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상담/치유
· ISBN : 9791161292786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4-05-09
책 소개
목차
글 상자 목록
서문
1부 중요한 구분 짓기
1장 트랜스젠더 경험과 새로운 성별 정체성
2장 언어와 범주가 어떻게 성별 정체성을 형성하는가?
3장 의료 분야에서의 논쟁
2부 사람을 들여다보기
4장 관계를 위한 기초
5장 참여 영역 찾기
6장 인생의 장(chapter) 파악하기: 관계-내러티브 접근법
7장 청소년과 소통하기: 수면 아래를 들여다보기
8장 청소년을 위한 사역 구조
9장 기독교적 희망에 대한 성경의 해석 회복하기
참고문헌
책속에서
신학과 성경 주석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하지만, 이 책은 신학과 성경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이런 질문과 씨름하는 사람들과 어우러져 살면서 그들을 돌보고 섬기는 다양한 접근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심리학에 기반을 둔 기초적인 이해와 실제적인 성찰을 기대했던 분들에게 이 책이 그들이 직면한 복잡한 문제와 씨름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우리는 오늘날 젊은이들을 도울 수 있는 모든 단계에 대해 상세하고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런 접근법은 경솔한 해답과 지나친 단순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본다. 대신 우리는 젊은이들이 성별 정체성을 탐색할 때 어떻게 그들의 곁에서 힘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더욱 깊고 폭넓은 이해를 갖게 되길 바란다.
_“서문” 중에서
성별 위화감은 한 개인의 생물학적 성별(biological sex)과 성별 정체성의 불일치와 관련된 고통을 가리킨다. 트랜스젠더는 한 개인의 생물학적 성별에 규범적으로 부합하지 않는 성별 정체성을 다양하게 경험하는 것을 지칭하는 포괄적 용어다. 마크는 성별 위화감에 관한 경험은 실제로 존재하며, 비록 여러 다른 이름으로 알려지긴 했지만 이와 비슷한 것이 역사와 인류의 다양한 문화 전반에 걸쳐 존재해왔다고 주장했다. 사회는 이런 불쾌감을 죄, 병리, 범죄, 하나님의 선물 등의 개념으로 다양하게 분류해왔다.
_“1장 트랜스젠더 경험과 새로운 성별 정체성” 중에서
성별 표현은 이미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었으나 그것을 조사하고 연구한 사람들에 의해 우리가 최근에 인식하게 된 것인가? 아니면 우리는 “종류가 만들어지는 것과 동시에 생겨난 어떤 부류의 사람들”의 성별 경험(젠더 익스팬시브, 바이젠더, 젠더 논바이너리)을 논의하고 있는 것인가? 성을 지닌 존재로서의 정체성(남성 또는 여성)과 구별되는 성별 정체성에 대해 흥미를 보이는 현대 사회는 트랜스젠더가 세상 속에서 정치적·공개적 존재 방식으로 자리매김한 것을 분명히 따르고 있다. 따라서 어떤 유형의 성별 불일치가 현재 시점 이전에도 분명히 존재하긴 했지만, 우리는 성별 정체성이 새롭게 등장하고 또 그것이 부분적으로 현재의 문화적 상황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고 제안한다.
_“2장 언어와 범주가 어떻게 성별 정체성을 형성하는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