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신범식, 윤진표, 김용균, 신재혁, 최경희, 김형종, 김찬완, 최윤정, 유달승, 장지향 (지은이)
진인진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23,750원 -5% 0원
카드할인 10%
2,375원
21,375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63475110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2-07-30

책 소개

지정학적 중간국 개념으로 세계질서의 양상을 새롭게 분석한 연구서. 서론과 동남아시아를 대상으로 한 1부, 남아시아 및 서아시아를 대상으로 한 2부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국가의 역사, 사회문화정치적 특수성 등을 바탕으로 중간국으로서의 성격과 유형을 밝힌다.

목차

머리말 7

제1장(서장)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의 비교연구(신범식) 11
I. 머리말 11
II.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의 개념과 이론 12
III. 책의 구성 33

제1부 동남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47

제2장 태국 중간국 외교의 변화와 요인(윤진표) 49
I. 머리말 49
II. 중간국 개념과 분석틀 50
III. 태국 중간국 외교의 역사적 배경 52
IV. 21세기 태국 중간국 외교의 변화 58
V. 맺음말 71

제3장 베트남의 중간국 외교(김용균) 77
Ⅰ. 서론 77
Ⅱ. 베트남의 중간국 외교: 성격과 진화과정 79
Ⅲ. 베트남 중간국 외교의 국내 정치적 기원 92
Ⅳ. 결론 105

제4장 싱가포르의 중간국 외교(신재혁) 111
I. 들어가며 111
II. 싱가포르 약사(略史): 지정학적 배경 113
III. 싱가포르 외교 전략의 특성 117
IV. 사례: 남중국해 문제 128
V. 나가며 130

제5장 지정학적 중간국 인도네시아 외교전략: 세 번의 지정학적 단층대 충돌과 선택(최경희) 135
I. 서론 135
II.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전략에 대한 이론적 기초 136
III. 인도네시아를 둘러싼 지정학적 단층대 충돌의 세 경험 141
IV. 지정학적 중간국 인도네시아의 전략적 선택 149
V. 결론 159

제6장 말레이시아 중간국 외교 전략과 중립성(김형종) 167
I. 서론 167
II. 중간국가 외교 결정요인 170
III. 중립성 원칙의 형성과 발전 174
IV. 국내정치와 중간국 외교전략 사례 181
V. 결론 191

제2부 남아시아 및 서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199

제7장 인도는 중견(간)국인가?: 신비동맹정책을 중심으로(김찬완) 201

I. 머리말 201
II. 국가 속성 접근법 203
III. 행태적 접근법 208
IV. 정체성과 아이디어 접근법 211
V. 맺음말 216

제8장 강대국 충돌과 중간국의 외교적 선택: 파키스탄 외교전략의 재구성과 함의(최윤정) 221
I. 머리말 221
II. 파키스탄의 지정학과 내부정치의 관계 224
III. 파키스탄을 둘러싼 세 가지 지정학적 단층대의 충돌과 중간국 외교 232
IV. 단층대 활성화 시기별 파키스탄 중간국 외교전략의 변화 241
V. 맺음말 245

제9장 지정학적 중간국 이란의 외교전략(유달승) 253
Ⅰ. 서론 253
Ⅱ. 이란 외교 정책의 결정 요인 256
Ⅲ. 이란 국내 정치 변동과 외교 정책 264
Ⅳ. 결론 279

제10장 에르도안 시대 터키의 팽창주의 외교: 국내 일인체제 강화와 역내 지정학 변동에 따른 중간국의 일탈(장지향) 285
I. 들어가며 285
II. 터키 외교정책의 일탈: 중견국 외교에서 신오스만 팽창주의로 286
III. 에르도안 대통령의 일인체제 강화와 선거 권위주의 심화 292
IV. 중동 지정학의 지각변동: 미국의 쇠락, 러시아의 부상, 유럽의 관망 301
V. 나가며 311

