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특수교육
· ISBN : 9791163862406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3-11-30
책 소개
목차
이 책을 읽기 전에 | 책을 읽기 전 알아야 할 용어 | 상황별 사례 찾아보기
감수의 글: 개정판에 부쳐
들어가는 글
저자의 글: 인간이 지닌 독특함을 진정으로 이해하는 길
Part 1. 자폐 이해하기
1장 ‘왜’라고 먼저 생각하기
아이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부모와 치료사가 먼저 알아야 할 것
아이들이 ‘조절장애’를 일으키는 이유 | 누구나 나름의 방법으로 자신을 조절한다 | 안정을 찾아 주는 요소는 아이 주변에 있다 | 이유 없는 ‘문제 행동’은 없다 | 조절장애를 부추기는 어른들의 잘못된 행동 | 듣고 묻고 지켜보며 다가가는 방식
2장 자폐가 있는 아이의 언어 알아듣기
아이의 소통 도구인 반향어 이해하고 언어 발달 도와주기
반향어를 잘못 이해하는 전문가들 | 무의미한 말은 하나도 없다 | 조금만 귀 기울이면 이해할 수 있는 반향어 | 반향어를 가장 잘 알아듣는 사람은? | 창의적인 언어로 말하는 법 가르치기 | 영화 속 대사도 때로는 반향어
3장 그들의 능력을 강점으로 키우기
학습, 대화법 등 기초적인 사회생활 가르치기
집착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는 교육 | 흥미와 열정을 불러일으키는 이유 | 아이의 흥밋거리를 인정하고 이를 발전시킨 부모들 | 아이의 흥밋거리 대상이 문제가 될 때 | 대화하는 기술을 가르치는 방법 | 아이의 열정을 성공으로 이끈 사례
4장 아무것도 믿지 못하는 두려움 극복하기
아이가 두려움을 통제하도록 돕고, 그들에게 신뢰를 얻는 방법
아이들이 믿지 못하는 것들: 몸, 세상, 사람 | 두려워하는 것과 두려워하지 않는 것 | 아이들이 스스로 안정을 유지하는 방식 | 자폐가 있는 사람과 신뢰 쌓는 5가지 방법
5장 정서적 기억 극복하기
아이가 갖고 있는 부정적인 기억을 극복하도록 돕는 방법
정서적 기억이 생활에 미치는 영향 | 기억을 불러오는 알 수 없는 촉발제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극복 방법 | 부정적인 기억을 극복하도록 돕는 방법
6장 그들만의 특별한 소통법 이해하기
아이들의 의사소통 방식으로 사회적 언어 가르치기
아이가 눈치 없이 행동하는 이유 | 사회적 규칙 가르치기의 한계 | ‘감정’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 아이들 | ‘정상’으로 보이게 만들기의 오류 | 불만이 쌓이는 원인과 불만 표출 방식
Part 2. 자폐와 함께하기
7장 아이에게 꼭 필요한 사람 되기전문 지식과 상관없이 아이와 잘 소통하는 사람에게 발견되는 공통점
아이를 돌보는 사람의 유형도 천차만별 | 아이와 잘 소통하는 사람들의 공통점 | 아이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들의 다양한 사례 | 아이와 잘 소통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특징 | 평가하지 않고 긴 여정에 동참해 주기
8장 긍정적인 경험담에서 지혜 배우기
이 길을 걸어 본 선배 부모에게 듣는 유익하고 힘이 되는 지혜
자신의 아이를 가장 잘 아는 사람 | 긍정적이고 이해해 주는 모임을 찾아서 | 부모가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방법 | 눈물 대신 웃음을 선택한 사람들
9장 진정한 자폐 전문가들에게 배우기
자폐가 있음에도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에게 듣는 자폐 이야기
자신의 욕구와 한계를 정확히 파악한 로스 블랙번 | 통찰력과 지성을 갖춘 외교관이 된 마이클 존 칼리 |
부모와 전문가들을 상담하고 교육하는 스티븐 쇼어
10장 자폐 안에서 성장하는 법 배우기
힘들고 어려운 시기를 잘 극복한 네 가족의 이야기
가족 사례 ① 랜들 부부 그리고 아들 앤드류 | ② 코레이아 부부 그리고 아들 매튜 | ③ 도맹그 부부 그리고 아들 닉 | ④ 카나 부부 그리고 아들 저스틴
Part 3. 자폐의 미래
11장 자폐, 하나의 정체성으로 이해하기
자폐를 바라보는 또 다른 시선
두 가지 차원의 자폐 공개 | 자폐, 하나의 정체성으로 보기 | 자폐는 다른 정체성과 어떻게 겹칠까 | 자폐와 성 다양성 | 무언의 목소리
12장 돌아가기 그리고 나아가기
자신의 자폐를 세상에 적극적으로 이해시키는 사람들의 이야기
사례 ① 은행 임원 자리에 오른 칼리 오트 | ② 블로거이자 강연가 베카 로리 헥터 | ③ 의사소통을 돕는 작가 클로에 로스차일드 | ④ 간호사, 사진작가로 활동 중인 아니타 레스코 | ⑤ 미키마우스가 트레이드 마크인 코너 커밍스 | ⑥ 자폐가 있는 n잡러 론 샌디슨 | ⑦ 의사소통 전문가 조딘 짐머만 | ⑧ 할리우드의 성공한 TV 프로듀서 스콧 스테인도르프
13장 아이의 마음에 생기 불어넣기
아이의 행복을 위해 주변 사람이 도울 수 있는 방법
자폐에서 ‘회복’이 의미하는 것 | 희망은 관점을 바꿔 가며 조금씩 나아가는 것 | 행복한 자아의식이냐, 학업의 성공이냐 | 행복한 삶을 살도록 돕는 가장 좋은 방법
14장 자폐에 대한 오해 풀기
부모와 교사, 치료사들이 가장 궁금해하고 오해하기 쉬운 것들
Q&A 가장 궁금한 자폐에 대한 질의응답
나가는 글
감사의 말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당신도 이 책을 읽고 눈이 트이길 바란다. 귀와 마음도 열렸으면 좋겠다. 어린이에서 성인까지 내가 아는 많은 자폐가 있는 사람들의 독특한 정신세계도 공유하고 싶다. 그들의 열정과 호기심, 정직함, 정의감, 의리, 순수함을 있는 그대로 알아주었으면 좋겠다. 이들과 그 가족들이 극복해야 했던 많은 어려움도 성실히 다룰 것이다. 자폐가 있는 사람들의 삶을 직접 겪어봐야 한다는 말은 아니다. 다만 거의 반세기 동안 내가 수많은 자폐가 있는 사람들과 함께 하며 배운 많은 것들을 통해 당신도 알게 되길 바랄 뿐이다.
긴 시간을 두고 지켜본 결과 나는 가족이 중심이 되어 접근하는 방식이야말로 자폐를 겪는 가족 구성원에게 가장 효과적이고 의미 있는 방법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아이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은 대부분 부모다. 많은 것을 함께한 성인이 된 형제나 조부모들도 자폐가 있는 사람들을 깊게 이해할 수 있다. 모든 가족은 자신들의 문화를 만들어 서로 소통하고 이해하고 돕는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