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자 없는 금융은 가능한가?

이자 없는 금융은 가능한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이슬람금융의 이론과 현실)

오명석, 이지혁, 김형준, 최경희, 김병호, 이충열, 이선호 (지은이)
명인문화사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800원 -10% 0원
1,600원
27,200원 >
28,800원 -10% 0원
0원
28,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자 없는 금융은 가능한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자 없는 금융은 가능한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이슬람금융의 이론과 현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재무/금융
· ISBN : 9791161930565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22-08-16

책 소개

이슬람적 금융상상의 원리와 성격을 설명하는 것과 동시에, 이의 제도적 실천 과정에서 나타난 성과와 한계, 그리고 쟁점을 경험적 연구방법을 통해 탐구하였다. 이자없는 대안적 금융이 현실적으로 과연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논의를 이슬람금융의 실험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목차

간략목차

1장 이슬람금융의 쟁점들: 경합하는 이슬람적 대안성의 의미
2장 이슬람 주택금융의 이상과 현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사례
3장 이슬람금융을 이슬람식으로 만드는 요소: 마이크로파이낸스 기관의 사례
4장 이슬람보험의 계약적 형태와 샤리아 아비트리지: 이슬람적 증여와 공유 개념을 중심으로
5장 이슬람보험에서의 보험상상: 리스크 기술과 리스크의 분배
6장 인도네시아 ‘마카시드’ 이슬람경제 추구: 자캇과 자캇노믹스 실천
7장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이슬람금융 법제 및 거버넌스 비교
8장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관행금융자산 가격과 이슬람금융자산 가격 간의 관계 분석
9장 수쿡의 발전과 구조 변화 및 그 원인에 관한 연구

세부목차

머리말 x

1장 이슬람금융의 쟁점들: 경합하는 이슬람적 대안성의 의미
1. 서론
2. 이슬람적 금융상상과 이슬람은행의 이론적 구상
3. 이슬람금융의 제도화와 샤리아 아비트리지
4. 신자유주의적 금융 지구화와 이슬람금융
5.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이슬람금융
6. 결론
2장 이슬람 주택금융의 이상과 현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사례
1. 서론
2. 이슬람금융의 목적
3. 이상과 현실의 간극
4. 결론
3장 이슬람금융을 이슬람식으로 만드는 요소: 마이크로파이낸스 기관의 사례
1. 서론
2. 인도네시아 BMT의 발전과 특징
3. 연구대상 BMT 개관
4. BMT의 이슬람적 성격에 대한 비판과 대응
5. BMT의 이슬람적 성격: 내부자의 시각
6. 결론
4장 이슬람보험의 계약적 형태와 샤리아 아비트리지: 이슬람적 증여와 공유 개념을 중심으로
1. 서론
2. 이슬람에서의 보험 논쟁
3. 증여와 이슬람보험
4. 공유와 이슬람보험
5. 결론: 이슬람보험은 대안적 보험인가?
5장 이슬람보험에서의 보험상상: 리스크 기술과 리스크의 분배
1. 서론
2. 말레이시아 타카풀의 역사와 현황: 이중보험체계의 형성
3. 리스크 기술과 보험계약인수
4. 리스크 기술과 보험차수익의 분배
5. 샤리아 불이행 리스크
6. 결론
6장 인도네시아 ‘마카시드’ 이슬람경제 추구: 자캇과 자캇노믹스 실천
1. 서론
2. 이론적 논의와 기존연구
3. 인도네시아 이슬람경제운동과 자캇의 법제도화
4. 조코위정부의 경제전환전략과 자캇노믹스
5. 결론
7장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이슬람금융 법제 및 거버넌스 비교
1. 서론
2.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울라마와 이슬람 기관
3.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이슬람금융 샤리아 거버넌스
4.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이슬람금융 상품의 사례 비교
5. 결론
8장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관행금융자산 가격과 이슬람금융자산 가격 간의 관계 분석
1. 서론
2.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관행 및 이슬람금융시장의 발전 현황
3.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주가지수 및 채권지수 간 관계
4. 결론 및 시사점
부록: 모형 추정 방법 및 추정 결과
9장 수쿡의 발전과 구조 변화 및 그 원인에 관한 연구
1. 서론
2. 수쿡의 등장과 구조
3. 수쿡의 최근 변화와 그 특징
4. 수쿡시장 변화의 특징 및 발전 원인
5. 요약 및 시사점