저자 약력 315

저자소개

유달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어린 시절 텔레비전에 비친 이슬람 혁명을 보면서 ‘이란’이라는 국가에 대해 호기심을 느꼈다. 세계 대부분의 국가와 다른 길을 걷는 이란인들의 삶과 이야기가 궁금해졌다. 또한 남들이 하지 않는 분야를 전공하면 자리 잡기도 쉬울 것 같고 할 일도 많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런 지적 호기심을 채우고 미개척 분야에 도전하고 싶어 이란학을 전공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이란어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에서 중동정치를 공부한 후 이란 테헤란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9년 이슬람 혁명 이후 이란에서 외국인이 박사학위를 받은 최초의 사례였다. 1999~2000년에는 미국 하버드 대학교 중동연구센터Center for Middle Eastern Studies에서 초빙학자Visiting Scholar로 활동했고 2019~2020년에는 이란 알라메 타바타바이 대학교 정치학과에서 교환 교수로 활동했다. 현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페르시아어·이란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시아파의 부활과 중동정치의 지각변동》, 《중동은 불타고 있다》, 《이슬람 혁명의 아버지 호메이니》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예루살렘 전기》(사이먼 시백 몬티피오리 지음), 《중동의 비극》(배리 루빈 지음), 《정치적으로 왜곡된 이슬람 엿보기(로버트 스펜서 지음), 《팔레스타인/이스라엘》(마르완 비샤라 지음) 등이 있다. 또한 ‘이란의 정치문화와 정치발전’을 주제로 영국에서 《The Role of Political Culture in Iranian Political Development》를 출간하고 이란에서 《Farhang-e Siyasi va Touse’e-ye Siyasi》를 출간했다.
펼치기
윤진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 정치학박사 2022. 『신남방정책 평가와 개선방향』 (공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21. 『한-아세안 청년 상호인식조사』 (편저, 한아세안센터) 2020. 『현대 동남아의 이해』 (서울: 명인문화사) 2020. 『2020 동아시아 전략평가』 (공저, 동아시아안보전략연구회)
펼치기
김찬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교수 인도 델리대학교 정치학 박사 2021. “인도는 중견(간)국인가?: 신비동맹을 중심으로.” 『남아시아연구』 2020. 『Great Transition in India: Critical Exploration』 (Singapore: World Scientific) 2019. “인도 정치의 대전환: 2019년 총선을 중심으로.” 『남아시아연구』
펼치기
신범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러시아 국립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주요 논저로, 『국제 안보환경의 도전과 한반도』,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러시아의 사이버안보』(2021),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 전략과 초국경이동』, 『21세기 유라시아 도전과 국제관계』, “Russia’s Perspectives on International Politics, A Comparison of Liberalist, Realist and Geopolitical Paradigms” 등이 있다.
펼치기
신범식의 다른 책 >
장지향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문학사와 정치학 석사 학위를, 미국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아산서원 교수를 지냈고 현재 아산정책연구원의 중동센터장으로 재직하면서 중동 사회의 변화를 감지하고 우리나라와의 정치·경제·사회적 영향과 관계성을 살피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밖에 산업부, 법무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자문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2018년부터 <매일경제신문>에 중동 관련 칼럼을 기고하면서 중동 이슈를 전하고 대중의 이해를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오랜 시간 중동을 연구하고 분석하고 있지만 빠르게 변하는 세계 속에서 늘 새롭고 들여다볼 주제가 넘쳐난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동 정치경제’, ‘정치 이슬람’, ‘비교 민주주의와 독재’, ‘극단주의 테러와 안보’, ‘국제개발협력’ 등이다. 대표 저서로 《중동 독재 정권의 말로와 북한의 미래》, 클레멘트 헨리(Clement Henry)와 공편한 《아랍의 봄: 민주화로 이어질 것인가?(The Arab Spring: Will It Lead to Democratic Transitions?)》 등이 있다.
펼치기
신재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UCLA 정치학 박사 2022. “발전국가와 약탈국가의 기원: 한국과 필리핀 비교 사례 연구.” (이동일 공저) 『한국정치학회보』 2021. “인도네시아 2020: 전염병이 위협하는 민주주의와 경제.” (박희경 공저) 『동남아시아연구』 2020. “선거 경쟁과 복지 지출, 소득 불평등: 한국 광역지방자치단체 비교 연구.” (김태완, 박희경 공저) 『21세기정치학회보』 2019. “싱가포르는 왜 민주화되지 않는가? 비교연구 방법을 활용한 지역연구.” 『동남아시아연구』
펼치기
김형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부교수 말라야대학교(University of Malaya) 동남아학과 정치학 박사 2022. “아세안 사회문화공동체와 인간안보.” 『동아연구』 2022. “미얀마 사태와 아세안 규범의 지속과 변화.” 『동남아시아연구』 2020. “코로나19 감염병 사태와 신남방정책: 아세안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연구』
펼치기
김용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부교수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UNC-Chapel Hill) 정치학 박사 2021. “외국기업의 정치적 위험관리 전략으로서 현지 CSR의 효과 분석: 베트남 도시개발 진출 한국기업의 비시장 전략 비교.” 『동남아시아연구』 2021. “베트남의 세계화 전략과 경제개혁의 정치.” 『세계화 3.0과 국내정치』 (서울: 명인문화사) 2020. “주권과 체제안보: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대중 외교정책 비교연구.” 『주권과 비교지역질서』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펼치기
최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동남아학회 이사, 한국국제정치학회 편집위원, K-콘텐츠 아카데미포럼 이사 등을 맡고 있다. “한국 속 ‘동남아현상’ 연구: 근원과 경로”, “동남아 민주주의 심화와 헌정공학: 권력공유와 책임성을 중심으로”, “동남아의 이슬람화: 이상과 현실”, “‘문화에 민감한’ 시장진출 전략과 지속가능한 경제협력: 말레이-이슬람문화권의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사례연구”, “이슬람금융은 대안적 금융인가? 동남아 이슬람금융의 원리와 실천” 등 다양한 연구주제로 동남아 지역연구를 수행했다. 가장 최근에는 『봄의 혁명: ‘새로운 미얀마’를 향한 담대한 행보』(공저, 2024)를 출간하였다. 특히 2023년 한국과 인도네시아 수교수립 50주년을 맞이하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방안연구』(공저, 2022)와 “인도네시아 한류의 수용과 수행에 나타난 문화경제적 상호작용 연구”(2023) 등을 통하여 양국의 발전 관계를 조명하였다. 앞으로도 한국에서의 인도네시아학, 인도네시아에서의 한국학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펼치기
최경희의 다른 책 >
최윤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인도태평양연구센터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학 박사 2022. ““인도태평양 전략들” 비교와 함의: 미국·유럽·일본·인도·아세안을 중심으로.” 『세종정책브리프』 2021. 『신남방정책·신북방정책 근미래 전략과 주요사업 추진방안』 (공저, 서울: 통일연구원) 2021. “포스트 코로나 인도 경제와 외교·통상 전략의 변화.” 『세종정책연구』 2021. “일대일로, 인도의 선택은?” 『메가아시아 교양총서4: 아시아 지역간 교류와 연계』 2021. “Do Fluctuations in Crude Oil Prices Have Symmetric or Asymmetric Effects on the Real Exchange Rate? Empirical Evidence from Indonesia.” 『The World Economy』
펼치기

