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류학자들, 동남아를 말하다

인류학자들, 동남아를 말하다

(호혜성, 공공성, 공동체의 인류학)

오명석, 홍석준, 채수홍, 강윤희, 이상국, 서보경, 정법모, 김형준 (지은이)
  |  
눌민
2020-12-31
  |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류학자들, 동남아를 말하다

책 정보

· 제목 : 인류학자들, 동남아를 말하다 (호혜성, 공공성, 공동체의 인류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고고학/인류학
· ISBN : 9791187750406
· 쪽수 : 428쪽

책 소개

종족성, 마르셀 모스의 교환 이론, 언어를 통해 보는 사람됨 등과 같은 인류학적 개념을 탐구하면서도, 지역과 국가, 자본과 노동, 경계와 국경, 국제 협력과 공동 대응, 이민과 난민, 공공 의료와 같은 현재의 문제에 대해서도 깊이 파고들고 있다.

목차

머리말 5

1장 문화인류학자의 동남아 사회문화 이야기: 동남아 문화 두텁게 쓰고 깊이 읽기 _홍석준
1. 왜 동남아인가? 23
2. 동남아의 특성: 다양성과 동질성 26
3. 역사 속의 동남아, 동남아 속의 역사: 외부와의 상호작용 30
4. 동남아의 문화적 동질성 42
5. 다양성과 동질성의 상호작용: 말레이시아의 종족 관계 48
6. 종족 간 조화와 갈등 52
7. 누가 말레이인인가?: 종족성 연구와 문화적 경계 58
8. 말레이인다움은 무엇인가?: 종족성 연구와 헤게모니 67
9. 맺음말에 대신하여 76

2장 동남아의 증여와 호혜성 _오명석
1. 들어가며 87
2. 호혜적 의무의 네트워크: “우땅 나 로옵” 91
3. 상호부조와 공동체적 협동: “고똥 로용” 99
4. 의례적 선물교환: 호혜성과 명예경쟁 109
5. 증여와 종교적 구원: 불교와 이슬람에서의 공덕 쌓기 119
6. 결론 135

3장 베트남의 산업화와 노동자의 저항 _채수홍
1. 동남아시아인의 삶과 문화의 현재적 위치 찾기 147
2. 사회주의 베트남의 자본주의적 산업화에 대한 상념 151
3. 사회주의 베트남의 자본주의적 산업화의 원인, 과정, 그리고 현재적 좌표 158
4. 사회주의 베트남의 자본주의적 산업화와 노동시장의 변화 과정 168
5. 베트남의 자본주의적 산업화에 대한 노동계급의 인식과 대응 177
6. 자본주의적 산업화와 문화, 이데올로기, 그리고 헤게모니 188

4장 인도네시아의 언어 이야기: 말레이어와 자바어를 중심으로 _강윤희
1. “수다 만디?”: 언어의 친교적 기능 199
2. “모기 잡아, 모기 잡아”: 생태환경과 언어 203
3. 나는 너를 어떻게 부를까?: 호칭어/지칭어와 사회관계 208
4. 바차baca? 빠차pacar?: 언어의 힘에 대한 문화적 관념 218
5. “국어를 사용하고, 지방어를 사랑하라”: 인도네시아의 언어 정책과 언어 변화 226
6. 나가며: 인도네시아의 변화하는 언어 지형과 문화 239

5장 “변경에서 꽃이 피다”: 틈새에서 바라보는 동남아 _이상국
1. 변경 인식과 재인식 249
2. 변방과 역사 254
3. 변방과 정치: 국가 속의 국가 269
4. 초국적 네트워크와 국경사회체제 277
5. 딛고, 잇고, 넘다: 지역 통합과 연계성 286
6. 어떤 꽃을 피울 것인가 292