약어
용어해설
찾아보기
저자소개
도해목차


2.1 이슬람금융의 계약 유형
3.1 BMT 운뚱의 자본과 순이익 증가
3.2 BMT 운뚱의 이념적 토대
6.1 자캇 계산법: 니삽, 비율 그리고 지불시기
7.1 MUI 내 12개 위원회 및 5개 기관
7.2 SGPD와 PBI 부문별 규정
8.1 인도네시아 주식거래 현황
8.2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주식시장 규모 및 GDP 비율
8.3 세계 수쿡 발행 규모
8.4 말레이시아의 채권시장 구성(2021년 9월말 기준)
8.5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형태별 관행 및 이슬람 주식 및 채권지수
8.6 두 시장간 충격전이효과 검정결과
8.7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내 각각 관행 및 이슬람주가지수간 충격 전이 검정
8.8 관행채권지수간 충격 전이 검정
8.9 국공채지수간 충격 전이 검정
8.10 회사채 지수 충격 전이 검정
8.11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간 관행 및 이슬람주가지수간 충격전이효과
8장 부록.1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관행 및 이슬람주식/채권수익률의 기초통계량
8장 부록.2 단위근 검정 결과
8장 부록.3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각각 국가내 관행주가수익률과 이슬람주식 수익률간의 관계 추정결과
8장 부록.4 말레이시아의 형태별 관행 및 이슬람채권수익률 간 DCC-GARCH 모형 결과
8장 부록.5 인도네시아의 형태별 관행 및 이슬람채권수익률 간 DCC-GARCH 모형 추정 결과
8장 부록.6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간 관행주가수익률과 이슬람주식 수익률간의 관계 추정결과
9.1 수쿡의 종류
9.2 전 세계 국가별 발행 수쿡의 종류 비중
9.3 수쿡의 통화별 구분
9.4 수쿡의 상품별 구분

도표
2.1 무라바하와 BBA
2.2 무샤라카 무타나키사를 이용한 주택금융
2.3 전통 타와룩
2.4 기획 타와룩
3.1 BMT 운뚱의 자산 증가
6.1 2002~2016년 인도네시아 자캇 국가총계
6.2 2017~2018 자캇의 수집과 분배
7.1 인도네시아 이슬람경제기관 구조도
8.1 말레이시아 주식시장 규모
8장 부록.1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주가 및 채권수익률 추이
9.1 이자라 수쿡의 구조
9.2 무라바하 수쿡의 발행구조
9.3 무다라바 수쿡의 구조
9.4 와칼라 수쿡의 구조
9.5 전 세계 수쿡의 연간 발행 규모
9.6 전 세계 수쿡의 국내 및 국제 수쿡 발행 비율
9.7 전 세계 장기 및 단기 수쿡 발행 비율
9.8 국제금융시장 대상 장기 및 단기 수쿡 발행 비율
9.9 국내금융시장 대상 장기 및 단기 수쿡 발행 비율
9.10 전 세계 주요 지역의 경제성장률과 투자율

