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문화인류학

현대문화인류학

(인간과 문화에 대한 열일곱 가지 주제들)

권숙인, 함한희, 김성례, 오명석, 이용숙, 강정원, 백영경, 김현미, 이응철, 박지환, 박준규, 이태주, 강윤희, 이재협, 진주현, 이상국, 안준희, 이현정, 정향진 (지은이)
형설출판사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0% 0원
810원
26,190원 >
27,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700원
24,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대문화인류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문화인류학 (인간과 문화에 대한 열일곱 가지 주제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47282635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8-06-08

책 소개

종합 입문서로서 인류학이라는 분과학문을 이해하는데 꼭 알아야 하는 기본적인 정보와 핵심 지식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각론적인 하위 분야를 다루는 장에서는 그 연구 분야의 역사, 핵심적인 개념과 이론, 주요 연구 주제와 질문, 대표적인 연구사례 등을 포괄하고자 하였다.

목차

책을 펴내며 ................................... 006

제1부 인류학이란
01 인류학, 인간과 문화에 대한 탐구 / 권숙인 .......018
02 진화와 인간사회 / 진주현 ........................043
03 인류학과 지역연구 / 이상국.......................65

제2부 사회조직과 실천
04 가족과 친족 / 함한희..............................092
05 교환, 소유, 소비 / 오명석.........................117
06 정치권력에 대한 비교문화적 상상 / 박지환 ..... ....145
07 법과 분쟁 / 이재협.................................168

제3부 문화의 다양성
08 언어, 문화, 사회적 상호작용 / 강윤희...............192
09 인간의 심리와 문화적 환경 / 안준희, 정향진 ........212
10 젠더와 문화 / 김현미...............................236
11 신앙과 종교 / 김성례...............................259
12 민속문화연구 / 강정원..............................283

제4부 변화하는 세계와 인류학의 응용
13 문화와 교육 / 이용숙...............................308
14 몸과 아픔에 대한 비판적 탐구와 실천 / 이현정......332
15 미디어와 대중문화, 보고 듣고 표현하는 세상 / 이응철.358
16. 새로운 상상의 시대로서 전지구화 / 박준규..........378
17 발전 문제와 국제개발원조 / 이태주..................402

참고문헌..............................................422
인명 찾아보기.........................................456
용어 찾아보기 ........................................463