6장 공공의 건강을 다시 생각하기: 동남아시아와 지역 보건의 새로운 가능성들 _서보경
1. 의료보험이 한국의 자랑이라면 301
2. 태국의 보편적 의료보장 보험 303
3. 만성질환과 의료 공공성 311
4. 공공의 건강 317
5. 신종감염병의 전 세계적인 확산이라는 새로운 위기 앞에서 322
6. 결어: 함께 살기의 방식으로 의료와 건강을 생각하기 326

7장 풋내기 인류학자의 국제개발협력 알아가기: 필리핀 빈곤 지역에서의 ODA를 사례로 _정법모
1. 들어가며 333
2. 동남아의 개발과 ODA 사업 333
3. ODA 사업과 지역사회에 대한 영향, 그리고 인류학자 346
4. 편들기와 실천 인류학 354
5. 나오며 360

8장 인도네시아의 이슬람 이야기: 이슬람화와 사회종교적 영향력의 확대 _김형준
1. 종교의 중요성 365
2. 이슬람 이전의 종교: 힌두불교 370
3. 이슬람의 도입과 특성 378
4. 네덜란드 식민지배와 이슬람 384
5. 이슬람화 운동: 1970년대 이후의 변화 388
6. 지역 수준에서의 이슬람화 393
7. 1990년대 이후의 이슬람: 내적 분화의 심화 399
8. 이슬람의 사회종교적 영향력 407

사진 출처 417
찾아보기 420
이 책을 쓴 사람들 423

저자소개

오명석 (감수)    정보 더보기
현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명예교수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경제인류학과 동남아 이슬람이며, 특히 말레이시아 연구에 주력해왔다. 주요 논문으로는 “동남아 이슬람의 쟁점: 이슬람과 현대성”, “이슬람적 소비의 현대적 변용과 말레이시아의 할랄인증제”, “동남아 이슬람과 글로벌 이슬람 네트워크”, “동남아의 증여와 호혜성” 등이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소비문화』 (공저), 『인류학자들, 동남아를 말하다』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홍석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목포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문화인류학과 교수 겸 도서문화연구원 원장이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학사와 동 대학원 인류학과 석사를 거쳐 동대학원 박사과정에서 말레이시아 농촌의 이슬람화와 문화변동이라는 연구로 인류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말레이시아의 이슬람과 이슬람화, 말레이시아의 사회와 문화, 다문화사회로서의 말레이시아의 역사와 문화, 동남아시아의 노인과 노년문제, 도서해양부 동남아시아 해양세계와 이슬람, 동아시아 해양 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 동아시아 항구도시의 역사와 문화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현재 말레이시아 항구도시의 사회적 구성과 문화 정체성, 말레이시아 전통의 재생과 이슬람화, 말레이시아 한인사회의 역사와 문화, 말레이시아 이슬람과 모더니티, 한-아세안 사회문화 교류와 협력 활성화, 도서해양부 동남아시아 해양세계의 사회적 구성과 문화 혼종성, 섬의 인문학: 인문지형의 변동과 지속가능성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김형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한 후 호주국립대학교에서 인도네시아 농촌 사회 변동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도네시아 이슬람의 변화, 이슬람 단체 무함마디야의 민주적 전통 등에 대해 연구해왔다. 현재 동남아시아 이슬람과 모더니티 문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채수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뉴욕시립대학원(CUNY)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94년부터 베트남의 도시, 산업, 노동의 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Wounded Cities, Labor in Vietnam, 『맨발의 학자들』 등의 공저를 출간하였고, 주요 논문으로는 “The Political Processes of the Distinctive Multinational Factory Regime and Recent Strikes in Vietnam”, “호치민시 개혁과정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연구”, “한인 공장매니저의 초국적인 삶” 등이 있다.
펼치기
강윤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언어인류학이며,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와 한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주요 논문으로 “A Pathway to ‘Constant Becoming’: Time, Temporalities and the Construction of Self among South Korean Educational Migrants in Singapore”(2018), ““커피 배우기”: 언어, 향미, 그리고 감식안의 습득 과정”(2015), “Singlish or Globish: Shifting Language Ideologies and Global Identities among Korean Educational Migrants in Singapore”(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이상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국제지역원(현 국제대학원)에서 동남아지역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싱가포르국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분야는 난민, 이주, 국경 등이다. 저서로 『현대문화인류학개론』(공저), 『맨발의 학자들』(공저), Managing Transnational Flows(공저) 등이 있고, 번역서로 『지도에서 태어난 태국: 국가의 지리체 역사』, 『조미아, 지배받지 않는 사람들: 동남아 산악지대 아나키즘의 역사』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또 다른 경로의 통합: 호주의 재정착난민제도와 카렌족 난민들의 통합에 대한 연구”, “The State, Ethnic Community, and Refugee Resettlement in Japan”, “From Political Activists to Social Entrepreneurs: Burmese Refugees in South Korea”, “상상의 공동체에서 네트워크 공동체로: 카렌족 사례를 통한 베네딕트 앤더슨의 민족 주의론 비판적 검토”, “비슷하되 같지 않은 길: 재한 미얀마 카렌족 공동체의 형성과 발전”, “대메콩지역 연계성의 이상과 현실: 도로 교통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서보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몸의 경험을 중심으로 삶과 정치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하는 인류학자이다. 보건의료, 빈곤, 이주노동,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관심을 두고, 태국과 한국에서 현장 연구를 해왔다. 주요 논문으로는 “Patient Waiting: Care as a Gift and Debt in the Thai Healthcare System”, “Populist Becoming: The Red Shirt Movement and Political Aff liction in Thailand”가 있으며, 돌봄의 윤리와 정치적 함의를 분배 정치의 맥락에서 다룬 Eliciting Care: Health and Power in Northern Thailand를 쓴 바 있다. 2020년 현재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정법모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필리핀국립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필리핀의 도시 빈곤과 국제개발협력이 주요 연구 분야이며, 최근에는 개발 사업이 소외 계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주요 연구 논문으로는 “개발에 대한 저항과 투만독Tumandok 토착민 공동체 형성”, “Developmentinduced Dislocation and the Social Capital of the Poor”, “초법적 살해extrajudicial killing, 위험관리의 아웃소싱?”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동남아 관련 여행기와 전문화된 연구물 사이의 간극을 메울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이 책을 기획하게 된 주요 동인이었다. 동남아를 연구하는 문화인류학자로 구성된 필자들은 자신들의 연구 경험이 학계를 넘어서 더 넓은 범위의 독자에게 전달될 수 있기를 희망했다. 동남아 방문객의 폭발적 확대 양상이 동남아 사회와 사람에 관한 관심으로 확장될 때 우리와 동남아 사이의 진정한 교류가 진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환이 시급히 요구된다는 점에 필자들은 공감했다.


