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46074903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4-01-19
책 소개
목차
서문 사회복지사의 사회적경제 공부 (이영환)
1부 사회복지와 사회적경제
1장 한국의 사회적경제와 복지국가운동 (이영환)
2장 사회적경제와 정책: 사회혁신, 민주주의,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김연아)
3장 노동통합사회적기업과 근로연계복지 (송선영)
4장 사회적경제와 사회적 자본 (정원오)
5장 사회서비스와 사회적경제의 조우: 당사자성을 중심으로 (황인매)
2부 사회적경제로 사회복지 하기
6장 자활사업과 사회적경제: 사회복지의 꽃 자활사업은 사회적경제로 피어난다 (박동옥)
7장 장애인복지를 실천하는 사회적경제조직 (백정연)
8장 아동돌봄, 사회적경제로 만나다 (심옥빈)
9장 건강을 살피고 이웃을 만나고 마을을 돌본다: 자기돌봄, 서로돌봄, 마을돌봄 (우세옥)
10장 도시재생과 마을복지, 사회적경제로 만나다 (김상신)
11장 사회적경제로 이루는 지역사회복지: 서울 광진지역을 중심으로 (박용수)
12장 사회복지에서 사회적 금융으로 기름칠하기 (박정환)
13장 현장과 정책을 잇는 현실정치: 부천 사회적경제 사례 (박명혜)
14장 디지털 사회혁신과 사회복지 실천: 에이블 테크 소셜벤처 사례 (김성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회복지와 사회적경제는 어떤 관계일까? 무엇보다 양자의 목적과 지향이 매우 유사하고 발전 양상이 상호 의존적이라는 점을 강조할 수 있다. 사회복지는 사회적경제 발전의 토대가 되고, 사회적경제는 사회복지서비스의 혁신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_1장 한국의 사회적경제와 복지국가운동
…… 특별히 사회적경제의 역할이 강조되는 이유는 우리가 이루고자 하는 목표가 경제성장이 아니라 경제발전을 추구하다 놓친 가치를 되찾고 무너진 사회의 기능을 복원하는 데 있기 때문일 것이다. 사회적 난제를 함께 해결하는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재생 가능한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기 위해 신뢰와 연대에 기반한 사회적경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사회적경제정책은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지원 정책이 아니라 사회적경제 활성화 정책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경제는 각자도생하지 않고 공생하는 경제공동체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시장경제와 추구하는 바가 다르다. 이는 사회적경제정책이 소상공인 지원 정책과 다른 근본적인 이유이기도 하다. _2장 사회적경제와 정책
공공부조와 근로연계복지 정책의 성격을 지니는 자활사업은 어떠한 정책 기조를 강조하느냐에 따라 정책 변동이 이루어졌다. 복지에 초점을 두느냐 아니면 고용에 초점을 두느냐의 경합 과정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질적으로 사회복지는 탈상품화를 속성으로 하며, 시장의 실패가 가져오거나 가져올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연대적 대응이라 할 수 있다. 그중에서 공공부조는 최후의 생활안전망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렇다면 공공부조 정책을 대표하는 자활사업은 어떠한 정책적 속성을 지니는가? 그간의 과정을 되돌아보면 복지 수급자들에게 최후의 안전망에서 벗어나 시장에 진입할 것을 요구해왔다. 보호의 원리를 담고 있는 제도가 보호로부터 벗어날 것을 요구해온 제도가 자활사업이었다고 생각한다. _3장 노동통합사회적기업과 근로연계복지