저자소개

권숙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숙명여대 일본학과를 거쳐 현재 서울대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변부 집단의 정체성, 이주와 이산, 여성과 이주,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재일 한인, 지역재생과 새로운 공동체 만들기 등의 주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재일한인의 인류학』(2021, 공저), 『일과 생활세계: 1세들의 공간·노동·젠더』(2020, 공저) 등이, 논문으로는 “韓?人類?の日本?究: 1980年代から現在まで”(2022), “일본에 돈 벌러 간 이야기: 1910~20년대 일본 방직산업의 조선여공”(2019) 등이 있다.
펼치기
함한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교수.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인류학과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역사인류학에 관심을 두고, 한국 농어촌사회의 변화를 기록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중점적으로 해오고 있다. 저서로 『미완의 기록, 새만금사업과 어민들』(편저), 『인류학과 지방의 역사』(공저), 『부엌의 문화사』, 『20세기 어머니 이석희의 삶과 근대이야기』(공저) 등이, 논문으로 「구술사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한국전쟁과 여성: 경계에 선 여성들」, 「한국문화연구의 성과와 쟁점」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성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의류학 학사학위와 인류학 석사학위를 마치고 미국으로 건너가 미주리 주에 있는 워싱턴 대학교에서 인류학 석사학위, 미시간 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강원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한국학연구소 포스트닥, 미국 하버드 대학교 하버드-옌칭연구소 방문교수, 국제 저명 학술지 Journal of Korean Religions(서강대 종교연구소 발행)의 창간 편집장을 역임했다. 현재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교수이다. 종교인류학, 의례 연구, 한국 무교와 샤머니즘, 여성주의 구술사, 종교와 글로벌리제이션, 냉전과 기억정치가 주요 연구 분야이다. 주요 저서 <한국 종교문화 연구 100년>(공저), 청년사, 1999; <제주 4ㆍ3 연구>(공저), 역사비평사, 1999; <종교와 식민지 근대>(공저), 책과함께, 2013; <현대문화인류학>(공저), 형설, 2018. 주요 번역서 마샬 살린즈, <문화와 실용논리>, 나남, 1991; 줄리아 크레인, <문화인류학 현지조사 방법>(공역), 일조각, 1996; 피어스 비텝스키, <샤먼>(공역), 창해, 2005; 로렐 켄달, <무당, 여성, 신령들>(공역), 일조각, 2016. 주요 논문 "Chronicle of Violence, Ritual of Mourning: Cheju Shamanism in Korea"(1989); "Lamentations of the Dead: The Historical Imagery of Violence on Cheju Island, South Korea"(1989); "Shamanic Epics and Narrative Construction of Identity on Cheju Island"(2004); "The Work of Memory: Ritual Laments of the Dead and Korea's Cheju Massacre," A Companion to the Anthropology of Religion(2013).
펼치기
오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를 마치고, 호주 모내시대학교에서 말레이시아 농촌경제 연구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명예교수이다. 전공 분야는 경제인류학이며 이슬람금융과 동남아시아 지역연구가 주요 관심 영역이다. 주요 연구로는 “선물의 혼과 신화적 상상력”, “동남아의 증여와 호혜성”, “이슬람보험의 계약적 형태와 샤리아 아비트리지: 이슬람적 증여와 공유 개념을 중심으로”, “와크프의 법 제도와 운영 방식: 자선, 공익, 시장의 조합으로서 이슬람 재단”, “이슬람금융의 쟁점들: 경합하는 이슬람적 대안성의 의미”, “지식의 통섭과 인류학”, 《이자 없는 금융은 가능한가?》(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용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학과 및 인류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로, 마케팅과 문화인류학의 접목을 시도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또한 한국에스노그라피연구소 소장으로서 마케팅 에스노그라피 세미나와 워크숍, 연구회 등을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 『교육인류학: 연구방법과 사례』, 『Academic Success of East Asian Americans』, 『수업방법』(공저),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 하는 실행연구방법』(공저), 『인류학 민족지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강정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인류학 중에서 민속학(민속인류학, 인류민속학, 민속문화학)을 담당한다. 한국민속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문화인류학회 회장(2025-2026)에 재임 중이다. 1963년 경북 예천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획득하였고 독일 뮌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민속학과 민족학, 사회문화인류학을 발전시키고 민속문화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론 및 방법론 정립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민속인’과 ‘민속세계’ 개념을 정립한 바 있다. 한국을 비롯한 세계 전반에서 자유 · 평등 · 연대 · 해방을 이룸에 민속문화 연구가 기여할 가능성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샤머니즘을 포함한 종교 민속문화와 일생의례 및 공동체 · 경제 민속문화, 한국과 북한을 비롯한 동 · 북 · 중앙아시아, 러시아 · 독일 민속문화에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이응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덕성여대 문화인류학전공 교수. 중국, 대만, 한국 청년들의 생활세계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글로벌 문화자본의 기대와 차별의 경험 사이에서: 호주 중국인 유학생들의 일상과 생활〉, 〈우리는 항상 무엇인가의 팬이다: 팬덤의 확산, 덕질의 일상화, 취향의 은폐〉가 있다.
펼치기
박지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현대 일본사회의 사회경제적 불평등 문제를 연구하는 인류학자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인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일본의 중등교육제도, 도시 사회운동, 청년세대의 지방이주・정착 등을 연구했다. 지은 책으로 『일본 도시 하층 지역에서의 공공적 실천』, 옮긴 책으로 『문화인류학으로 보는 동아시아』, 논문으로 「일본 지방청년의 진로 선택 시 성별에 따른 지역 간 이동의 차이」 등이 있다.
펼치기
