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육학 3

교육학 3

이병기 (지은이)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1,400원
26,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26,32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육학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육학 3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3722410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4-12-25

책 소개

『가람 이병기 전집』은 한국 근현대 문학사의 체계를 정립하고 학문적 유산을 보존하며, 한국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는 중요한 성과다. 2014년 4월 전북대학교 개교 70주년 기념사업으로 시작된 간행 사업이 2024년 12월 『가람 이병기 전집』 총 30권으로 완성되었다.

목차

표준 문예 독본 •11
1. 봄비 •17
2. 들 •19
3. 동해안東海岸 •22
4. 식목제植木祭 •26
5. 보리 •28
6. 수필隨筆의 영역領域 •32
7. 물새 알 산새 알 •35
8. 용기勇氣 •37
9. 무지개 •40
10. 단발령斷髮令을 넘으며 •52
11. 근화사槿花詞 •55
12. 불국사佛國寺에서 •56
13. 고향 •64
14. 새 양복 •66
15. 개미 •69
16. 시 감상詩鑑賞 •71
17. 내무재 영內霧在嶺 •79
18. 그믐달 •82
19. 물매미 •84
20. 송화강松花江 뱃노래 •91
21. 전원田園의 낙樂 •93
22. 해운대海雲臺에서 •95
23. 민족의 맥박脈搏 •98
24. 노인 찬老人讚 •100
25. 소설小說의 핀트 •102
26. 추과 삼제秋果三題 •108
27. 작은 용사勇士 •110
28. 내가 본 세상 •113
29. 시조 감상時調鑑賞 •115
30. 청춘靑春과 예술藝術 •120
31. 나룻배와 행인行人 •124
32. 대춘待春 •125
33. 김소월金素月의 추억追憶 •127
34. 강화 기행江華紀行 •135
35. 조국祖國 •137

표준 국문학사 •167
서론緖論 •177
1. 국문학의 개념槪念 •179
2. 국문학사의 시대 구분時代區分 •181
3. 국문학사의 특수성 •183

제1편 여조麗朝 이전以前 편篇 •187
제1장 고대古代의 문학 •189
제2장 삼국시대의 문학 •206
제3장 통일 신라統一新羅의 문학 •216
제4장 고려 시대高麗時代의 문학 •231

제2편 근조편近朝篇 •249
제1장 시가詩歌 문학의 난숙爛熟 •251
제2장 산문 정신의 맹아萌芽 •282

제3편 현대편現代篇 •305
제1장 현대 문학의 시대 배경 •307
제2장 현대 문학이 싹트는 시기 •313
제3장 “창조파創造派”와 그 문학 •329
제4장 20년 전후의 세 가지 문학 •343
제5장 자연주의 이후 10년간의 문학 •365
제6장 암흑기의 문학 •375

[부록] 교육학 상세목록 •393

저자소개

이병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조 시인이며 시조 부흥 운동을 주도한 시조 학자이자 국문학자였던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는 1891년 전북 익산에서 출생했다. 유교적인 가풍 속에서 자라난 그는 고향 사숙에서 한문을 수학했고 1906년 18세의 나이에 광산 김씨 집안의 수(洙)와 결혼했다. 1910년 전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한성사범학교를 입학한 이병기는 1912년 조선어 강습원에서 주시경 선생의 조선어 문법 강의를 듣기도 했다. 1913년 한성사범 졸업 후 남양, 전주제2, 여산공립보통학교의 훈도로서 교사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고문헌을 수집하고 주석 작업을 하던 이병기는 1921년 권덕규, 임덕재 등과 조선어연구회를 발기하고 간사직을 맡아 조직을 이끌었다. 1926년 영도사에서 시조회를 발기해 민족 문학을 보급하는 데 앞장섰다. 1930년 이후 한글맞춤법통일단 제정위원과 조선어표준어사정위원으로 활동하다가 1942년 조선어학회사건으로 피검되었다.1943년 기소유예로 출감한 이병기는 귀향해 농업에 종사했다. 해방 후 다시 상경해 군정무 편수관으로 피임되어 활동 중 1946년 서울대 문리과대학교수로 부임했고, 다음 해 단국대학, 신문학원, 예술대학에서, 1948년 동국대, 국민대, 숙명여대 등에서 후진을 양성했다.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고향으로 돌아가 전주 명륜대학, 전북전시연합대학 교수를 지내다 1952년 전북대학교 문리과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1956년 전북대학교에서 정년 퇴임을 맞이한 이후에도 중앙대, 서울대 등에서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1957년엔 ≪우리말 큰사전≫이 간행되었으나 기념회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뇌일혈이 일어나 이후 고향에서 요양했다. 학술원 공로상(1960), 전북대 명예문학박사학위(1961), 문화포상(1962) 등을 받았다. 10여 년을 병마와 싸우다 향년 78세인 1968년 고향 집 수우재(守愚齋)에서 숨을 거두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