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매듭을 푼 소리

매듭을 푼 소리

박종해, 신춘희, 강세화, 문영, 임윤, 장상관, 황지형, 이강하, 박정옥, 강현숙, 김려원 (지은이)
시산맥사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000원 -10% 2,500원
500원
11,000원 >
9,500원 -5% 2,500원
카드할인 10%
950원
11,0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매듭을 푼 소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매듭을 푼 소리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62432594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21-11-20

목차

박종해
잠식 그 이후 _ 012
이팝꽃 속에는 _ 014
부모님 생각 _ 016
가을밤에 _ 017
안개 속의 간이역 _ 018

신춘희
이보다 심각한 사건이 또 있을까 _ 020
창(窓) _ 021
가을 고등어 _ 022
좀팽이 _ 023
Z세대 _ 024
공부 _ 025
개망초 _ 026
쑥부쟁이 _ 027

강세화
춘란 _ 030
성끝마을 _ 031
간절곶 _ 032
동동걸음 _ 034
물때썰때 _ 036
상처끼리 _ 038
열대야 _ 039

문영
코로나 시대·1 _ 042
코로나 시대·2 _ 043
코로나 시대·3 _ 044
마스크의 말 _ 046
아픈 호명(呼名) _ 047
미꾸라지 _ 048
내 마음의 빗살무늬 _ 050

임윤
잃어버린 입술 _ 052
오름에 핀 유채꽃 _ 054
레퀴엠의 시간 _ 056
그림 속으로 뛰어들다 _ 057
소야 _ 058
장생포항 나룻배 _ 059

장상관
침 _ 062
그리운 꾸지람 _ 063
일곱 왕관을 쓴 짐승의 유목 _ 064
겨울 음반 _ 066
이명이 소멸하는 시각 _ 067
불치 _ 068
모래시계 _ 070

황지형
수박 _ 072
여름 맛이 난다고 말했다 _ 074
낯선 사람이 도착했다 _ 076
모범적인 혀 _ 079
사랑·1 _ 086
손을 타다 _ 088
토마토의 신진대사 _ 090

이강하
그리스 _ 092
박원장과 여우가방 _ 094
햇빛지혈 _ 096
소나기 _ 097
팔레놉시스 _ 098
그라비올라 _ 100
신불산 단풍 _ 102

박정옥
일요일 생각 _ 106
미닫이 _ 107
내재적 접근법 _ 108
구름 산책 _ 109
몽상가 스타일 _ 110
재레드를 따라서 _ 112

강현숙
모감주나무 _ 116
밖 _ 118
Pink Floyd _ 120
틀에 갇히지 않은 _ 122
오렌지 향이 나지 않는 오렌지 _ 124
북회귀선 _ 126
paradise _ 128

김려원
송곳 아포리즘 _ 130
책상제국 _ 132
셈하지 못한 뒤척임 _ 134
구름의 몰락 _ 136
따끔따끔 박차 _ 138
지구 알약 _ 140
슈거 _ 142

변방연혁 _ 143

저자소개

강세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1년 울산 출생 1983년 《월간문학》 제39회 신인작품상당선 1986년 《현대문학》 추천완료 1995년 시집 『수상한 낌새』 2019년 시집 『별똥별을 위하여』출간 2003년 제3회 울산문학상 수상
펼치기
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남 거제에서 태어나 통영에서 학창 시절을 보냈다. 영남대학교 국문과 및 같은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연암의 『열하일기』를 공부하면서 세 차례에 걸쳐 기행과 답사를 했다. 30여 년 교직 생활을 마무리하고 글 읽기에 몰두하며 울산 지역도서관에서 『열하일기』와 관련하여 강의하고 있다. 1988년 『심상』 신인문학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해 시집으로 『그리운 화도』 『달집』 『소금의 날』 『바다, 모른다고 한다』, 비평집으로 『변방의 수사학』이 있다. 울산문학상, 창릉문학상, 랑제문화상(예술), 춘포문화상(교육) 등을 수상했다. 현재는 오영수문학관 문예창작(시) 지도교수로 있다.
펼치기
신춘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3년 『현대시학』 초회 추천. 1980, 1982, 1983년 매일신문신춘문예 당선. 1985년 『월간문학』 신인상 당선. 시집 『풀잎의 노래』, 『중년의 물소리』, 『늙은 제철소』, 『식물의 사생활』 등.
펼치기
임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7년 『시평』을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한 뒤 <변방> 동인을 통해 시 공부를 했다. 시집으로 『레닌 공원이 어둠을 껴입으면』 『서리꽃은 왜 유리창에 피는가』 『지워진 길』을 간행했다. 아직 몸속에 유목의 피가 흐르는지 북쪽에 있는 산과 강, 그 기슭에 자리한 너와집을 보러 북한과 맞닿은 중국, 러시아의 접경을 돌아다니고 있다.
펼치기
박종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0년 『세계의문학』으로 등단. 시집 『이강산 녹음방초( 민음사) 』 외 10권. 울산문협회장, 울산예총회장, 울산북구문화원장 역임. 이상화시인상, 대구시협상, 울산문학상, 성균문학상, 예총예술대상등 수상.
펼치기
이강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하동 출생. 2010년 『시와세계』로 작품 활동 시작. 시집으로 『화몽(花夢)』 『붉은 첼로』 『파랑의 파란』 있음.
펼치기
박정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거제에서 태어났고, 2011년 {애지}로 등단했으며, 울산대학교에서 역사문화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했고, 시집으로는 『거대한 울음』이 있다. ‘변방동인’ 회원이며, 2015년 한국출판진흥원 우수출판콘텐츠 지원금을 받았다. 박정옥 시인의 두 번째 시집인 『lettering』에는 기호마다 통증이 가득하다. 문자가 통점을 지니는 순간 그것들은 시공간의 제약 없이 꿈틀거린다. 시인의 내면을 거쳐 새로운 명(命)을 지닌다는 것은 “애칭만큼 닳고 통증만큼 닮은/ 창문을”(「lettering」) 만드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창문’은 타자의 고통에 동참하는 행위이며 동시에 세상을 관조하며 느낀 통증을 공유하려는 통로인 셈이다. 이 시집을 꿈틀거림으로 가득한 창문이라 말한다면, 박정옥 시인은 그곳을 통해 살아있음을 알리려는 사물의 몸짓을 띄우고자 하는 것이다.
펼치기
강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함안에서 태어나 마산에서 자랐다. 부산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했으며, 현재 울산에서 약국을 운영하고 있다. 2013년 『시안』 신인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여름 소나무, 우물, 대나무숲, 겨울 빈 논, 마당의 한 그루 감나무 아래 평상, 여름밤 달빛 들어오는 창가에 자리 잡은 잠 등을 추억의 열쇠로 지니고 있다.
펼치기
황지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울산출생. 2009년 『시에』 등단, 시집 『사이시옷은 그게 아니었다』 (2022), 『내내 발소리를 찍었습니다』(2023 시산맥사). 울산문인협회, 두레문학, 중구문학회, 한국가요작가협회울산지회, 한국가요강사협회울산지회, (사)시사랑문화인협의회경북지회, 연애예술인총연합회울산지회, 쫄병전선문인극회, 중구마을교육협의회 회원. 명지갤러리 홍보실장, 동리목월사업회 이사. ‘변방, 詩作, 시in, 시목문학회’ 동인으로 활동 중. 명지문화예술상 수상.
펼치기
김려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동에서 나고 진주에서 자랐으며, 2017년 시 「후박」이 진주가을문예에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지구별 한 귀퉁이에서 꽃밭을 가꾸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