정치학자에 이어 동남아 연구를 견인한 집단은 문화인류학자였다. 동남아 국가 대다수에서 장기간의 현지조사를 경험한 연구자가 출현했고, 경제, 종족, 종교와 같은 전통적인 연구 분야뿐만 아니라 관광, 보건, 개발과 같은 새로운 분야로 연구 관심이 확대되었다. 문화인류학자의 적극적이고 활발한 참여로 인해 문화인류학이 “정치학과 함께 동남아 지역연구의 양대 축”을 형성할 수 있었고, 향후 동남아 연구의 도약이 문화인류학자에 의해 주도되리라는 전망을 제시할 수 있었다.


현재의 동남아의 모습은 동남아시아 고유의 특성과 외부로부터의 영향이 상호작용을 한 결과이다. 외부와의 상호작용의 기록은 기원전·후에 걸쳐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진다. 동남아와 인도, 중국, 아랍, 서구와의 상호작용은 특정 시기에 시작되어 특정 시기에 끝이 나는 성격이 아니었다. 상호작용이 처음 시작된 후 현재까지 지속되는 양상을 보여서, 인도의 영향을 받았던 동남아에 중국의 영향이, 인도, 중국의 영향을 받았던 동남아에 아랍의 영향이 새로 추가되어 기존의 것과 공존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