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72586200310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5-03-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 대통령에게 과학이란 무엇인가 | 전치형
숨 – Exhalation (키워드)
‘과학기술 대통령’ 박정희가 꿈꾸었던 자강국가 | 오동훈
마오의 과학관과 그 영향 | 이종식
대처리즘과 과학기술: 연구 민영화와 기업가적 과학자 | 이은경
김정일의 과학관: 생존 도구이자 번영 수단, 과학기술 | 강호제
우왕좌왕 럭키 레이건 | 이관수
아이젠하워의 리더십과 과학기술정책 | 송성수
메르켈 정부의 과학기술정책 | 박진희
갓 - Ansible (뉴스)
이 계절의 새 책 | 과학을 통해 말하는 삶의 아름다움 | 정인경
과학이슈 돋보기 | 연구 인공지능, 사용처 확인과 가이드라인이 필요 | 윤신영
과학뉴스 전망대 | 실리콘밸리 우군 얻은 트럼프 2.0 과학기술 정책 어디로 가나 | 오철우
글로벌 기후리포트 | “2025년은 어떨까?” 기후학자들과의 수다 | 신방실
터 – Foundation (컬처)
현대미술, 과학을 분광하다 | 디지털 기술의 오염을 감각하기 | 김민아
음악, 그리고 | #5 침묵은 음악인가, 소리인가 | 장재호
과학, 무대에 오르다 | 기계적 연극 | 권병준
에세이 | 젖 | 이길보라
길 – Farcast (이슈)
생성형 AI는 ‘사다리 걷어차기’ 기술이다: AI 이미지 창작자 전혜정 인터뷰 | 전치형
탐구와 비평 | 희박 기체와 다양성 | 전은지
두 번째 삶을 걷다: 웨어러블 로봇과 함께 한 사이배슬론 도전기 | 김승환
INDEX
저자소개
책속에서
박정희의 과학관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그의 국가주의적 인식이다. 그는 과학기술을 국가 발전과 경제 성장의 핵심 도구로 간주했으며, 과학기술이 국가의 번영과 경쟁력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 오동훈, 「‘과학기술 대통령’ 박정희가 꿈꾸었던 자강국가」
마오는 과학 자체를 부정하지 않았다. 다만 ‘다른’ 과학을 원했다. 청나라 말기와 중화민국 시대(1912~1949)를 거치며 형성된 근대 중국 과학의 저 ‘당연함’ 중 일부를, 혁명가가 아닌 사람들에게는 그리 문제적이라고 비치지 않았을 저 ‘자연스러움’의 일단을 바꾸고 싶어 했던 것이다.
- 이종식, 「마오의 과학관과 그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