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수학/과학
· ISBN : 9791163639275
· 쪽수 : 206쪽
· 출판일 : 2025-01-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우주항공청 출범, 위고비 신드롬에서 자동차 급발진까지 최신 과학이슈를 말하다!
ISSUE 1 [과학기술정책] 우주항공청 출범_원호섭
- 드디어 ‘문’을 연 한국판 NASA, 우주 ‘문’도 열 수 있을까?
ISSUE 2 [디지털 중독] SNS로 인한 도파민 중독_김태희
- 소셜미디어로 인해 도파민 중독이 일어난다고?
ISSUE 3 [건강] 비만치료제 위고비 신드롬_오혜진
- 위고비, 비만 치료의 새 지평을 열까?
ISSUE 4 [자동차공학] 자동차 급발진의 진실_김필수
- 자동차 급발진 사고의 원인과 대책은?
ISSUE 5 [신경과학] 뇌 칩 이식기술_김상현
- 뇌에 칩을 심어 인간을 강화할 수 있을까?
ISSUE 6 [인공지능] 생성형 AI 최신 모델_한세희
- 오픈AI의 GPT-4o가 구글의 제미니를 능가할까?
ISSUE 7 [고생물학] 공룡 연구 200년_박진영
- 200주년 맞은 공룡연구, 어디까지 왔나?
ISSUE 8 [스포츠 과학] 올림픽 속 과학_김청한
- 육체 극한 겨루는 올림픽, 과학기술로 경쟁하나?
ISSUE 9 [고인류학] 네안데르탈인의 놀라운 생활사_윤신영
- 네안데르탈인은 어떻게 살았나?
ISSUE 10 [대기학] 구름 위에서 치는 메가 번개_김범용
- 메가 번개는 구름 위에서 어떻게 발생할까?
ISSUE 11 [기초 과학] 2024 노벨상 과학상_이충환
- 2024년 노벨 과학상은 AI 머신러닝 토대, 단백질 구조 설계·예측, 마이크로RNA 발견에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한국의 우주개발 역사는 우주강국과 비교하면 상당히 짧다. 1987년 12월 ‘항공우주산업개발촉진법’이 제정되면서 우주개발의 법적 장치가 마련된 것을 우주개발의 시작으로 보고 있다. 1950년대 이미 우주에 위성을 띄운 미국, 러시아는 물론이고 1960년대부터 정부가 과감한 투자를 이어왔던 일본, 중국과 비교했을 때 여러 측면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었다. 1980년대 KAIST를 중심으로 인공위성 개발이 시작됐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980년대 말부터 소형 로켓 개발에 나서면서 기술을 확보해 나갔다. 연구개발(R&D)이 중심이었던 만큼 당시 과학기술을 담당하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주도로 우주개발이 추진됐다.
보상 시스템의 관점에서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도파민이 분비되는 자극제를 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다. 작은 디지털 기기 안에서 사용자들은 수많은 콘텐츠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미국 스탠퍼드의대 중독의학과 애나 렘키 교수는 2021년에 발간된 자신의 저서 『도파민네이션』을 통해 “오늘날은 큰 보상을 약속하는 자극이 풍요로운 시대”이며 “디지털 세상의 등장이 과거와 비교할 수 없는 자극에 날개를 달아주었다”고 말했다. 특히 렘키 박사는 “스마트폰은 현대의 피하 주사 바늘”이라 표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