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찰의 비밀

사찰의 비밀

(일주문에서 대웅전 뒤편 산신각까지 구석구석 숨겨진)

자현 (지은이)
담앤북스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7개 11,6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찰의 비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찰의 비밀 (일주문에서 대웅전 뒤편 산신각까지 구석구석 숨겨진)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예술/사찰
· ISBN : 9791162011645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9-06-26

책 소개

인도에서 출발한 불교를 씨줄로, 이 땅에서 자생적으로 생겨난 신선사상이나 민속신앙 등을 날줄로 역사와 문화를 넘나들며 말없이 자리를 지켜온 사찰의 이것저것에 대해 종횡무진 설명한다.

목차

1장
산문이 열리고 이름이 생기다


01.절은 왜 산으로 갔을까
절을 대표하는 이름 산사山寺이야기

02.사찰은 기도와 수행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었다
비보사찰, 역참사찰, 능침사찰 등 다양했던 사찰의 기능

03.사찰에 이름을 붙일 때도 원칙이 있다
사, 원, 암자, 토굴, 난야 등 규모와 구조에 따라서 달라지는 사찰의 이름


2장
일주문에서 대웅전까지

04.여기서부터는 사찰이니 모두 말에서 내리시오
사찰 입구의 하마비와 당간

05.인도의 화장 문화는 어떻게 불교에 유입되었나
부도와 화장

06.담 없는 문에는 무슨 의미가 숨겨져 있을까
사찰의 삼문三門구조와 의미

07.탑의 층수는 왜 모두 홀수일까
탑 건축의 원칙

08.탑의 모양을 보면 건립 시기를 알 수 있다?
통일신라, 고려, 조선의 탑을 구별하는 방법

09.석등에는 조명의 기능이 없었다
사찰 마당을 장엄하는 석등 이야기


3장
전각의 배치와 장엄

10.가람배치에도 원칙이 있다
직선으로 배치된 전각

11.절에는 왜 전각도 많고 부처님도 많을까
중심 전각과 부속 전각

12.절에는 숨어 있는 전각이 있다
산신각, 독성각, 칠성각

13.절은 궁궐보다 귀하고 부처님은 왕보다 높다
전각의 기와와 단청

14.법당에는 용이 산다
법당 안팎의 용 장식

15.법당은 꽃으로 장엄된 궁전이다
사찰의 연꽃과 모란

16.전각의 기둥에도 위계가 있다
절의 기둥과 주춧돌

17.시대의 미감, 건물의 지붕에서도 읽을 수 있다
지붕의 모양과 공포로 살펴본 전각

18.구불구불 한자에는 무슨 뜻이 담겼을까
법당 기둥에 걸린 주련의 의미


4장
안에서 본 법당

19.법당의 부처님은 왜 한 분이 아니고 여러 분일까
일불과 삼불, 칠불과 만불

20.왼쪽이 높을까 오른쪽이 높을까
좌우보처를 구별하는 방법

21.부처님은 손으로 사인(sign)을 보낸다?
불상의 수인을 구별하는 방법

22.불교의 우주론이 한자리에 모였다
수미단과 닫집

23.부처님 앞에는 왜 쌀이나 초를 올릴까
불단에 올리는 육법공양의 의미

24.보살을 구별할 수 없을 땐 장신구를 살펴라
보살과 지물

25.보살은 사자와 코끼리를 타고 이동한다?
보살과 동물

26.염라대왕은 왜 절에 계실까
인도의 신 야마와 염라대왕

27.불보살도 시대에 따라 ‘유행’이 있었다
시대에 따른 신앙의 변천과 불상 조성

28.부처님도 자기만의 ‘구역’이 있다
불상의 위치

29.소승불교의 이상 인격, 대승불교에서 추락하다
나한과 나한신앙


5장
수행과 의식의 상징물

30.사찰은 동물농장이다
사찰에 있는 용, 사자, 거북, 학의 의미

31.불교에서 사용하는 숫자의 비밀
불교를 대표하는 숫자 3, 4, 7 그리고 108

32.사찰에도 기호가 있다
원이삼점, 일원상, 만卍자

33.사찰에서 북도 치고 꽹과리도 쳤다고?
사찰의 대표적인 의식구와 수행구

저자소개

일우 자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무봉 성우 대율사께 율맥 전수(2020), 여천 무비 대강백께 강맥 전수(2022), 중봉 성파 종정예하께 선맥 전수(2023). 동국대 불교학과와 성균관대 동양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후, 성균관대 동양철학과(율장)와 고려대 철학과(선불교), 동국대 미술사학과(건축)・역사교육학과(한국 고대사)・국어교육학과(불교 교육)・미술학과(고려불화)・부디스트비즈니스학과(강릉단오제)에서 각각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동국대 강의전담교수와 능인대학원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중앙승가대 불교학부 교수와 승가학부 학부장 및 동국대 특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 월정사 교무국장과 수행원장, 사단법인 인문학과명상연구소 이사장, 사단법인 한국불교학회 이사장 겸 회장,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부회장, 동국대 교책 연구 기관인 선·교·율 실천연구소 소장 등을 맡고 있다. 불교와 인문학을 아우르는 190여 편의 논문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수록했으며, 『인생이 흔들릴 때 열반경 공부』, 『태양에는 밤이 깃들지 않는다』, 『성공을 쟁취하는 파워 실전 명상』, 『최강의 공부 명상법』 등 70여 권의 저서를 펴냈다. 저서 가운데 『불교미술사상사론』(2012)과 『신이 된 선승, 범일국사』(2024)는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사찰의 상징세계(상・하)』는 2012년 문광부 우수교양도서, 『붓다순례』(2014)와 『스님의 비밀』(2016), 『불화의 비밀』(2017), 『스님, 기도는 어떻게 하는 건가요』(2019)는 세종도서, 그리고 『백곡 처능, 조선불교 철폐에 맞서다』는 2019년 불교출판문화상 붓다북학술상에 선정되었다. 이외에 제7회 영축문화대상(학술 부문)과 제1회 한암상 및 제19회 대원상 특별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불보살을 모신 건물에는 둥근기둥을 사용하고 스님들의 거주처인 요사채와 공양간 등은 네모기둥을 많이 사용한다. 동아시아 건축에서는 네모난 것보다는 둥근 것이 훨씬 높은 가치를 갖는다고 보았다. 이렇게 사찰 건축에는 건물 하나하나에도 위계를 설정해 놓았다.

「전각의 기둥에도 위계가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