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62541722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0-10-2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_포스트 코로나, 위대한 리셋이 필요한 시대
세상을 바꿀 혁신적 미래 기술 9가지
chapter 1. 포스트 코로나, 부의 판도가 바뀐다 _부의 미래
부를 창출하는 방법의 변화
돈의 미래, 현금의 종말이 다가온다
각국의 디지털화폐 전쟁, 그 서막이 오르다부동산, 주식, 금, 미술품 등 모든 자산의 토큰화
인공지능, 핀테크 시장의 판도를 바꾼다
도심 부동산 불패의 신화가 깨진다
도심 인구밀도의 감소, 위기 아닌 기회일 수 있다
chapter 2. 대학 학위 무용지물의 시대 _교육의 미래
10년 안에 대학이 붕괴된다
대학 학위 무용지물의 시대가 왔다
온라인 교육의 보편화, 새로운 패러다임이 열리다
가성비 끝판왕 교육 서비스의 등장
온라인 수업을 통해 부모들이 깨달은 것들
코딩 공부가 필요 없는 시대로 간다
뉴럴링크가 일으킨 교육의 거대한 빅뱅
chapter 3. 우주시대는 더 이상 공상과학이 아니다 _지속가능한 인류의 미래
인류의 우주 생활, 상상이 현실로 다가오다
가장 먼저 미래에 도착한 남자, 일론 머스크의 화성 프로젝트
인류의 슬기로운 화성생활을 위한 조언
우주여행 패키지 상품 출시가 임박했다
chapter 4. 누구나 미래학자로 살아야 하는 시대가 온다 _시민의 미래
대담하고 탁월한 미래인으로의 삶을 열다
경제, 사회, 문화 전 분야에서 진행되는 초혁신
세계 시민으로 산다는 것
스마트워크 시대, 미래 노동자의 삶
원격근무 시대에 마주할 문제와 변화
코로나19 이후 여행자의 미래
chapter 5. 인공지능 정치인과 가상국가의 시대 _국가와 정치의 미래
인공지능이 바꿀 정치와 국가의 미래?
국민을 24시간 만나는 인공지능 정치인의 탄생
정치는 대표적인 사양 산업이 된다
개별 국가의 소멸과 새로운 거버넌스의 도래
페이스북, 가상국가로의 진화는 시작되었다
chapter 6. 기본소득제도는 약이 될 것인가, 독이 될 것인가 _복지의 미래
새로운 세상을 위한 ‘위대한 리셋’
일자리 파괴와 재창조, 혁명은 시작됐다
기본소득제, 동등한 결과가 아닌 동등한 기회를 약속한다
세계에서 이루어진 기본소득제 실험
팬데믹이 불러일으킨 기본소득제 논쟁
chapter 7. 거대한 위기에 찾아온 새로운 기회 _비즈니스와 일자리의 미래
몰락하는 기업과 새롭게 재편되는 질서
소멸하는 일자리와 탄생하는 일자리
언론은 영원하지만 언론사는 소멸한다
변호사와 의사도 기술직으로 변모한다
독립형 근로자의 확산과 부상하는 긱이코노미
증강현실로 만나는 현실 너머의 세상
인간 수명 연장의 기술, 불로장생의 꿈을 이룰 것인가
실리콘밸리는 왜 생명공학에 주목하는가
유전자에 대한 연구와 도전, 새롭게 창출될 미래
chapter 8. 인류 문명의 지각변동 _기술과 문명의 미래
자급자족의 시대가 만들어낼 대격변
사물인터넷으로 더욱 스마트해지는 삶
현실보다 리얼하고 드라마틱한 가상의 세상
지구의 디지털화와 드론 기술
공장이 필요 없어지는 3D 프린팅의 시대
인간과 더불어 살아가게 될 인공지능 로봇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생명공학
부록 _코로나19 관련 기관
리뷰
책속에서
신산업혁명인 재택근무 전환과 그것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엄청나다. 탄소배출량 감소, 도시화 추세 역전, 도시설계 방식재 고 등 커다란 사회적 변화를 불러일으킨다. 예를 들어 인력의 20퍼센트가 풀타임 재택근무로 전환하면 도심의 상품 및 서비스 수요가 20퍼센트 감소해 소매, 접객업 및 운송과 같은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친다. 도심 탈출로 대도시는 큰 대가를 치르지만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커다란 기회를 제공한다. 일부 고용주는 도시 중심 사무실 등의 입지를 포기함으로써 직원 임금과 간접비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chapter 1 _포스트 코로나, 부의 판도가 바뀐다>
가까운 미래에는 대학교수의 지식보다 날마다 새롭게 업데이트되는 인공지능이 훨씬 더 탁월할 것이다. 온라인을 통해 다양한 정보의 습득이 가능한 5G 시대와 24시간 초연결 시대에 사는 젊은 세대들은 세계 석학 혹은 인공지능에게서 배우기를 희망한다.
구글의 양자컴퓨터 ‘시커모어’는 슈퍼컴퓨터가 1만 년 동안 처리해야 하는 연산 분석을 3분 내에 하며,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는 AI칩으로 뇌와 컴퓨터를 연결한다. 칩을 뇌에 연결하면 지식이 자동으로 업로드 및 다운로드되며 전달이 가능하다. 이처럼 미래의 교육은 지식 전달만을 목적으로 하는 오늘날의 대학이 따라잡을 수 없는 속도로 진화하게 된다.
<chapter 2 _대학 학위 무용지물의 시대>
차세대 유인우주선 스타십은 승객 100명을 태워 달이나 화성에 보내질 계획이다. 크루 드래건을 탑재한 팰컨9 로켓이 부분 재활용되는 데 반해 스타십은 완전 재활용을 목표로 한다. 스페이스X는 이미 지난해 9월 스타십의 시제품을 공개한 바 있다.
2022년 첫 화물전용 로켓을 화성에 보내고, 2024년까지 승무원을 태운 민간 달 탐사 프로젝트를 시도할 계획이다. 이 목표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스페이스X의 최종 목표인 화성에 독자적 문명 기지를 건설하는 것도 아주 먼 미래의 일은 아니다.
<chapter 3 _우주시대는 더 이상 공상과학이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