사진
6.1 쌀 ATM

저자소개

이충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경제통계학부 교수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화폐금융론과 개발경제학이며 특히 동남아금융 및 개발경제학에 주력해왔다. 주요 논문으로는 “Profitability on Corporation Banks in ASEAN”, “A Study on the Profitability of ASEAN Bank - Focusing on Commercial Banks”, “전통 및 이슬람 주식시장 간의 관계 분석: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는 Routledge Handbook of Banking and Finance in Asia (공저), “ASEAN-Korea Economic Relationship: A 25 years of Close Partnership of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오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를 마치고, 호주 모내시대학교에서 말레이시아 농촌경제 연구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명예교수이다. 전공 분야는 경제인류학이며 이슬람금융과 동남아시아 지역연구가 주요 관심 영역이다. 주요 연구로는 “선물의 혼과 신화적 상상력”, “동남아의 증여와 호혜성”, “이슬람보험의 계약적 형태와 샤리아 아비트리지: 이슬람적 증여와 공유 개념을 중심으로”, “와크프의 법 제도와 운영 방식: 자선, 공익, 시장의 조합으로서 이슬람 재단”, “이슬람금융의 쟁점들: 경합하는 이슬람적 대안성의 의미”, “지식의 통섭과 인류학”, 《이자 없는 금융은 가능한가?》(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형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동남아 이슬람과 사회문화적 변동이며, 인도네시아 연구에 주력해왔다. 주요 논문으로는 “신성모독: 인도네시아에서 종교 자유와 관용의 축소”,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이 문화적 다양성 확대에 미친 영향: 인도네시아 전통춤 자띨란의 사례를 중심으로” 등이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히잡은 패션이다: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의 미에 대한 생각과 실천』, 『이슬람과 민주주의: 인도네시아 이슬람단체 무함마디야의 민주적 전통』 등이 있다.
펼치기
이선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남대학교 경제학부 부교수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이슬람 금융 및 동남아시아 경제성장이며, 동남아시아 경제와 관련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이슬람 금융과 관련한 연구논문으로 “주요 사례를 중심으로 본 이슬람 프로젝트 파이낸스의 최근 현황과 활용 가능성”, “말레이시아 이슬람 경제의 대두: 금융과 소비영역을 중심으로” 가 있다. 또한, 2011년에 출간된 저서 『이슬람 금융: 이론과 현실 및 활용방안』 (이충렬 · 이영수· 제상영)에 연구보조원으로 참여했으며, 2014년 발간된 저서인 『동남아의 이슬람화』에서는 말레이시아 이슬람 경제의 현황 및 발전과 관련된 챕터를 작성하였다.
펼치기
김병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초빙연구원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동 지역학과 이슬람 금융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말레이시아 수쿠크 유동성에 관한 연구”, “타카풀에서의 타바루우에 대한 연구”, “샤리아위원회의 구조 및 Bai' al-'inah와 Bai al-dayn이 말레이시아 이슬람 금융에 미친 영향” 등이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아랍과 이슬람』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지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연구관심 분야는 동남아 지역학, 인도네시아 정치 및 문화, 이슬람 경제, 동남아 한인기업 등이다. 대표논문으로는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의 문화 갈등에 관한 다층적 시각”, “세 가지 화두로 살펴본 2017년 자카르타 주지사 선거”, “이슬람경제의 태동과 그에 따른 한국인의 반응에 대한 다층적 분석”, “이슬람 주택금융의 이상과 현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사례” 등이 있고, 대표 저서로는 『바틱으로 보다: 자바, 인도네시아 이야기』,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소비문화』 (공저), 『한국기업의 VIP(베트남,인도네시아,필리핀)국가 투자진출』 (공저),『세계지역의 이슈』 (공저)등이 있다.
펼치기
이지혁의 다른 책 >
최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동남아학회 이사, 한국국제정치학회 편집위원, K-콘텐츠 아카데미포럼 이사 등을 맡고 있다. “한국 속 ‘동남아현상’ 연구: 근원과 경로”, “동남아 민주주의 심화와 헌정공학: 권력공유와 책임성을 중심으로”, “동남아의 이슬람화: 이상과 현실”, “‘문화에 민감한’ 시장진출 전략과 지속가능한 경제협력: 말레이-이슬람문화권의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사례연구”, “이슬람금융은 대안적 금융인가? 동남아 이슬람금융의 원리와 실천” 등 다양한 연구주제로 동남아 지역연구를 수행했다. 가장 최근에는 『봄의 혁명: ‘새로운 미얀마’를 향한 담대한 행보』(공저, 2024)를 출간하였다. 특히 2023년 한국과 인도네시아 수교수립 50주년을 맞이하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방안연구』(공저, 2022)와 “인도네시아 한류의 수용과 수행에 나타난 문화경제적 상호작용 연구”(2023) 등을 통하여 양국의 발전 관계를 조명하였다. 앞으로도 한국에서의 인도네시아학, 인도네시아에서의 한국학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펼치기
최경희의 다른 책 >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