책속에서

지정학적 중간국(中間國)이란, 경쟁하는 강대국 내지 지정학적 세력이 맞부딪히는 지대, 즉 “지정학적 단층대” 상에 존재하는 국가들을 말하며, “끼인 국가” 혹은 “사이 국가” 등으로도 불린다. 중간국은 지역정치의 지정학적 구조에서 지정학적 단층대 상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에 의해 조건 지워지며, 세력권을 두고 각축하는 두 세력 간의 경쟁이 고조되는 지정학적 단층대의 활성화에 의하여 그 모순적인 외교전략적 특성의 압력에 노출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지정학적 단층대의 압력은 각 지역 국제정치의 구조에 따라 상이한 양태로 발현되며, 이에 대한 지역 국가들의 대응도 지역 국제정치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서의 필진은 다양한 지역들의 지역 국제정치의 구조 및 지역 국가들 국내정치에 정통한 지역 전문가들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작업의 결과들을 지역별 구성하여 출간하게 되었는데, 그 첫 번째 결과물이 본서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이며, 이 책에서는 동남아시아와 서아시아 및 남아시아 지역의 지정학적 중간국들의 외교를 분석한 글들을 모았다. 그리고 다른 결과물들은 두 번째 책인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에서 중부와 서부 유라시아 지역의 지정학적 중간국들의 외교를 분석하였다. 이 두 권의 책들이 애초 기획하였던 비교외교연구를 위한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였다고 자평하기는 어렵겠지만, 적어도 이 결과물들이 공동의 문제의식 하에서 비교외교론적 연구의 진작을 위한 초석을 놓았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머리말〉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