박준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양 대학교 ERICA 문화인류학과 교수(2012~). 한양 대학교 ‘글로벌 다문화 연구원’ 원장도 겸하고 있다. 세계화, 관광, 디지털 기술을 주제로 인류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현대 사회 문제를 인류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참여인류학을 실천하고자 한다. 또한 이주, 다문화, 세계화 관련 지역 사회 기반 연구를 진행 중이다. 공저서로 Cultural Landscapes of Korea(2010), 『현대의 서양 문화』(2011), De-bordering Korea(2013), 『현대 문화인류학』(2018), Diasporic Returns to the Ethnic Homeland(2019)가 있고, 『자본주의의 병적 징후들』(2018), 『글로벌 시대의 문화인류학 4판』(2019) 등을 함께 옮겼다.
펼치기
이태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성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문화인류학), (사)글로벌발전연구원 원장, ODA Watch 대표, 한국국제개발협력학회 (KAIDEC) 이사, 외교통상부 정책자문위원, (前)국무총리실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실무위원, 한국해외원조단체협의회 정책위원, 서울대학교 인류학 박사. 주요저서: <문명과 야만을 넘어서 문화읽기>(웅진), <다문화 사회의 이해>(APCEIU, 공저),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공저, 한울아카데미), <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세계사 교과서 바로잡기>(공저, 삼인). <우리나라 무상원조사업의 중장기 정책 및 전략>(공저, KOICA), <공적개발원조(ODA) 개선방안, 종족과 민족-그 단일과 보편의 신화를 넘어서>(공편저, 아카넷), <세계의 풍속과 문화>(공저, 한국방송통신대 출판부) 외 다수.
펼치기
강윤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언어인류학이며,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와 한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주요 논문으로 “A Pathway to ‘Constant Becoming’: Time, Temporalities and the Construction of Self among South Korean Educational Migrants in Singapore”(2018), ““커피 배우기”: 언어, 향미, 그리고 감식안의 습득 과정”(2015), “Singlish or Globish: Shifting Language Ideologies and Global Identities among Korean Educational Migrants in Singapore”(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이재협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졸업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 미국학과 졸업(미국학 박사)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 로스쿨 졸업(법학 JD)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 통상전문관 역임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경희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역임 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현 서울대학교 환경에너지법정책센터장
펼치기
진주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국방성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기관
펼치기
이상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국제지역원(현 국제대학원)에서 동남아지역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싱가포르국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분야는 난민, 이주, 국경 등이다. 저서로 『현대문화인류학개론』(공저), 『맨발의 학자들』(공저), Managing Transnational Flows(공저) 등이 있고, 번역서로 『지도에서 태어난 태국: 국가의 지리체 역사』, 『조미아, 지배받지 않는 사람들: 동남아 산악지대 아나키즘의 역사』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또 다른 경로의 통합: 호주의 재정착난민제도와 카렌족 난민들의 통합에 대한 연구”, “The State, Ethnic Community, and Refugee Resettlement in Japan”, “From Political Activists to Social Entrepreneurs: Burmese Refugees in South Korea”, “상상의 공동체에서 네트워크 공동체로: 카렌족 사례를 통한 베네딕트 앤더슨의 민족 주의론 비판적 검토”, “비슷하되 같지 않은 길: 재한 미얀마 카렌족 공동체의 형성과 발전”, “대메콩지역 연계성의 이상과 현실: 도로 교통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안준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학부, 석사를 마치고, 미국 미시간대학 인류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회화 관습의 문화적 다양성과 아동 또래 문화를 연구 주제로 하여 미국 중산층과 한국 중산층에 관한 다양한 비교문화적 연구를 수행해왔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그다지 개인주의적이지 않은 미국인들: 미국 중산층의 친사회적 아동 기르기” “‘함께하기’와 ‘자아’사이에서: 한국 중산층의 사회화에 나타난 혼란과 모순” “공감할 줄 아는 아이 기르기: 한국과 미국의 공감사회화에 관한 비교문화적 연구” “ou’e my friend today, but not tomorrow: Learning to be friends among young U.S. middle-class children” “on’ cry, you’e not a baby!: Emotion, role, and hierarchy in Korean language socialization practice” “rom my expression to our expressions: Multidirectionality of learning in the globalized Korea”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현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펼치기
정향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1년에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인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심리인류학을 세부전공으로 하여 문화심리, 자아와 감정, 사람됨, 교육, 정신역동, 가족주의, 후기근대성 등의 주제영역에서 연구하고 있다. 미국과 한국에서 현지조사를, 북한에 관해 원거리 연구를 수행해 왔다. 저서로 Learning to Be an Individual: Emotion and Person in an American Junior High School(Peter Lang, 2007)이 있고, 가족주의 관련 연구로는 「북한 가족주의 체제의 모성적 토대: 보건의료부문을 중심으로」(『통일과 평화』, 2014), 「담임학급제도에서 나타나는 가족비유와 가족주의: 지속과 변화」(『비교문화연구』, 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