 않는 것 같다. 나는 기쁘게 자연법칙에서 우리가 하나님의 활동에서 볼 수 있는 규칙성에 대한 우리의 설명을 보며, 사람들이 기적으로 부르는 패턴에 나타난 유별난 특징들도 여전히 하나님의 활동이며 하나님의 관점에서는 전혀 불규칙적이지 않다고 본다.” 다양한 형태의 매개된 신적 행동을 강조하는 창조 교리는 하나님이 행동할 때─통상적으로든(기능의 완전성) 특별한 방식으로든(표적과 이적)─하나님이 창조세계에 부여한 특성이나 과정이 위반되지 않는다는 것을 우리가 알도록 도움을 준다. 하나님은 결코 창조세계의 기능의 완전성을 그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의 전부이거나 궁극적인 목적으로 의도하지 않았다. 다른 한편으로, 하나님이 (예컨대 성육신과 부활에서처럼) 그 기능의 완전성의 일부가 아닌 방식으로 행동할 때 하나님께는 그런 행동에 관해 “부자연스러운” 점이 없다. 그런 행동은 신적 계획과 목적에 완전히 일치한다. 기적들은 필요를 충족하는 하나님의 목적에 부합하고 특히 만물의 창조주와 구속자에 대해 증언하는 방식으로 창조된 질서에 추가되었다.
_2장 포괄적 창조 교리와 과학 연구에 대한 함의
하나님의 두 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그 책들에서 얻은 지식이 유용한 대화를 나눔으로써 그것들이 상호 협력해서 우리에게 정보를 제공해주기를 원한다. 특별계시로부터 우리는 자연 안에 있는 만물이 성자를 통해 만들어졌음을 배운다(예컨대 요 1:1-4; 골 1:16). 우리는 이 지식을 과학적 조사에서 발견하지 않는다. 사실 과학적 조사는 만물의 신적 기원을 고려하지 않고서도 창조세계에서 작동하는 과정들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우리는 특별계시와 창조계시를 통합함으로써 과학자들이 하나님의 창조세계를 연구하고 있다는 것과 하나님이 자연의 기능의 완전성을 통해 자연에서 어떻게 일하는지를 보여준다는 것을 이해한다(섹션 2.2.2를 보라).
두 책과 그 책들의 해석을 관련시키는 것을 관계를 맺고 있는 대화 상대로 생각해보라. 다른 모든 관계(가령 사업 파트너나 부부)와 마찬가지로 그런 대화 관계는 원만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다툼과 화해, 상호 도움과 기쁨 등이 있을 수 있다. 우리는 하나님의 두 책과 관여해서 모든 계시로부터 창조세계를 가급적 많이 이해하고 배우기를 참으로 원한다. 만일 하나님이 두 책의 궁극적인 저자라면 우리는 두 책의 초점이 다르지만 두 책 모두 권위가 있는 것으로 여겨야 한다.
_4장 과학과 신학의 렌즈를 통해서 본 창조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